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秋夕)=가배(嘉俳),중추(中秋)의 考察
추석(秋夕)=가배(嘉俳),중추(中秋)의 考察
新羅3代 (1世:始祖王(赫居世)2世:南解王 儒理王9년 (왕호 尼師今)
서기 32년에 시작하였으니 금년 2009년은 1978회째 맞이하는 추석 한가위 입니다
十五日 東俗稱秋夕 又曰嘉俳 肇自羅俗. .
8월15일을 우리나라 풍속에서 추석 또는 가배라고 칭한다.
가배는 신라 풍속에서 비롯된 것이다.
新羅儒理王 中分六部爲二 使王女二人 各率部內女子分朋 秋七月旣望 每日早集大部之庭 績麻乙夜而罷 至八月望 考其功之多少 負者置酒食以謝勝者 於是歌舞百戱皆作 謂之嘉俳 是時負家一女起舞歎 曰會蘇會蘇其音哀雅 後人因其聲而作歌 名會蘇曲.
신라 유리왕(王號 : 尼師今,신라 3대왕 9년, 서기 32년) 때 6부를 둘로 나누어 왕녀
두 사람으로 하여금 두 편으로 나누어진 여자들을 각각 통솔케 하여, 7월 旣望=16일부터 매일 아침 일찍부터 큰 부의 뜰에 모여서 길쌈을 하는데, 乙夜(밤10시-11시)가 되어서야 그 일을 끝마쳤다.
이렇게 하기를 8월15일에 이르러 끝내고, 그 양과 질의 공을 참고하여 진 편에서는 술과 음식을 마련하여 이긴 편에 대접하면서 치사한다.
이 때에 노래와 춤을 추며 흥겹게 놀이를 즐겼는데 이것을 가배라 한다. 이 때에 진 편의 한 여자가 일어나 춤을 추며 ‘회소 회소’ 하고 탄식하며 노래를 부르는데 그 노래의 소리가 참으로 애처롭고 아름다워서 후세 사람들이 그 소리로 노래를 지어 불렀는데 이를 회소곡이라 이름지었다.
<以上考證: 東國歲時記 八月 秋夕>.
百物成熟 中秋又稱佳節 故民間最重是日 雖窮鄕下戶 例皆釀稻爲酒 殺鷄爲饌 又有果之品 侈然滿盤 爲之語曰 加也勿 減也勿, 但願長似 嘉俳日.
추석 때가 되면 오곡백과가 모두 익어서 풍성함으로 중추 가절이라 칭했다. 고로 민간에서는 이 날을 가장 중요한 명절로 여겨서 아무리 벽촌의 가난한 집에서라도 모두 쌀로 술을 빚고 닭을 잡아 반찬도 만들고, 또한 과일도 풍성하게 장만하였다. 그래서 말하기를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늘 한가위 날만 같아라.’ 라고 원하였다.
士大夫家以上 正朝寒食中秋冬至四名日 行墓祭 而正至或有不行者 惟寒食中秋爲盛 而寒食又
如中秋之盛 柳子厚所謂 皂隸傭丐 皆得上父母丘墓者 此日爲然
사대부가 이상의 집에서는 설날, 한식, 추석, 동지의 4명절에는 산소에서 제사지낸다.
혹시 설날과 동지에는 제사를 안 지내는 수도 있으나, 한식과 추석은 성대하게 지낸다.
또한 한식보다는 추석에 더욱 풍성하게 지낸다.
중국 당나라의 유자후가 병졸이나 노예, 고용인, 거지까지도 모두 부모의 산소를 살피는 것이 이 날 뿐이라 한 것은 추석을 말한 것이다. <以上考證 洌陽歲時記 八月 中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