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선정(漢字選定)
2009. 7. 15. 11:40ㆍ작명학·음파작명학
한자선정(漢字選定) | |||||
이름에 사용할 한자를 선정하는 데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너무 획수가 많은 한자는 피한다. (사용이 불편함.) 2. 사람들이 잘 모르는 어려운 한자를 피하고 평이하고 뜻이 좋은 한자를 사용한다. 3. 발음이 두가지로 쓰이거나 착오를 일으키는 한자는 피한다. 更(갱,경), 便(편,변), 參(삼,참), 樂(악,락), 車(차,거) ... 己, 已, 巳 于, 干, 千 未, 末 土, 士 4. 성씨와 같은 한글음 또는 같은 한자는 피한다. 5. 뜻이 불길한 문자를 피한다. 凶, 亡, 死, 殺,苦... 6. 동물한자, 산천초목, 사람의 신체부위의 명칭은 피한다. 犬, 鷄, 鳥, 鵑, 魚, 蜂,... 肉, 體, 足, 耳,... 7. 남녀구별에 혼란을 주는 글자는 피한다. (출처 성명학전서, 한자이름짓기사전 |
한자의 강약허실(强弱虛實) | |||||
한자 형상에 따라 강약과 허실이 있습니다. 한자 형상이 안정감이 있고 조화되는 한자를 쓰는 것이 좋습니다. 强한 한자 : 글자가 강하고 왕성하거나 결단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입니다. 泰, 勇, 美, 弘, 光, 成, 克, 飛, 義, 威, 龍, 豪, 炎... 弱한 한자 : 글자가 유약하거나 글자의 바닥이 없는 글자입니다. 華, 斤, 羊, 帛, 平, 斗, 年, 市, 幸, 科, ... 虛한 한자 : 글자의 내용이 공허하고 소극적인 뜻을 가진 글자입니다. 芝, 細, 占, 門, 行, 方, 弓, 入, ... 實한 한자 : 글자체가 견실하고 글자의 바닥이 있는 글자입니다. 益, 立, 玉, 昌, 皇, 國, 鳳, 基, 衡, ... (출처 성명학 전서) |
'작명학·음파작명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명용 한자 오행풀이 (0) | 2009.07.15 |
---|---|
이름의 의의(意義) (0) | 2009.07.15 |
불용문자(不用文字) (0) | 2009.07.15 |
사주보완(四柱補完) (0) | 2009.07.15 |
음양오행(陰陽五行) (0) | 2009.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