주역·육임·육효

壬學을 연구하고 應用하는데 중요함으로 다시 설명하는 바

송평(松平) 2009. 7. 15. 16:39

 8 講

 

이하의 설명은 앞서 본 占斷八門과 重複되는 부분이 있으나 壬學을 연구하고 應用하는데 중요함으로 다시 설명하는 바입니다.


1. 四課論

第一課는 日의 陽神이고 第二課는 日의 陰神이다. 第三課는 辰의 陽神이고 第四課는 辰의 陰神이다.  陽神으로는 出現을 보고 陰神으로는 伏藏을 본다. 그러나 陽이 主가 되고 陰이 次(客)이 된다. 四課가 俱全되어 있으면 매사는 正順하며 容易하고 四課가 不全하면 매사는 不正하고 反逆되며 至難하다.


2. 日辰論

日上神이 日干을 生하면 百事가 吉하다. 晝將일때는 人助가 있고 夜將일때는 神助가 있다. 단 제일 꺼리는 바는 空亡과 三傳의 空脫인데 所得한 바를 얻지 못하고 浪費만 된다.

日上神이 日干을 剋하면 諸般事에 불리하다 晝將일때는 사람의 害가 있고 夜將일 때는 神의 殃禍가 있다. 日干이 旺相하면 그래도 가하나 休囚하면 더욱 심하다.

日干이 日上神을 生하면 虛費가 百出하고 日干이 日上神을 剋하면 凡事에 막힘이 많다.

日干上神이 日支를 生하고 日支上神이 日干을 生하여 日辰이 각각 上神의 生함을 받을 때는 兩家가 다 順利하고 각자 다 生意가 있다.

日干上神이 日支를 剋하고 日支上神이 日干을 剋하거나 日辰이 다 上神에 剋을 받을 때는 兩家가 다 傷함이 있어 다 같이 불리하다.

日支를 日上神이 脫하고 日干을 支上神이 脫하면 나도 타인을 脫하고 타인도 나를 脫한다. 또 日辰이 각자 上神에서 脫함이 있으면 피차에 脫함을 방지해야 되는데 玄武가 乘하면 더욱 심하다.

日上에 辰의 旺神이 臨하고 辰上에 日의 旺神이 臨하거나 日辰上에 각각 旺神이 臨하면 動謀함은 불리하고 坐謀 坐用함이 마땅히 이롭다.

日이 辰에 臨하여 下剋하면 스스로 卑幼를 凌犯하고 辰이 日에 臨하여 日을 剋하면 卑幼가 上門을 肆侵하거나 欺瞞한다 이 둘은 이름을 亂首課라 하여 父子兄弟가 각자 離析한다.

日上에 祿馬를 보면 榮名遷動하게 되고 日上에 日馬를 보고 지상에 日祿을 보면 君子는 遷官하고 常人은 身動 宅遷하게 된다.

日辰上에 德神을 보면 이롭게 진전하고 吉將이 승하면 대길하다 日辰上神이 六合이 되거나 혹 五合이 되면 交易은 성취된다. 그러나 解散之事엔 오히려 불리하다.

日辰上에 다같이 墓神이 승하면 雲霧中이 처해있는 것 같아서 昏暗한 가운데 人宅이 가 같이 亨通되지 못한다. 日鬼之墓가 日干上에 가하게 되면 凶禍가 되는데 凶將이면 더욱 深하다. 예를 들어 甲乙은 丑이요 丙丁은 辰, 戊己는 未가되며 庚辛은 戌이되고 壬癸는 辰이됨을 말한다.

 

대개 日鬼가 明見되어 있으면 그 刑害를 알아 스스로 가히 다스릴 수 있으나 鬼가 墓중에 暗藏되어 있으면 荷草附木함과 같고 借姓假名함과 같아 어떻게 다스릴 수가 없다. 그러므로 訟事나 病占엔 大器하는데 만약 課傳이나 年命中에서 破墓를 하거나 子孫之神있으면 가히 凶을 해소할 수 있다.

 日辰이 墓上에 坐하는 것과 日辰上에 墓神이 覆하는 것은 각자가 다르다. 왜냐하면 墓에 坐한 것은 本身이 情願하여 暗味함을 감수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日辰이 刑되거나 害되면 賓主는 不投하게 되고 각자 嫉妬나 侵害의 마음을 품고 있다. 日辰상에 敗氣가 승하면 身宅이 다 같이 衰敗해진다. 日辰上에 絶神이 승하면 舊事를 結絶지음에 마땅하지만 그 外事는 다 같이 불리하다. 日辰上에 死神이나 死氣기 승하면 범사에 휴식함이 좋고 動作함을 불리하다.

日辰上에 空亡이 승하면 虛聲無實하다. 日上課가 부족하면 자신이 부족한 것이어서 심의가 憔悴하고 行止가 不定하다. 辰上課가 不足하면 家宅이 不寧하고 陰이 主이며 작은 재앙이 있다. 日辰上에 괴강을 만나면 매사 자유롭지 못하고 혹 六合이 발용하면 隱身 避難 詐欺 私門 등의 징조가 있고 만약 백호나 등사가 日辰에 臨하거나 發用되면 반드시 折傷之厄이 있다.

日辰上에 卯酉를 보면 막히는 일이 많다. 일간이 辰上에 臨하여 剋을 받으면 卑幼의 凌犯을 自取한 것이고 辰이 日에 臨하여 剋하면 卑幼가 到門하여 凌犯한 것이다. 日이 辰에 臨하여 生함을 받으면 尊으로서 卑를 從하는 格이니 처음에는 비록 어렵고 막힘이 많으나 종내에는 逸樂하게 된다. 辰이 日에 臨하여 生日하면 매사에 내가 기다리지 않아도 사람이 구해져 사람 스스로 순종하기 때문에 不勞而得하게 된다.

日이 辰에 臨하여 일지를 生하면 이것은 人往生宅이라하여 범사에 사람이 나에게 구하러와서 부득이한 정으로 따라가 屈枉取人하니 재물은 소모되고 사람은 疲勞하여 虛憊無得한다.

日支가 日干에 임하여 脫하면 虛耗遺失之象이다. 日干이 日支에 가하여 剋하면 事多費力하나 드디어는 得財한다. 日支가 日干에 임하여 剋을 받으면 존장은 得財하나 卑幼에겐 불리하다 日이 辰에 임하거나 辰이 日에 臨하여 比和되고 만약 吉將이 승하면 모든 일이 다 吉하게 된다.


 

3. 三傳論

三傳이란 四課中에서 隱微한 占의 發端이요 課體上의 幾요 싻인 것이다. 고로 課는 體요 傳은 用인 것이다. 이렇기 때문에 三傳이 吉하면 비록 四課가 凶하다고하여도 종내는 吉하게되고 三傳이 凶하면 四課가 吉하다하여도 내종에는 凶하여 매사 이루어지기 어렵다. 따라서 이루어진다 하여도 有始無終하게 된다.

凶死의 始末은 三傳에 관계되는 것이며 初中末의 次序로 따져보는 것이다. 가령 初傳은 官鬼가 되고 中傳은 印綬가 되며 末傳은 財가 된다면 매사 시초에는 阻害가 있으나 중간에 조력함으로 얻어서 드디어 결과는 재물을 얻을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이 三傳의 배열에 의해서 吉凶이 판단되므로 만약  初傳이 凶하고 末傳이 길할 때는 처음에는 비록 艱難함이 있으나 종내는 드디어 길하게 되고 初傳이 吉하고 말전이 凶하면 처음에는 비록 良好하나 종내는 不齊하며 凶하게 되는데 初傳과 末傳이 다 같이 凶하고 中傳이 吉할때는 비록 중간에 成合됨이 있더라도 드디어는 無益하게 된다.

初傳은 發端門이라 해서 心情의 처소요 묻는 바의 關鍵인 것이다. 그러므로 반드시 신장과 는 比和되고 上下相生해야 吉이 되는 것이다. 만약 德祿을 만날 시는 擧事함은 마음대로 이루어지고 비록 危險之事라 할지라도 구응을 받게 된다.

中傳은 變易門이라하여 事體의 일반 즉 中間을 본다. 이러하므로 初傳이 흉하더라도 중전이 吉할때는 凶은 이전하여 길로 변한다. 이와 반대로 초전이 길하나 중전이 凶할때는 변해서 凶이 된다. 初傳은 母가 되고 末傳은 子가 된. 母傳子則 順이요 子傳母則逆이라하여 初傳에서 末傳을 生함은 吉하나 말전에서 초전을 生함은 좋지 않다. 그러나 말전에서 초전을 生하더라도 다시 日干을 生할때는 길로 변한다. 만약 이러할 경우 本命上 行年上 日干上 日支上의 四處에서 食傷인 救神이 없을 때는 凶함을 면키 어렵다.

鬼는 壞를 뜻하고 墓는 止를 뜻하고 害는 折要를 뜻해서 매사 막힘이 많고 破는 중간에 끊겨 불성하고 空亡이면 斷橋라고도 하고 折腰라고도 하여 主事는 不成한다.

末傳은 歸計門이라 한다. 그러므로 모든 일의 결과를 보는 곳이다. 이와 같이 發用함에는 初傳에 있고 決事는 말전이 되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참으로 重要緊切한 것으로  만약 初傳에서 下賊上 發用이 되었더라도 말전에서 그 剋賊하는 것을 制할 때는 반대로 凶이 길로 변하는 것이다. 末傳에서 초전을 剋하면 終末剋始하여 遠行萬里라도 入水不溺하고 入火不燒하고 모든 질병과 재화가 없어지나 만약 破나 害가 가하게 되면 막힘이 있고 吉이 다 不成하고 空亡이 된즉 百事에 결과가 없다.

初傳이 日의 長生이 되고 末傳이 日의 墓庫가 되면 有始無終하고, 初傳이 日의 墓庫가 되고 末傳이 日의 長生이 되면 先難이나 後易하게 된다.

初傳이 凶하고 中末傳이 吉하면 능히 解할수 있고 初傳 中傳이 凶하고 末傳이 吉해도 능히 解할수 있다. 三傳이 凶하고 行年이 吉해도 능히 解할수 있으나 만약 三傳과 行年이 다 凶하면 解는 不能하다.

三傳神將에서 만약 將剋神하면 外戰이라 근심은 가볍고 비록 凶하다해도 可히 解할 수 있으나 神剋將하면 內戰이 되어 근심은 重하며 비록 吉이라도 有咎하다.

三傳이 皆空이면 占事는 一實도 없으며 兩傳이 空亡이고 一傳이 實한데 天空을 보면 이도 역시 三傳 모두 空亡의 象이 된다. 初傳 中傳이 空亡이면 末傳을 爲主로 하고 中末傳이 空이면 이는 初傳을 爲主한다.

三傳이 干上發用하며 傳歸支上하면 朝支格이라하여 我去求人謀事하고 支上에서 發用하며 干上이 歸傳할때는 朝日格이라 하며 타인이 來託한다. 朝日格에 神吉 傳吉하면 모든 일이 쉽게 이루어져 구하고자 하지 않아도 스스로 오며 神凶傳凶하면 災禍는 不測之間에 일어나며 속담에 閉屋坐裏하더라도 禍從 天上來라고 하여 病占이나 産占, 訟詞, 行人에 다 같이 불길하다.

예로서 丙寅日 干上午 三傳 辰巳午 壬寅日 干上戌 三傳 子亥戌 등이 朝支格으로 타인에 俯就하며 자유를 얻지 못한다. 또 예를 들면 甲午日 干上辰이되어 三傳이 辰午申이 되면 甲木이 三傳에 死地가 되니 行人은 돌아오지 않고 病者는 사망한다.

丁亥日 干上酉에 三傳이 酉亥丑이면 財를 貴人이 絶地로 이끌고 들어가는 것이니 귀인과 交易이 불리하여 도리어 主人에게 厄이 있게되고, 庚寅日 干上午가 發用하여 三傳이 午辰寅이라면  地支가 日鬼를 生助하니 尊丈이 반대로 害를 본다.

三傳이 干支와 不離되면 求物은 得하며 謀事는 이루어지고 行人은 돌아오며 盜賊은 마을을 떠나지 못했고 도망자는 脫出하지 못한다. 

三傳이 四課와 不離하면 “珠走盤”이라 하여 謀事는 이루어지고 吉한 것은 吉하며 凶한 것은 凶하나, 病占이나 訟事, 憂, 産占에는 忌한다. 예를 들면 辛亥日 干上酉에 三傳이 戌酉申, 戊子日 干上子에 三傳이 子未寅, 그 외 庚申, 甲申, 庚寅, 甲寅, 癸酉, 癸未日 等. 三傳이 日과 멀리 떨어지면 凡事 難成이나 오직 避難占이나 訟災는 물리칠 수 있다.

三傳과 日辰이 互換 三合되어 遞相牽連되면 百事에 去來가 翻來覆去하며 쉽게 끝나기 어렵다. 三傳이 三合하여 日干이 全脫, 全生, 全鬼, 全兄弟가 되면 天將의 吉凶이나 五行의 制化 如何를 본다. 가령 全鬼면 凶兆가 되나 만약 年命과 日辰四處에 子孫爻가 있으면 鬼를 制할수 있다. 고로 脫氣면 父母를 보는 것이 중요하고 全生에는 財를 보는 것은 不可하다.  

삼전과 日辰上下가 모두 合이되면 妄動하면 얻음이 없고 日月이 冲破할때 可히 動할수 있으니 잘 살펴야 한다. 그리고 또 중요히 볼 것은 三傳의 吉凶여하인데 吉하면 合이 마땅하고 冲破는 不宜하다. 만약 凶한데 冲破를 만나면 凶이 散하니 凶하다고 論해서는 안 된다.

三傳이 日을 生하면 百事가 吉하니 訟占은 輕하고 비록 無理한다고 하여도 역시 大凶에는 이르지 않는다. 三傳이 剋日하면 凶이 이르니 오직 冲을 당해야 凶이 破한다. 예를 들면 “癸亥日辰이 癸에 加(辰加癸)하고 三傳이 辰未戌이며 初蛇 中勾 末虎이면 이는 末傳戌이 初傳辰을 冲하고 虎冲蛇하니 以凶制凶하게 된다. 만약 行年에 다시 戌이 되면 二戌이 日辰을 冲하니 凶을 散할수 있으나, 或 行年이 辰에 있으면 戌一에 辰二가 되니 冲해도 破할수 없고 辰은 癸水의 墓가 되니 主는 다시 全凶하게 된다.

三傳에 盜氣가 들면 退散함이 마땅하고 失物을 防止해야 한다. 다시 蛇虎를 加하거나 空亡之鄕으로 行하면 사람에게 付托해도 得力치 못하고 官事는 反覆된다.

三傳이 干을 遞生하거나 遞剋하는 것은 課體를 보아야 자세히 알 수 있다. 만약 日干이 初傳을 剋하고 初傳이 中傳을, 中傳이 末傳을 遞剋하면 求財大獲한다. 三傳과 日辰이 전부 下賊上이되면 和氣라고는 一毫도 없어 訟事는 刑을 받고 病者는 必死하며 家法亦是 不正하며 其禍를 自招하고 혹 사소한 일로 큰 다툼을 하게 된다.

三傳이 日辰의 夾定이 되고, 凶將이 승하면 凶은 不可逃요 吉將이 乘하면 吉乃可從이다. 오직 融合之事는 吉하나 病疾 訟事 出産 行人은 불리하다. 支干外에서 透出하면 先緊 後慢한데 다시 夾하는 곳이 어떤가를 본다. 만약 夾定이란 다음과 같은 것이다.

末傳

中傳

初傳

 

 

四課

三課

二課

一課

天盤

地盤

 

 

 

   

 

 

 

干上神은 巳가 되고 支上神 寅이 發用하며 寅卯辰 三傳하니 干支上神이 三傳을 拱夾한 것이다. 拱夾한 三傳이 財가 되면 求財에 이롭고 官이 되면 求官에 이로우나 病訟에는 다 같이 불리하다. 脫氣를 拱夾하면 疾病이 두렵고 求財도 불리하며 孕胎는 이로우나 出産에는 불리하다.

生氣를 拱夾하면 用事占에는 吉하나 出産에는 불리하고 형제를 拱夾하면 百事에 불리하며 空亡을 拱夾하면 백사에 虛事가 많다.

末傳

中傳

初傳

 

 

四課

三課

二課

一課

天盤

地盤

 

 

 

   

 

 

 

 

卯와 未가 三傳의 三支(辰巳午)를 拱夾했다. 그러나 三傳이 全部 空亡이 되어 空亡을 拱夾한 것이 되므로 有名無實하게 된다. 또 干支上神이 空亡 되면 夾定으로 보지 않는다. 그러므로 困難한 일은 나중에 해결되고 형통되던 일은 나중에 불통되며 기밀은 漏泄되어 差誤가 생기고 凶事는 위험하지 않게 되고 吉事는 기쁨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三傳을 干支上神이 夾定하는데 地支一位가 缺하게 되면 夾定虛一格이라고 하여 매사 不完全하다.

 

예를 들어 丁卯日 干上申이라면

末傳

中傳

初傳

 

 

四課

三課

二課

一課

天盤

地盤

 

  

 

 

  

 

  

 

 

 

  

  

 

 

 

 

 

이상과 같이 되는데, 삼전있거나 日辰 中間이나 前 또는 後에서 一位가 缺해도 夾定虛一格이라 한다.  三傳이 辰巳午로 干支上神이 夾定하는데 辰에서 申까지 未字一位가 缺한다. 缺神이 무엇에 해당하는 가를 살펴 財神이 缺하면 財物로 인하여 불성사 되고 官鬼면 官事로 인해, 兄弟일때는 卑下 手下로 인하여, 父母일때는 부모나 문서로 인해 不成한다. 상례는 未가 부족함으로 未는 脫氣로 子孫爻가 되며 夜將이면 朱雀이 승하고 晝將이면 勾陳이 승함으로 子孫에 舊事에 關聯된 일이 아직 미결된 상태이다. 年命에서 이상과 같은 때는 위와 같이 논하지 않는다. 三傳이 日辰外에서 투출하면 透外(關)格이라 하여 당시를 모르고 매사 때를 잃거나 心力이 일치가 되지 못하거나 이미 이루어 놓은 일일지라도 타인으로 인해서 파괴되기 쉽다.


甲子日 子將 丑時

末傳

中傳

初傳

 

 

四課

三課

二課

一課

天盤

地盤

 

 

 

   

 

 



甲子日 子加丑 三傳 子亥戌이라면 子가 日辰(一課 三課)外에서 발용했다. 상기와 같이 退茹格이되면 怠慢으로 인해서 不及한바 있고 進茹格이되면 과정으로 인해서 불급함이 있다. 만약 干透出支(一,二課가 初傳  三四課가 末傳)가 되면 外事에 不利하고 行人은 돌아오게 되며 先動後靜하게 되고 支透出干(三四과가 초전, 一二과가 末傳)이 되면 내외에 불리하고 外動함이 이롭다. 상기 甲日 例는 干透出支가 된다. (8講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