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변원론(通變原論) - 질병론(疾病論)
2009. 7. 2. 23:43ㆍ가인역학원·가인명품작명·가인풍수원
통변원론(通變原論) - 질병론(疾病論) | |||||
V. 질병론(疾病論) 1. 평생 병이 적은 것은 일주가 고강하기 때문이다. 2. 庚寅일에 丙火를 만나면 土가 왕성해야 위험이 없다. 3. 乙巳일에 辛金을 만나고 신약하면 禍厄이 있다. 4. 金이 약한데 火焰地를 만나면 血疾無疑라. 5. 土가 허한데 木旺地를 만나면 비장위장(脾胃)이 상한다. 6. 근골동통(筋骨疼痛,신경통)은 대개 木이 金에 의해 손상된 때문이다. 7. 눈이 어두운 것은 火가 水의 극을 당했기 때문이다. 8. 下元冷疾은 水가 火에 의해 손상되었기 때문이다. 五行과 健康 질병이란 精神氣血의 주체가 손상됨이 있는 것인바, 안으로는 장부(臟腑)요, 밖으로는 지체(肢體,팔다리등)이다. 팔자간지와 오행생극의 이치로 판단하니 손상됨이 重한 자(약하거나 파극된 오행)로써 주로 판단한다. 천간이 내부에 소속한 것은 甲은 간(肝), 乙은 담(膽,쓸개), 丙은 소장(小腸), 丁은 심장(心臟), 戊는 위(胃), 己는 비장(脾臟), 庚은 대장(大腸), 辛은 폐(肺), 壬은 방광(膀胱), 癸는 신장(腎臟). 천간이 外支에 소속한 것은 甲은 頭(머리), 乙은 項(목), 丙은 肩(어깨), 丁은 心(가슴), 戊는 脇(옆구리), 己는 腹(배), 庚은 臍(배꼽), 辛은 股(넙적다리), 壬은 脛(정강이), 癸는 足(발)이다. 子는 산증(疝症, 고환등의 이상으로 허리와 아랫배가 아픈 병, 복부신경통)이요, 丑은 위장, 寅은 어깨나 사지, 卯는 눈과 손, 辰은 등과 가슴, 巳는 얼굴과 치아, 午는 심장과 복부, 未는 비장과 흉부, 申은 해수병(기침,기관지계통질환), 酉는 간과 폐, 戌은 등과 폐, 亥는 머리와 간이다. 간은 신장(콩팥)의 싹이요, 신장은 간의 주인이다. 신장은 눈에 통하고, 쓸개는 魂을 암장하고 있고, 간은 魄을 암장한다. 신장은 精을 암장하고, 심장은 神을 암장하며 비장은 氣를 암장한다. 목명(木命, 木日干)이 庚辛申酉가 많으면 간,쓸개에 병이 생기는데 놀라고 겁내며, 폐결핵이나 피를 토하거나, 머리가 어지럽고 눈이 침침하다. 가래천식, 각기(脚氣, 다리가 붓는 병)이다. 중풍, 반신불수, 눈이 돌아가거나 근육,뼈의동통(신경통), 피부건조증이나 눈병이 생긴다. 머리카락과 수염이 빠지고, 손발을 다치기도 한다. 여명은 낙태하거나 혈기가 조화롭지 못하며 소아는 경기를 일으키거나 밤에 울고 보채거나 기침병이 있다. 경에 이르기를 "근골동통(신경통)은 木이 金의 剋傷을 받기 때문이다"라고 했다. 화명(火命)이 水를 보고 亥子의 왕지에 임하면 소장과 심장의 병을 앓는다. 안으로는 급만성의 경풍(驚風,놀람증)가 있고 가슴이 답답하거나 아프다. 소리치고 발광하기도 한다. 밖으로는 눈이 어둡고 실명하기도 하며 부스럼,고름,종기등 피부병이 있고, 소아는 홍역과 마마를 앓는다. 부녀는 피가 건조하여 피땀이 난다. 안색이 붉다. 경에 이르기를 "눈이 어두운 것은 대개 火가 水의 剋을 만났기 때문이다"라고 했다. 토명(土命)이 木을 보고 寅卯의 왕지에 임하면 비장,위장이 손상을 입는다. 안으로는 목이 메어 음식이 막히고 배가 더부룩하고 설사와, 황종(黃腫,위장의 종양)가 생긴다. 따라서 음식을 먹을 수 없어 토하니 비장이 상한다. 밖으로는 왼손이나 입이나 배에 질환이 있고, 피부가 건조하고 거칠다. 소아는 감병(위가 나빠져 몸이 야위고 헛배부른 병)이 있다. 자주 체한다. 안면마비가 되거나 얼굴이 누렇다. 경에 이르기를 "토가 허하고 목이 왕성한 때에는 비장이 상하는 것이 定論이다."라고 했다. 금명(金命)이 火를 보고 巳午의 왕지에 임하면 대장과 폐에 손상이 있다. 해수(기침), 천식(숨을 헐떡거림)이 있고 대장의 이상과 치질이 생긴다. 정신병(도깨비에 홀려 정신을 잃고 겁이 많은 증세)을 앓기도 한다. 밖으로는 피부가 마르고 두풍(두풍)으로 코가 붉고 악창종기가 생긴다. 경에 이르기를 "金이 약하고 화염지에 임하면 혈질(血疾)이다"라고 했다. 수명(水命)이 土를 보고 토왕절에 임하면 방광과 신장에 병을 얻는다. 안으로는 유정(遺精, 밤에 잘 때 정액이 저절로 흘러나감)이 있고 귀녀(鬼女)와 동침하는 꿈을 꾸기도 한다. 정기가 빠져나가니 귀가 먹거나 상한(傷寒 급성 열병), 감기등에 걸린다. 밖으로는 치통과 산증이 있고 복부신경통, 허리통증, 설사복통, 임질등에 걸린다. 여인은 낙태하거나 냉대하등이 있다. 水는 寒을 주로 하니 안색이 붉고 검다. 경에 이르기를 "下元冷疾은 水가 土의 剋傷을 만났기 때문이다."라고 했다. (여환註 위 글은 일간을 위주로 말하였으나 오행을 통틀어 적용하는 것이 마땅하다. 목일간이라고 하여 어찌 간담에만 질병이 생기겠는가? 심장이나 위장, 폐에도 질병이 생길 수 있으니 사주팔자를 놓고 태왕한 오행이 무엇인지, 이 태왕한 오행으로부터 剋傷을 받고 있는 약한 오행이 무엇인지를 판단하여야 한다. ) 적천수 질병론 1. 사주가 조열(燥熱)하고 水나 습토(濕土)가 전혀 없으면 생기(生氣)가 없으니 담(痰)병, 열병(熱病)이요 설령 운로에서 水가 온다고 하여도 화를 제압하지 못하여 흉하다. 2. 金이 용신인데 허약무기(虛弱無氣)하고 水가 없거나 있어도 忌神으로 화하였고 木火의 극을 받으면 폐가 약한데 운로가 火地로 가면 水氣도 고갈될 것이니 폐병(肺病), 담(痰) 으로 흉하다. 3. 사주에 木이 태과(太過)한데 水가 약하면 목다수삼(木多水渗)으로 水氣가 木으로 설기되 어 고갈되며 더구나 金이 없거나 있어도 旺木의 극을 받으면 그 기세를 거스를 수 없으 므로 운로에서 목화운으로 가야 한다. 만약 태왕한 목화를 거슬러 금수운이 오면 목화가 더욱 날뛰니 병고로 신음하게 된다. 4. 만약 기신(忌神)이 지지에 깊이 암장되어 있고 힘이 있으며 용신은 허약하다면 이를 제거하기가 어려우니 흉하다. ① 土用神인데 木忌神이 지지암장되었다면, 예컨대 亥水중 甲木이라면 비장병,위장병. ② 金用神인데 火忌神이 지지암장되었다면, 예컨대 寅木중 丙火라면 대장병,폐병,해수. ③ 水用神인데 土忌神이 지지암장되었다면, 예컨대 巳火중 戊土라면 신장병, 방광병이다. ④ 木用神인데 金忌神이 지지암장되었다면, 예컨대 丑土중 庚金이라면 간장병, 風病. ⑤ 火用神인데 水忌神이 지지암장되었다면, 예컨대 申金중 壬水라면 심장병, 소장병. 5. 土가 태왕하여 木으로 소토(疎土)하지 못할 때에는 脾胃가 너무 有餘하니 병이 된다. ① 비장은 습한 것을 싫어하고 위장은 찬 것을 싫어한다. ② 사주에 습토濕土가 많다면 봄, 겨울에 발병한다. ③ 사주에 조토燥土가 많다면 그 병은 여름,가을에 발병한다. ④ 사주에 조토燥土가 부족하다면 그 병은 봄, 겨울에 발병한다. ⑤ 사주에 습토濕土가 부족하다면 그 병은 여름,가을에 발병한다. 6. 기신이 천간에 노출되어 있고 지지에 뿌리가 없어 허(虛)하면 운로에서 쉽게 제화할 수 있으므로 병이 비교적 가볍다. 운로에서 희신운이 오면 문제가 되지 않으나 기신운에서 는 흉하다. 7. 사주가 木火로 틀을 짰는데 金이 없고 水가 미약하다면 오히려 水가 병이 되니 水運이 오면 혈병(血病, 혈액순환관련질병)이 된다. 8. 土가 조열하면 火의 生을 받지 못한다. 또 습토라도 水의 극을 받고 있으면 火의 生을 받지 못한다. 반드시 습토라야 火를 설기하고 金을 생할 수 있다. 토가 화의 생을 받아 들이지 못하면 金이 극을 받으니 폐(肺)가 손상되며, 水가 손상되면 혈액순환에 관련된 병이 생긴다. 9. 천간론(天干論)을 확실히 알고 있어야 한다. 예컨대 木은 火가 왕성하면 불에 타버린다. 이 때는 木에 관련된 질병 즉 風,痰의 질병입니다. 木火가 왕성하면 水가 火의 극을 받을 것이니 혈액순환질병과 신장병, 痰병이요, 또 火와 마른 토(燥土)가 왕성하여 조열 하다면 金이 극을 받으니 폐와 관련된 질병 즉, 기침, 해수,가래등이 생길 것이고 피부 가려움증(피부는 金)이 생길 것이고 습(濕)하다면 종기,부스럼등이 생길 것이다. 水가 많으면 마른 기침이다. 10. 火가 치열할 때 金氣가 역행하여 위로 올라오면 간(肝)과 신장도 피해를 입고 혈액순환 에도 장애가 되어 독(毒)을 이루어 우울증이 생긴다. 水木이 태왕하여 土가 극을 받아 허약하면 비장,위장이 해를 받으니 소화불량,위장장애등이 생긴다. 性情과 健康 사람의 성정은 인체의 장부와 관련이 있어서 마음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장부에도 영향을 미쳐서 건강상태가 달라질 수 있다. 사람의 감정이 도를 넘지 않고 절제되면 건강에도 좋은 영향을 미치고, 감정이 도를 넘어 절제되지 못하면 건강에도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木(간,담) - 怒 (분노) 火(심,소장) - 喜 (기쁨) 土(비,위) - 憂思 (근심걱정) 金(폐,대장) - 悲 (슬픔,비관) 水(신,방광) - 恐驚 (놀람,두려움) 설명하자면 목이 태과하거나 불급하면 화를 잘 내고, 화가 태과불급하면 잘 웃고 감정기복이 심하며, 토가 태과불급하면 근심걱정이 많고, 금이 태과불급하면 비관적이고, 수가 태과불급이면 잘 놀란다. 1. 화를 많이 내는 사람 木氣가 자주 발하니 土氣(비장,위장)가 극을 받아 소화불량이나 식체(食滯)가 된다. 소화불량이면 충분한 영양이 섭취되지 못하니 영양의 불균형이 된다. 또 土가 극을 받으면 金을 생하지 못하니 金(폐,대장)도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이런 습관이 지속되면 폐가 약화되거나 변비등 대장관련질환이 생길 수 있다. 더구나 화가 나서 피우는 담배는 더욱 폐를 망가지게 한다. 2. 지나치게 웃고 기뻐하는 사람 火氣가 자주 발하니 열이 오르고 심장에 압박이 가해진다. 심장활동이 왕성해지면 폐가 극을 받으니 천식등 호흡곤란이 생길 수 있다. 이런 습관이 지속되면 폐가 극을 받아 약화되고 폐가 약화되면 신장이 생을 못받으니 신장역시 약화된다. 심장이 무리한 활동을 하면 간도 약화된다. 담배를 피우면 폐가 더욱 나빠진다. 3. 생각이 많고 항상 근심걱정을 하는 사람 土氣가 자주 발하니 신장이 직접적으로 극을 받는다. 편안한 잠을 자지 못하고 휴식시간에도 끊임없는 근심걱정을 하니 신장의 精氣가 소모되어 신장이 약화되며 신장이 약화되면 간장도 생을 못받으니 약화되어 피가 탁해진다. 간이 약해지니 항상 피로하고 안색이 초췌하고 눈이 침침하다. 여기에 술을 많이 마시면 간장이 더욱 나빠진다. 4. 자주 슬퍼하고 비관하는 사람 金氣가 자주 발하니 간장이 극을 받는다. 간장이 약화되면 심장이 생을 못받으니 심장도 약화된다. 여기에 술을 많이 마시면 간장이 더욱 나빠진다. 혈관에 노폐물(칼슘등)이 쌓이면 간장이 제거해 주어야 하는데 간장이 제기능을 못하면 심장의 혈관이 이상이 생기고 심혈관과 관련된 질병이 생길 수 있다. 5. 자주 놀라고 두려워하는 사람 水氣가 자주 발하니 심장이 위축된다. 혈액순환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 몸의 열이 저하되니 비장위장이 영향을 받아 소화불량, 위궤양등이 생길 수 있다. 과식을 하거나 한밤중에 야식을 하는 사람은 위장이 더욱 부담을 받아 약화된다. 오랫동안 가슴앓이를 하면서 자주 놀라는 사람은 심장발작을 일으켜 심장마비가 올수도 있다 |
'가인역학원·가인명품작명·가인풍수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병법 3. 팔자가 깨어지면 병도 들끓는구만... (0) | 2009.07.02 |
---|---|
우울증의 발병 요인 (0) | 2009.07.02 |
질병 통변 (0) | 2009.07.02 |
사주와 대운과 유년의 간지 배합관계에서 질병의 발생과 (0) | 2009.07.02 |
겁살(劫煞) (0) | 2009.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