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칫하면 광역 정전사태"..얼마나 심각하길래
2010. 1. 12. 11:39ㆍ이야기·미스터리·히스토리
"자칫하면 광역 정전사태"..얼마나 심각하길래
- 16년만에 겨울철 전력난.."예비전력 빠듯..추위 이어지면 비상상황"
- 전기 이용한 난방 급증세..경기회복 따라 공장가동 증가해 더 부담
영하 10도 이하의 한파가 지속되면서 정부의 전력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난방수요가 늘면서 전력사용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에너지절약을 호소하는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하고, 비상대책본부를 마련했다. 도대체 전기수요 상황이 얼마나 심각한 것일까.
◇ 예비전력 위험수준에 바짝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지난 8일 오전 11시 전력수요가 6856만kW로 사상최대치를 기록했다. 전력수요 급증세가 이어지면서 사상 최대치 기록이 사흘연속 갈아치워진 것.
겨울 전력 수요가 여름철을 넘어서는 것은 지난 1993년 이후 16년만에 처음이다. 지난 8일의 기록은 지난해 8월19일 오후 3시에 기록한 사상최대의 전력수요(6321만kW)보다도 8.5%나 늘어난 수준이다.
5개월만에 불어난 전력수요 535만kW를 감당하려면 140만kW 용량의 신형 원전 4기가 더 필요하다.
전력소비가 늘면서 예비전력은 441만kW(예비율 6.4%)로 떨어졌다. 통상 예비전력이 600만kW를 넘어서야 안정적인 수준이다. 400만kW 밑으로 떨어지면 `비상상황`이다.
◇ 추위에 난방수요 늘고..경기회복도 한몫
전력수요가 크게 늘어나는 이유는 이상 한파로 난방용 전력 수요가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난방부하는 1675만kW로 지난해에 비해 18.4% 증가했다. 최대전력수요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4.4%에 달한다.
전기장판이나 전기담요, 전기난로의 보급이 30%대 수준으로 늘어났고, 학교․빌딩 등에서 대부분 시스템에어컨(EHP)을 사용하면서 난방부하가 급증하고 있다.
경기회복이 가시화되면서 공장의 전력수요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도 전력수요 측면에서는 부담이다.
지난해 11월 산업용 전력소비량은 전년동기대비 12% 증가하며 지난 2002년 1월 이후 최대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 대규모 피해 발생할까 `촉각`
영하 10도 이하의 날씨가 계속될 경우 최대전력수요는 7000만kW 수준에 도달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최대전력수요가 7000만kW에 달하면 예비전력은 322만kW(예비율 4.6%)로 떨어진다. 이는 400만kW를 밑도는 것으로 비상수준이다.
예비전력이 부족해지면 전력 주파수, 전압조정 등이 어려워져 전기 품질에 민감한 산업에 피해가 발생한다.
또 예비전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대용량 발전소(100만kW급 원전 등)가 고장나기라도 하면 광역정전사태 등 예상치 못한 사고로 이어질 위험도 있다.
예비전력이 100만kW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광역정전을 방지하기 위해 우선순위에 따라 전력공급을 강제로 차단해야 한다.
실제로 최근 폭설 때 프랑스에서는 예비전력 부족과 송전선로 고장으로 일부 지역에 대한 전력공급을 강제로 차단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정부는 전력수급대책본부를 운영해 비상상황에 대응하고, 일시적인 전기공급 확대와 부하관리를 통해 예비전력 182만7000kW(예비율 2.8%포인트)를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 전기 이용한 난방 급증세..경기회복 따라 공장가동 증가해 더 부담
영하 10도 이하의 한파가 지속되면서 정부의 전력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난방수요가 늘면서 전력사용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에너지절약을 호소하는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하고, 비상대책본부를 마련했다. 도대체 전기수요 상황이 얼마나 심각한 것일까.
◇ 예비전력 위험수준에 바짝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지난 8일 오전 11시 전력수요가 6856만kW로 사상최대치를 기록했다. 전력수요 급증세가 이어지면서 사상 최대치 기록이 사흘연속 갈아치워진 것.
|
5개월만에 불어난 전력수요 535만kW를 감당하려면 140만kW 용량의 신형 원전 4기가 더 필요하다.
전력소비가 늘면서 예비전력은 441만kW(예비율 6.4%)로 떨어졌다. 통상 예비전력이 600만kW를 넘어서야 안정적인 수준이다. 400만kW 밑으로 떨어지면 `비상상황`이다.
◇ 추위에 난방수요 늘고..경기회복도 한몫
전력수요가 크게 늘어나는 이유는 이상 한파로 난방용 전력 수요가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난방부하는 1675만kW로 지난해에 비해 18.4% 증가했다. 최대전력수요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4.4%에 달한다.
전기장판이나 전기담요, 전기난로의 보급이 30%대 수준으로 늘어났고, 학교․빌딩 등에서 대부분 시스템에어컨(EHP)을 사용하면서 난방부하가 급증하고 있다.
경기회복이 가시화되면서 공장의 전력수요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도 전력수요 측면에서는 부담이다.
지난해 11월 산업용 전력소비량은 전년동기대비 12% 증가하며 지난 2002년 1월 이후 최대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 대규모 피해 발생할까 `촉각`
영하 10도 이하의 날씨가 계속될 경우 최대전력수요는 7000만kW 수준에 도달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최대전력수요가 7000만kW에 달하면 예비전력은 322만kW(예비율 4.6%)로 떨어진다. 이는 400만kW를 밑도는 것으로 비상수준이다.
예비전력이 부족해지면 전력 주파수, 전압조정 등이 어려워져 전기 품질에 민감한 산업에 피해가 발생한다.
또 예비전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대용량 발전소(100만kW급 원전 등)가 고장나기라도 하면 광역정전사태 등 예상치 못한 사고로 이어질 위험도 있다.
예비전력이 100만kW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광역정전을 방지하기 위해 우선순위에 따라 전력공급을 강제로 차단해야 한다.
실제로 최근 폭설 때 프랑스에서는 예비전력 부족과 송전선로 고장으로 일부 지역에 대한 전력공급을 강제로 차단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정부는 전력수급대책본부를 운영해 비상상황에 대응하고, 일시적인 전기공급 확대와 부하관리를 통해 예비전력 182만7000kW(예비율 2.8%포인트)를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이야기·미스터리·히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서 발견된 황당한 오만원권 위조지폐 (0) | 2010.01.14 |
---|---|
천체 과학자들, "이게 뭐지 ?" (0) | 2010.01.13 |
지구는 어떻게 태양에 빨려들지 않았나 (0) | 2010.01.08 |
바다 괴물?…남극 괴생명체 진위 논란 (0) | 2010.01.07 |
웬 롤케익이 하늘에? (0) | 2010.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