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상휴수(旺相休囚)

2009. 7. 15. 16:14주역·육임·육효

왕상휴수(旺相休囚)
점의 목적이 이루어지는지 안이루어지는지는 용신의 왕상휴수에 의해 결정됩니다. 그리고 이루어지는 시기는 병(病, 월파, 일충, 공망등)을 치유하는 때 이루어집니다.

용신을 생극(生剋)할 수 있는 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월령
월령이 용신과 비화(같은 오행)가 되거나 월령이 용신을 생하면 용신이 힘을 받습니다.
월령이 용신효를 충(沖)하면 월파(月破)라고 합니다.

2. 일진
일진이 용신과 비화(같은 오행)가 되거나 일진이 용신을 생하면 용신이 힘을 받습니다.
일진이 용신효를 충(沖)하면 일충(日沖)이라고 합니다. 안정되어 있는 효를 일진이 충하면 암동(暗動)이라고 합니다.

3. 동(변)효
동효가 용신과 비화(같은 오행)가 되거나 동효가 용신을 생하면 용신이 힘을 받습니다.
변효가 용신효(동효)를 충(沖)하면 반음(反吟)이라 하여 흉합니다.
변효가 용신효(동효)를 극(剋)하면 회두극(回頭剋)이라 흉합니다. 반대로 변효가 용신효를 생하면 회두생(回頭生)이라고 합니다. 만약 동효가 원신(原神, 용신을 생하는 오행)인데 회두극을 맞았다면 원신이 힘이 없으니 용신효를 생하지 못합니다.

만약 월령은 용신을 생하는데 일진이 용신을 극한다거나 월령은 용신을 극하고 일진은 생한다면 일생일극이니 동효를 보고 판단합니다. 동효가 용신을 생하면 2생 1극이니 힘이 있는 것이고 동효가 용신을 극하면 2극 1생이니 힘이 약합니다.


아래 예는 구재점(求財占)이니 財가 용신인데 財가 두군데 나타났습니다. 이 때는 발동한 4효가 용신입니다. 구재점은 재가 발동해야 재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용신효의 왕상휴수를 보면 월령과 일진에서 모두 비화가 되니 왕성합니다. 뿐만 아니라 발동하였는데 변효가 동효를 생하니 회두생(回頭生)이 되어 대단히 왕성합니다. 당일 재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주역·육임·육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합괘(六合卦), 육충괘(六沖卦)  (0) 2009.07.15
점(占)의 종류  (0) 2009.07.15
점괘해설과 점의 대상(大象)  (0) 2009.07.15
용신(用神)정하는 법  (0) 2009.07.15
비신납갑법(飛神納甲法)  (0) 2009.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