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시사관련자료들

갈등 현안 수북한데 MB 지지율 되레 급반등 왜… 정공법 효과?

송평(松平) 2009. 12. 9. 21:11

갈등 현안 수북한데 MB 지지율 되레 급반등 왜… 정공법 효과?

 

갈등 현안이 쌓이면 대통령의 지지율은 하락하는 게 상례다. 갈등이 쌓이면 국민들의 피로도가 높아지고, 이는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이명박 대통령의 최근 지지율은 정반대 현상을 보이고 있다. 세종시 수정 논란과 4대강 사업 찬반 양론이 팽팽한데도 그렇다. 경제 사정도 썩 좋지 못하고, 노동 관련 현안 또한 명쾌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본보와 동서리서치의 지난 7일 조사 결과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 지지도는 50.0%를 기록했다. 지난 4일 한나라당 부설 여의도연구소 조사에서는 한 주 전보다 3% 포인트 오른 45.0%였고, 리서치앤리서치(R & R) 조사에서는 45.0%로 전달보다 4.2% 포인트 상승했다. 7일 발표된 리얼미터 여론조사도 한 주 전보다 5% 포인트 오른 43.5%였다. 청와대가 자체 실시한 이번주 초 조사에서는 45.9%가 나왔다고 한다. 전반적인 상승국면이다.

왜일까. 전문가들은 '양면가치(Ambivalence)' 효과에 기인한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내면적으로는 찬성하는데, 행동은 반대로 표현하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정부부처 세종시 이전에 반대하면서도 여론조사에서는 원안 고수를 지지하는 것이다. 일종의 이중심리다.

청와대는 세종시 문제가 불거지기 전부터 여러 차례 정부부처 이전에 대한 여론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 당시 대부분의 조사에서 수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원안 추진보다 배 가까이 더 나왔다. 하지만 박근혜 전 대표가 '원칙론'을 밝히는 등 정치 쟁점화되면서 여론이 원안 고수 쪽으로 기울었다. 최근 여론은 이 대통령의 '대통령과의 대화' 등 당·정·청의 전방위 설득 작업이 계속되면서 다시 수정안 쪽으로 기울고 있는 분위기다.

4대강 사업도 비슷하다. 청와대 관계자는 9일 "호남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영산강 살리기 사업을 해야 하느냐'고 물어보면 70%가 찬성하는데, '4대강 살리기 사업을 해야 하느냐'고 물어보면 찬성률이 30∼40%대로 뚝 떨어진다"며 "이는 영남권 주민들을 대상으로 낙동강 문제를 물어봐도 마찬가지"라고 설명했다.

철도노조 파업도 그랬다. 파업 초기에는 '이 대통령의 일방주의다. 강경주의다'라는 비판 여론이 높았다. 하지만 막상 파업이 해결되자 이 대통령의 지지율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때문에 지금이 이 대통령의 국정 후반기를 좌우할 갈림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 대통령이 세종시와 4대강, 예산안 등 현안들을 제대로 풀어낼 경우 이는 지지율 상승의 동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반대로 갈등이 장기화되거나 어정쩡한 타협으로 마무리될 경우 이 대통령의 지지율은 하락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현재 상태는 이 대통령이 현안들을 잘 해결할 것이란 기대가 높아진 상황"이라며 "만일 이 대통령이 포기하거나 갈등이 제대로 풀리지 않으면 국민들은 등을 돌리게 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