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7. 5. 23:41ㆍ가인역학원·가인명품작명·가인풍수원
명리학강의 제1강 정확한 사주대운, 쇠왕(衰旺)
한 글자도 빼놓지 말고 필수암기 ( 100번이상 읽고 쓰시오. )
1. 사주감정순서(四柱鑑定順序)
이론: 1.강약 2.조후 3.합충 4.격국 5.용신 6.청탁 7.운로
통변: 1.성격 2.직업 3.건강 4.육친(배우자,자녀,부모,형제) 5.재물 6.명예 7.운세 8.인생설계
2. 오행.간지(五行.干支) - 木, 火, 土, 金, 水
-. 木生火, 火生土, 土生金, 金生水, 水生木 -. 木克土, 火克金, 土克水, 金克木, 水克火
-. 天干 : 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 -. 地支 : 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
-. 甲乙木, 丙丁火, 戊己土, 庚辛金, 壬癸水 -. 甲丙戊庚壬 陽干, 乙丁己辛癸 陰干
-. 寅卯木, 巳午火, 申酉金, 亥子水, 辰戌丑未土 -. 子寅辰午申戌 陽支, 丑卯巳未酉亥 陰支
3. 만세력(萬歲曆)
-. 표준시 자오선 : 서울 동경(E) 126도 58분 (국제표준시: 한국, 일본 E135도, 중국 E120도)
-. 표준시 시행시기 : 1954.03.21. ~ 1961.08.09. 동경 127도 30분, 기타 동경 135도.
-. 경도조정 : 표준시와 출생지사이의 시간차를 보정. 서울(-32분, 부산 -24분)
-. 써머타임 시행시기 : 12회 48년 ~ 51년, 55년 ~ 60년, 87년 ~ 88년 (5월 ~ 9월)
-. 야자시설 : 경도조정후 23시 ~ 24시 사이이면 야자시에 해당. 시주(時柱)는 다음날 기준.
일주는 야자시설에 따르면 당일, 야자시설을 따르지 않으면 다음날 일주사용.
-. 해외출생자 : 생년월일은 출생지기준(양력)으로 함. 경도조정,써머타임조정,절입조정은 필요.
-. 연주(年柱)는 입춘부터 시작. 월주(月柱)는 각 달의 절기(節氣)부터 시작. 연주로 정해짐.
-. 월건법 : 甲己年 丙寅月, 乙庚年 戊寅月, 丙辛年 庚寅月, 丁壬年 壬寅月, 戊癸年 甲寅月
-. 일주(日柱)는 60갑자가 연주와 상관없이 돌아감. 시주(時柱)는 일주에 따라 정해짐.
-. 시둔법 : 甲己日 甲子時, 乙庚日 丙子時, 丙辛日 戊子時, 丁壬日 庚子時, 戊癸日 壬子時
-. 대운(大運) : 양남음녀순행(陽男陰女順行), 음남양녀역행(陰男陽女逆行)
연주의 천간이 양간이면 남자는 순행, 여자는 역행, 음간이면 이와 반대.
대운수 : 순행이면 출생일부터 다음 절기까지 날짜, 역행이면 이전 절기까지 날짜를 세고
이 날짜를 3으로 나누어 몫이 대운이 됨. (1이 남으면 버리고 2가 남으면 +1)
4. 지장간(支藏干) - 예: 입춘은 절기(節氣), 우수는 중기(中氣)
寅(戊丙甲)月-입춘우수, 卯(甲乙)月-경칩춘분, 辰(乙癸戊)月-청명곡우, 巳(戊庚丙)月-입하소만, 午(丙己丁)月-망종하지, 未(丁乙己)月-소서대서,申(己戊壬庚)月-입추처서, 酉(庚辛)月-백로추분
戌(辛丁戊)月-한로상강, 亥(戊甲壬)月-입동소설, 子(壬癸)月-대설동지, 丑(癸辛己)月-소한대한
5. 합충(合沖)
-. 天干合 : 甲己合土, 乙庚合金, 丙辛合水, 丁壬合木, 戊癸合火
-. 天干沖 : 甲庚沖, 乙辛沖, 丙壬沖, 丁癸沖, 戊甲沖, 己乙沖
-. 方 : 寅卯辰木方, 巳午未火方, 申酉戌金方, 亥子丑水方
-. 局(地支三合) : 亥卯未木局, 寅午戌火局, 巳酉丑金局, 申子辰水局
-. 半局 : 亥卯,卯未,亥未 寅午,午戌,寅戌 巳酉,酉丑,巳丑 申子,子辰,申辰
-. 地支六合 : 寅亥合木, 卯戌合火, 子丑合土, 辰酉合金, 巳申合水, 午未合
-. 地支沖 : 寅申沖, 巳亥沖, 子午沖, 卯酉沖, 辰戌沖, 丑未沖
-. 地支三刑 : 寅巳申 持勢之刑, 丑戌未 無恩之刑, 子卯 無禮之刑, 辰午酉亥 自刑
6. 육친(六親) - 십신(十神)
生我者父母(印星), 我生者子孫(食傷), 剋我者官鬼(官星), 我剋者妻財(財星), 比和者兄弟(比劫)
比肩, 劫財, 食神, 傷官, 偏財, 正財, 偏官(七殺), 正官, 偏印(梟神,倒食), 正印
육친길신 : 정인, 정관, 식신 육친흉신 : 효신, 칠살, 상관, 겁재 한신 : 정재, 편재, 비견
길다화흉(吉多化凶) - 길신도 많으면 흉신화. 흉제화길(凶制化吉) - 흉신도 제화되면 길신화.
7. 육친생극(六親生剋)
比劫生食傷, 食傷生財, 財生官, 官生印, 印生比劫. 比劫克財, 食傷克官, 財克印, 官克比劫, 印克食傷.
十神剋沖 : 比肩剋偏財, 劫財剋正財, 食神剋七殺, 傷官剋正官, 偏財剋偏印, 正財剋正印,
七殺剋比肩, 正官剋劫財, 偏印剋食神, 正印剋傷官
8. 왕상휴수(旺相休囚)
春木, 夏火, 秋金, 冬水 : 旺 冬木, 春火, 夏金, 秋水 : 相
夏木, 秋火, 冬金, 春水 : 休 秋木, 冬火, 春金, 夏水 : 囚
십이운성(十二運星) : 生,浴,帶(相) 冠,旺,衰(旺) 病,死,墓(休) 絶,胎,養(囚) 장결(掌訣)
양포태 : 일간 陽干, 음포태 : 일간 陰干, 명리에서는 양포태(오행 왕상휴수)만 씀.
9. 일주강약(日主强弱)
1. 數 비겁,인성의 개수를 세고 (A) 식상,재,관의 개수를 센다. (B)
A가 B보다 많으면 일주는 강하고, B가 A보다 많으면 일주는 약하다.
2. 節氣 월령(月令)이 비겁이거나 인성이면 일주편이 더 강하다.
3. 通根 천간에 있는 글자는 지지에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강하고 뿌리가 없으면 약하다.
4. 遠近 비겁,인성이 일주로부터 멀리 있으면 도움이 약하고, 가까이 있으면 도움이 크다.
10. 오행희기(五行喜忌) - 생극의 변화
身旺 金旺得火 方成器血, 火旺得水 方成相濟, 水旺得土 方成池沼, 土旺得水 方能疏通, 木旺得金 方成棟樑
身旺 金賴土生 土多金埋, 土賴火生 火多土焦, 火賴木生 木多火熾, 木賴水生 水多木漂, 水賴金生 金多水濁
身旺 强金得水 方挫其鋒, 强水得木 方泄其勢, 强木得火 方化其頑, 强火得土 方止其焰, 强土得金 方制其害
身弱 金能生水 水多金沈, 水能生木 木多水縮, 木能生火 火多木焚, 火能生土 土多火埋, 土能生金 金多土變
身弱 金能剋木 木堅金缺, 木能剋土 土重木折, 土能剋水 水多土流, 水能剋火 火多水熱, 火能剋金 金多火熄
身弱 金衰遇火 必見消鎔, 火若逢水 必爲熄滅, 水弱逢土 必爲游塞, 土衰遇木 必遭傾陷, 木弱逢金 必爲破斫
아래 생년월일로 정확한 사주, 대운을 뽑아보시오. (만세력책만 가지고.)
1. 양력 2005년 08월 20일 23:43 부산 남
2. 양력 1987년 08월 08일 00:38 서울 여
3. 양력 1956년 06월 06일 03:05 서울 남
4. 양력 1955년 08월 08일 17:28 서울 여
5. 양력 1956년 07월 07일 13:30 서울 남
아래 사주의 일주강약을 판단하시오.
戊 甲 丁 甲 辰 子 卯 辰 癸 壬 辛 庚 己 戊 酉 申 未 午 巳 辰 |
乙 甲 乙 癸 亥 寅 卯 卯 己 庚 辛 壬 癸 甲 酉 戌 亥 子 丑 寅 |
辛 甲 甲 乙 未 申 申 丑 戊 己 庚 辛 壬 癸 寅 卯 辰 巳 午 未 |
丙 乙 己 己 戌 酉 巳 巳 癸 甲 乙 丙 丁 戊 亥 子 丑 寅 卯 辰 |
甲 丙 壬 乙 午 戌 午 丑 丙 丁 戊 己 庚 辛 子 丑 寅 卯 辰 巳 |
甲 丙 丁 戊 午 寅 巳 寅 癸 壬 辛 庚 己 戊 亥 戌 酉 申 未 午 |
辛 丁 丁 辛 丑 酉 酉 巳 辛 壬 癸 甲 乙 丙 卯 辰 巳 午 未 申 |
己 丙 壬 辛 亥 申 辰 亥 丙 丁 戊 己 庚 辛 戌 亥 子 丑 寅 卯 |
己 戊 戊 戊 未 申 午 辰 甲 癸 壬 辛 庚 己 子 亥 戌 酉 申 未 |
명리학강의 제2강 천간론, 희기(喜忌)
한 글자도 빼놓지 말고 필수암기 ( 100번이상 읽고 쓰시오. )
1. 천간합(天干合)
갑기합토(甲己合土) 중정지합(中正之合) : 마음이 너그럽고, 남과 다투지 않으며 세인의 존경을 받는다. 甲일생으로 己와 합하면 신의는 있으나 지혜가 부족하고 己일생으로 甲과 합하면 신의가 없고 목소리가 탁하다. 을경합금(乙庚合金) 인의지합(仁義之合) : 과감, 강직하고 의리가 있음. 편관, 死絶이 있으면 천박하다. 乙일생으로 庚과 합하면 예의가 없고 결단력이 없으며 庚일생으로 乙과 합하면 자비심이 없다.
병신합수(丙辛合水) 위엄지합(威嚴之合) : 위엄은 있으나 편굴하고 잔인하고 호색하다. 丙일생이 辛과 합하면 지혜는 있으나 간계(奸計)에 능하다. 辛일생으로 丙과 합하면 소심왜소하다.
정임합목(丁壬合木) 인수지합(仁壽之合) : 감성적이고 호색하다. 편관칠살,死絶,도화가 있으면 음란하고 파가(破家)한다. 丁일생으로 壬과 합하면 소심하고 질투심이 있고 壬일생이 丁과 합하면 편굴하고 성을 잘내며 신의가 없다. 무계합화(戊癸合火) 무정지합(無情之合) : 남녀간에 무정하고 미모이나 호사(豪奢)를 좋아한다. 戊일생이 癸와 합하면 총명하나 내심은 무정하고 癸일생으로 戊와 합하면 어리석고 질투심이 있고 시작은 있으나 끝은 없다.
2. 천간음양(天干陰陽)
오양종기부종세(五陽從氣不從勢) : 양간(陽干)은 자기 자존심을 지키고 세력을 쫓지 않는다.
오음종세무정의(五陰從勢無情義) : 음간(陰干)은 세력이 강한 쪽을 따라가고 의리가 없다.
양성음쇠 군자지풍(陽盛陰衰 君子之風) : 사주에 양간,양지가 많으면 군자의 德이 있다.
음성양쇠 다능지상(陰盛陽衰 多能之象) : 사주에 음간,음지가 많으면 才는 있으나 세력과 재물을 쫓는다.
3. 천간희기(天干喜忌)
甲木은 봄에는 金을 얕보니 金을 쓸 수 없고 火로 설기해야 한다. 여름에는 水가 필요하고, 가을에는 土가 무섭다. 겨울과 정월에는 추위를 녹이기 위해 火가 필요하다. 지지에 火局을 이루고 천간에 火가 있으면 타버리니 辰土가 필요하다.
지지에 水局을 이루고 천간에 水가 나와 있으면 물에 떠내려가니 지지에 寅木이 필요하다.
乙木은 丑未月이나 丑未日이라도 무방하며, 辛酉月이라도 丙丁이 천간에 나와 있으면 무방하다. 亥子丑月에는 丙丁과 戌未燥土가 필요하다. 甲木과 寅木이 있으면 사계절이 가하다.
丙火는 맹렬하여 얼어붙은 것도 해동시킬 수 있다. 庚金을 단련시킬 수 있다. 신금을 만나면 합하고, 己土를 만나면 유정하다. 아랫사람에게도 자비를 베푼다. 윗사람에게도 구차하게 도움을 바라지 않는다. 지지에 인오술이 있는데 甲木이 있으면 甲木이 불에 타게 되는데 이 때는 己土, 丑土, 辰土가 있어야 한다. 戊土, 戌土, 未土는 丙火를 만나면 볶여 터진다. 병화가 己土를 만나면 성정이 유순해진다. 너무 치열하다면 壬水를 만나야 불꽃이 제압이 된다. 癸水가 병화를 만나면 증발하여 버린다.
丁火는 유순하고 안으로 밝은 지혜가 있다. 乙木이 辛金을 만나서 극을 받을 때 을목을 보호한다. 壬水가 戊土를 만나서 극을 받을 때 丁火가 壬水와 합이 되면 戊土의 극을 면하니 관성인 壬水에게 충성한다. 정화는 왕성하여도 불꽃이 지나치지 않고 면면히 이어진다. 木이 있으면 가을, 겨울이라도 가하다.
戊土는 燥土이니 봄여름에는 양기가 왕성하여 水, 丑辰濕土가 필요하다. 만약 戌未燥土만 있다면 병들게 된다. 가을겨울에는 음기가 왕성하니 火,戌未燥土가 필요하다. 만약 丑辰濕土만 있다면 얼고 병든다. 寅월과 申월에 생하였으면 沖을 두려워한다. 정월의 戊土는 목으로부터 극을 받으므로 氣가 虛하니 안정됨이 마땅하고 충이 있으면 좋지 않다. 7월의 무토는 설기가 많아서 약하므로 안정됨이 마땅하고 충이 있으면 좋지 않다. 진술축미월에 생한 무토는 金을 만나 토의 기운을 설기해야 한다. 이 때 무기토가 주중에 목화가 있는데 운에서 다시 목화를 만나면 파격이 된다.
己土는 습토이며 木이 왕성하여도 두려워하지 않는다. 성정이 유순하고 화목하며 습하여 목의 뿌리가 되기 때문이다. 水가 광분하여도 두려워하지 않는다.
기토가 정화를 만나면 정화의 빛을 가려버린다. 어둡고 습한 토이기 때문이다.
신금을 만나면 능히 윤택하게 하여준다. 병화를 만나면 음습한 기운을 제거시켜 주니 좋다.
庚金은 숙살지기이니 강건하다. 임수를 만나면 살기를 유통시키니 청해진다. 정화를 만나면 단련을 받아 쓸모있게 된다. 경금이 봄여름에 나면 기가 약하여 진축습토를 만나야 하고 술미조토를 만나면 취약해진다. 갑목은 극벌하고 을목은 합이 된다. 을목과 합하여 화하지 않는다면 도리어 경금은 나약하게 되고 을목은 경금의 난폭함을 돕는다.
辛金은 연약하고 溫潤하니 淸하다. 戊土가 중첩됨을 꺼리는데 토다금매(土多金埋, 토가 많으면 금이 묻힘)가 되기 때문이다. 壬癸水는 좋아하는데 기운을 유통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丙火가 태왕하여 甲木이 불에 탈 위기에 처했을 때 辛金이 丙火와 합이 되면 水로 화하여 木을 도우니 갑목에게 큰 은혜를 베푼다. 戊土가 壬水를 극할 때 丙火가 있으면 戊土를 도와 흉한데 辛金이 丙火와 합이 되면 水가 되어 壬水를 도우니 임수에게 큰 은혜를 베푼다.
신금이 여름에 생하더라도 己土만 있으면 기토가 열을 흡수하여 거두어 신금을 생하니 己土를 좋아하며, 겨울에 생하여 水가 왕하여도 丁火만 있으면 水의 습기를 제거하고 금을 생할 수 있다.
壬水는 庚金의 기운을 설기하여 유통시킨다. 두루 흘러 막히지 않고 나아가지만 물러서지 않는다. 申子辰水局에 壬癸水가 투출하였다면 己土로 제압하지 못하므로 木으로 설기해야 한다. 壬水는 丁火와 합하여 木이 되어 다시 丁火를 생하니 다정하다. 임수라도 巳午未月에 생하고 金水가 없어 도움을 받지 못하면 어쩔수 없이 화로 從해야 한다. 土가 왕성하면 土로 從해야 한다.
癸水는 지극히 약하다. 능히 土를 윤택하게 하고 金을 생할 수 있다. 辰土를 얻으면 화하여 변화가 불측하다. 十天干이 辰土를 만나면 辰土의 化神을 천간에 투출시킨다. 계수는 火土를 만나면 縱火해버린다. 계수는 庚申金을 洩氣할 수 없으니 金이 많으면 濁水가 된다. 가을겨울의 계수는 지지에 辰土가 있으면 천간에 병정이 투출하였더라도 종화하기 어렵다.
甲子旬 戌亥空亡 : 甲子 乙丑 丙寅 丁卯 戊辰 己巳 庚午 辛未 壬申 癸酉
甲戌旬 申酉空亡 : 甲戌 乙亥 丙子 丁丑 戊寅 己卯 庚辰 辛巳 壬午 癸未
甲申旬 午未空亡 : 甲申 乙酉 丙戌 丁亥 戊子 己丑 庚寅 辛卯 壬辰 癸巳
甲午旬 辰巳空亡 : 甲午 乙未 丙申 丁酉 戊戌 己亥 庚子 辛丑 壬寅 癸卯
甲辰旬 寅卯空亡 : 甲辰 乙巳 丙午 丁未 戊申 己酉 庚戌 辛亥 壬子 癸丑
甲寅旬 子丑空亡 : 甲寅 乙卯 丙辰 丁巳 戊午 己未 庚申 辛酉 壬戌 癸亥
甲1 乙2 丙3 丁4 戊5 己6 庚7 辛8 壬9 癸10
子1 丑2 寅3 卯4 辰5 巳6 午7 未8 申9 酉10 戌11 亥12
일진의 지지숫자에서 천간숫자를 뺀다. 음수가 되면 12를 더한다. 戊戌일진이면 戌11 - 戊5 = 6.
6이면 巳이니 辰巳공망, 甲午旬임.
生1 浴2 帶3 冠4 旺5 衰6 病7 死8 墓9 絶10 胎11 養12
양간이면 지지-천간+2, 음간이면 천간-지지+6 음수가 되면 12를 더함.
명리학강의 제3강 지지론, 합충(合沖)
한 글자도 빼놓지 말고 필수암기 ( 100번이상 읽고 쓰시오. )
1. 희신기신(喜神忌神)
용신(用神, 중화를 이루는 오행), 희신(喜神, 용신을 돕는 오행), 기신(忌神, 용신을 극하는 오행)
구신(仇神, 희신을 극하는 오행), 한신(閑神, 한가로이 일이 없는 오행이나 길흉에 관여한다.)
木용신, 水희신(이 경우 水木用神이라고도 함.)이면 기신은 金, 구신은 土, 한신은 火가 됨.
2. 지지합(地支合)
합유의불의(合有宜不宜) 합다불위기(合多不爲奇) : 합은 마땅한 것도 있고 마땅치 않은 것도 있으며 합이 많으면 길하지 않다. 합이 많으면 기운이 소통이 안되니 사주가 탁해진다. (충이 많아도 탁함.)
복잡다단하니 세밀하게 판단해야 하고 훈련을 많이 해야 한다.
(1) 합이 되어 길한 경우
-. 庚金이 희신인데 乙木이 합하여 金이 되면 희신을 돕는다.
-. 己土가 희신인데 甲木(흉신)이 합하여 土가 되면 희신을 돕는다.
-. 丁火가 희신인데 壬水(흉신)가 합하여 木이 되면 희신을 돕는다.
-. 寅木(卯木)이 희신인데 亥水가 합하여 木이 되면 희신을 돕는다.
-. 酉金이 희신인데 辰土가 합하여 金이 되면 희신을 돕는다.
-. 午火가 희신인데 寅木이나 戌土가 합하여 火가 되면 희신을 돕는다.
-. 酉金이 희신인데 巳火나 丑土가 합하여 金이 되면 희신을 돕는다.
-. 子水가 희신인데 申金이나 辰土가 합하여 水가 되면 희신을 돕는다.
(2) 합이 되어 흉한 경우
-. 甲이 기신인데 寅亥合으로 甲木을 도울 경우 기신을 돕는다.
-. 庚金이 기신인데 乙庚合이면 기신을 돕는다.
-. 己土가 기신인데 甲己合이면 기신을 돕는다.
...
(3) 합이화(合而化), 합이불화(合而不化)
합해서 化하는 것은 약하기 때문이다. 강하면 化하지 않음. 예컨대 천간에 병화, 신금이 있는데 모두 지지에 뿌리가 튼튼하면 서로 힘이 있으니 굳이 水로 화하지 않는다. (내가 먹고살 힘이 충분하면 남을 따라가지 않음.) 그렇다고 합이 아니라는 것은 아님. 병신합은 되나 水로 화하지 않는다는 뜻.
(4) 기반(羈絆) : 합이 되어 희신발복이 안되는 경우(답답함)
희신이 합을 했으나 化하지 않은 경우 즉, 합이불화(合而不化)인 경우에는 희신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된다. 이를 얽매어 묶였다고 해서 기반이라고 함. 乙木이 희신인데 乙庚合이 되고 化하지 않는 경우. 마치 사내가 밖에 나가 큰 일을 하려고 하는데 여자가 옷을 붙잡고 못나가게 하는 것과 같다.
3. 지지충(地支沖)
(1) 天干沖은 세력을 불문하고 金水가 木火를 剋한다. 그러나 地支沖은 세력을 따져보아야 한다.
왕자충쇠쇠자발(旺者沖衰衰者拔) : 왕성한 자가 쇠약한 자를 충하면 쇠약한 자는 뿌리가 뽑힌다.
쇠신충왕왕신발(衰神沖旺旺神發) : 쇠약한 자가 왕성한 자를 충하면 왕신만 발달(격노)한다.
왕성한 희신(喜神)이 쇠약한 기신(忌神)을 충거하면 길하다.
쇠약한 희신(喜神)이 왕성한 기신(忌神)을 충하면 흉신이 격노하니 화(禍)를 당하고
쇠약한 기신(喜神)이 왕성한 희신(忌神)을 충하면 화(禍)는 없으나 좋을 것도 없다.
寅木이 많고 득령하였는데 申金이 약하다면 申金이 도리어 寅木으로부터 충을 당한다.
(寅中丙火가 申中庚金을 剋하고 寅中戊土가 申中壬水를 剋함.) 이 때 寅木이 격노하게 되는데 寅木이 흉신이라면 흉신이 격노하니 흉하고, 寅木이 길신이라면 흉하지 않다.
-. 子午沖에서 午火가 왕성하고 子水는 쇠약하며 金이 없고 木만 있으면 午가 子를 沖한다.
-. 卯酉沖에서 卯木이 왕성하고 酉金이 쇠약하며 土가 없고 火만 있으면 卯가 酉를 충한다.
-. 寅申沖에서 寅木이 왕성하고 申金이 쇠약하며 火가 있으면 寅이 申을 충한다.
-. 巳亥沖에서 巳火가 왕성하고 亥水는 쇠약하며 木이 있으면 巳가 亥를 沖한다.
(2) 희신이 충을 당할 경우에는 구제신(救濟神, 희신을 돕는 신)이 있나 없나를 보아야 한다. 구제신이 있으면 忌神의 충을 막아내니 흉하지 않다. 예컨대 寅木이 용신인데 申金으로부터 충을 당하고 있다면 火가 구제신(救濟神)인데 지지에 午火가 있고 천간에 丙丁火가 있다면 寅木을 구제하니 흉하지 않다.
(3) 인신사해충(寅申巳亥沖) : 서로 피해를 입어 함께 상하니 충을 꺼린다.
寅 申 巳 亥
丙 壬 庚 甲
甲 庚 丙 壬
(4) 자오묘유충(子午卯酉沖) : 길흉이 상반된다. 子水가 午火를 충하는데 午火가 희신이라면
기신이 희신을 충하는 것이니 흉하고, 子水가 희신이라면 희신이 기신을 충하는 것이니 길하다.
그러나 이도 역시 위 세력을 따져보아 통변(通變)해야 한다.( 午가 旺하면 子가 충을 당함. )
(5) 진술축미충(辰戌丑未沖) : 같은 오행(土)끼리의 沖이니 붕충(朋沖)이다. 붕충은 動한다. 만약 천간의 희신이 지지의 고장(庫藏)을 뿌리로 삼고 있는데(다른 뿌리는 없음.) 붕충이 있으면 뿌리가 뽑힌다. 예컨대 辰月의 乙木과 未月의 丁火는 충이 있으면 뿌리가 뽑히게 된다. (戌中申金->辰中乙木을 剋, 丑中癸水->未中丁火를 剋) 이 경우 을목, 정화는 용신으로 쓸 수 없다. 그러나 희신이 土라면 朋沖이라도 손해가 없고 오히려 발달한다. 또 천간에 투출한 장간을 보아야 한다.
4. 암충암회(暗沖暗會), 충중봉합(沖中逢合), 합처봉충(合處逢沖)
암충암회는 대운세운에서 사주원국의 간지를 충하거나 합하는 것을 말한다.
-. 午가 희신인데 子의 沖이 있다면 대운세운에서 寅, 戌이 와서 午와 합하면 火가 되어 沖을 구제한다.
-. 子가 희신인데 대운세운에서 申, 辰이 와서 합하면 水로 화하여 子를 도우니 길하다.
-. 亥가 희신인데 대운세운에서 卯, 未를 만나면 木으로 化하니 희신을 合去하여 흉하다.
-. 탐생망극(貪生忘剋) : 寅木과 申金사이에 亥水가 있으면 통관이 되니 인목이 구제된다.
-. 탐합망충(貪合忘沖) : 寅木과 申金사이에 巳火가 있으면 巳神合이 되니 인목이 구제된다.
예. 子水가 午火를 충하는데 丑土가 있으면 자축합이 되어 오화를 충하지 않는다.
-. 卯酉沖에서 卯木이 희신인데 辰土가 있으면 辰酉合金이 되어 다시 卯木을 치니 흉하다.
-. 巳亥沖에서 巳火가 희신인데 申金이 있으면 巳申合水가 되어 다시 巳火를 치니 흉하다.
명리학강의 제4강 간지총론, 순패(順悖)
한 글자도 빼놓지 말고 필수암기 ( 100번이상 읽고 쓰시오. )
1. 천복지재(天覆地載)
천간에서는 덮어주고 지지에서는 실어준다는 뜻. 천간의 甲乙이 희신이면 지지에서 寅卯亥子가 있어 실어주고, 지지의 寅卯가 희신이라면 천간에서 甲乙壬癸가 덮어주어야 길하다. 반대로 기신을 천간에서 덮어주거나 지지에서 실어주면 기신이 방자하게 되어 흉하다.
순(順) : 희신이 천복지재가 잘 되고, 좌우가 유정(有情)한 것.
패(悖) : 천간의 희신이 지지에서 극을 받거나 지지의 희신이 천간에서 극을 받는 경우.
-. 지생천자 천쇠파충(地生天者 天衰怕沖)
일주가 쇠약한데 지지에 의지하고 있으면 沖이 두렵고, 일주가 왕상하면 沖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甲 庚 丁 己 申 辰 卯 酉 辛 壬 癸 甲 乙 丙 酉 戌 亥 子 丑 寅 |
庚金일주가 힘이 있으니 丁火관성을 용신으로 삼는다. 丁火는 오직 월령의 묘목만을 의지하고 있다. 안타까운 것은 酉金이 卯木을 충하여 丁火用神의 뿌리가 뽑힌다. 卯木은 水가 없어 生助를 못받으니 구제를 받지 못한다. 대운도 金水운으로 가니 평생을 가난하게 살았다. |
-. 천합지자 지왕희정(天合地者 地旺喜靜)
천간이 지지와 합하면 地가 旺하고 안정됨을 기뻐한다. (충파를 꺼린다.)
丁亥(정임합), 戊子(무계합), 辛巳(병신합), 壬午(정임합), 甲午(갑기합), 己亥(갑기합), 癸巳(무계합)
乙 壬 辛 己 巳 午 未 巳 乙 丙 丁 戊 己 庚 丑 寅 卯 辰 巳 午 |
지지에 巳午未方이 있고 또 巳가 있으며 천간의 木이 이를 생하고 있으니 대단히 조열(燥熱)하다. 辛金은 未月 절지(絶地)에서 壬水를 생하지 못한다. 일주는 午중 丁火와 합이 되어 木으로 화한후 다시 火로 從한다. 따라서 목화용신이요, 토금은 흉하다. 정묘, 병인운에 발복하였다. |
-. 지전삼물 불가사천도막지용(地全三物 不可使天道莫之容)
지지에 方局이 있으면 왕성하니 제극신(制剋神)을 쓸 수 없고 설기(洩氣)만이 가하다. 예컨대 지지에 寅卯辰方이나 亥卯未局을 형성하였고 월령이 寅卯월이면 왕성하여 제극을 할 수 없으니 천간에 庚申金이 있으면 悖가 되니 용신으로 쓸 수 없고 반드시 丙丁火로 설기(洩氣)해야 한다. 만약 월령이 寅卯가 아니면 庚申金을 쓸 수 있으니 주의할 것.
丙 甲 庚 辛 寅 辰 寅 卯 甲 乙 丙 丁 戊 己 申 酉 戌 亥 子 丑 |
지지에 寅卯辰方을 갖추었고 時에도 寅木이 있으며 월령이 寅月이니 그 왕성한 기세를 꺽을 수 없으니 천간의 庚申金을 쓰지 못한다. 오직 時干의 丙火를 써야 한다. 이 때 庚申金은 병(病)이 되니 제거하여야 한다. 火, 木, 水가 모두 可하고 土,金은 흉하다. 초년 土운은 흉하였고 水운에는 발복하였으며 후년 金운에는 파직되었다. |
丁 甲 庚 庚 卯 寅 辰 寅 丙 乙 甲 癸 壬 辛 戌 酉 申 未 午 巳 |
寅卯辰木方이 모두 있고 또 寅이 있으나 월령이 辰土이니 위와 달리 제압함이 마땅하다. 따라서 천간의 庚金을 써야 한다. 시간의 丁火는 庚金을 제극하지 못한다. 土,金은 좋고 木,火는 나쁘다. 甲申,乙酉運에 벼슬길이 열렸고 丙戌運에 낙직하였다. |
-. 상하귀호정협(上下貴乎情協) 상하가 서로 정이 있어 협력해야 한다.
庚 丙 癸 己 寅 寅 酉 巳 丁 戊 己 庚 辛 壬 卯 辰 巳 午 未 申 |
일주가 일지와 시지에 長生地인 인수를 깔고 앉았고 年支에 巳火가 있어 힘이 있으니 癸水正官을 쓸 수 있다. 己土가 癸水를 극할 것 같으나 癸水가 지지에 酉金을 깔고 앉았으며 또 巳酉半局으로 金이 되니 己土의 힘을 빼서 癸水를 생한다. 金運에는 水가 있어 木을 보호하고, 火運에는 土가 있어 金을 보호하며 木운에는 火가 있어 土를 보호하니 일생을 편안히 살면서 명예와 이익이 온전하였다. 中和貴格四柱이다. |
-. 좌우귀호동지(左右貴乎同志) 좌우가 뜻을 합하면 좋다.
희신이 극을 받더라도 救濟神이 있어 기신을 제화하면 順이다.
예컨대 甲이 희신인데 옆에서 庚金기신이 剋을 하고 있다면 丙火가 있어 庚金을 제압하면 順임.
庚 庚 丙 壬 辰 午 午 申 壬 辛 庚 己 戊 丁 子 亥 戌 酉 申 未 |
丙火七殺이 太旺하나 지지에 長生地를 깔고 壬水가 丙火를 제압하고 있어서 일주도 힘이 있으나 칠살이 더 강하다. 壬水로 용신을 삼아 제살(制殺)해야 한다. 辰土가 旺火의 기운을 설기시키는 것도 좋다. 운이 金水로 향하니 벼슬이 높았다. 淸한 사주이다. |
2. 생화유통(生化流通)
순패(順悖)에서 중요한 것은 사주가 생화유통됨이니 흐르고 흘러 막힘이 없고 오행이 두루 갖추어져 있으면 매우 淸한 사주이다.
○ <- ○ <- ○ <- ○ ○ <- ○ <- ○ <- ○ |
年이 月을 생하고, 月이 日을 생하며, 日은 時를 생한다. 이와 같이 상생유통되면 어느 運이 와도 커버가 되니 淸한 사주가 된다. |
○ -> ○ -> ○ -> ○ ○ -> ○ -> ○ -> ○ |
時가 日을 생하고, 日이 月을 생하며, 月은 年을 생한다. 자수성가하는 타입의 사주이다. |
辛 己 丙 甲 未 巳 寅 子 癸 壬 辛 庚 己 戊 丁 酉 申 未 午 巳 辰 卯 |
年支의 水가 年月의 木을 생하고 木이 月日의 火를 생하며 火가 日時의 土를 생하고 土가 時干의 金을 생하니 생화유통되었고 오행이 하나도 빠짐이 없으니 최상의 귀격사주이다. 이런 사주는 운을 볼 필요가 없으니 어느 운이 오더라도 생화유통되어 흉함이 전혀 없기 때문이다. |
中和된 사주 (일주의 힘과 타오행의 힘이 균정均正하고 同氣同流가 모였을 때)
○ ○ ● ● ○ ○ ● ● |
年月과 日時의 어느 한쪽이 金水이면 다른 한쪽이 木火로서 서로 같은 오행끼리 뭉치고 적절한 견제와 균형이 이루어졌으면 중화된 사주가 된다. |
● ○ ○ ● ● ○ ○ ● |
月日이 일주편으로 모이고 年月이 財官이 되었을 때는 적절한 견제와 균형이 이루어져서 중화된 사주가 된다. |
● ○ ● ○ ○ ● ○ ● |
일주편이 목화라면 금수가 적절히 배분되어 있고 일주편이 금수라면 목화가 중간중간에 적절히 배치되어 견제와 균형이 이루어지면 중화사주이다. |
아래 사주의 순패(順悖)에 따라 사주의 좋고 나쁨을 판단하시오.
庚 庚 丁 己 辰 申 卯 亥 辛 壬 癸 甲 乙 丙 酉 戌 亥 子 丑 寅 |
癸 辛 壬 庚 巳 酉 午 申 戊 丁 丙 乙 甲 癸 子 亥 戌 酉 申 未 |
甲 辛 壬 庚 午 酉 午 申 戊 丁 丙 乙 甲 癸 子 亥 戌 酉 申 未 |
甲 甲 甲 甲 戌 寅 戌 申 庚 己 戊 丁 丙 乙 辰 卯 寅 丑 子 亥 |
庚 丁 丙 己 子 亥 子 丑 庚 辛 壬 癸 甲 乙 午 未 申 酉 戌 亥 |
甲 丙 癸 癸 午 辰 亥 亥 丁 戊 己 庚 辛 壬 巳 午 未 申 酉 戌 |
丙 乙 庚 甲 子 卯 午 寅 丙 乙 甲 癸 壬 辛 子 亥 戌 酉 申 未 |
壬 乙 己 乙 午 亥 卯 丑 癸 甲 乙 丙 丁 戊 酉 戌 亥 子 丑 寅 |
戊 庚 丙 壬 寅 申 午 午 壬 辛 庚 己 戊 丁 子 亥 戌 酉 申 未 |
己 丁 甲 壬 酉 亥 辰 寅 辛 庚 己 戊 丁 丙 乙 亥 戌 酉 申 未 午 巳 |
乙 癸 庚 戊 卯 亥 申 戌 丙 乙 甲 癸 壬 辛 寅 丑 子 亥 戌 酉 |
|
명리학강의 제5강 격국잡는 법
한 글자도 빼놓지 말고 필수암기 ( 100번이상 읽고 쓰시오. )
1. 격국(格局)과 용신(用神)
격국은 사주의 짜임새로서 體가 되고 용신은 사주의 쓰임 즉, 用이다. 격국은 사람의 신체와 같고 용신은 사람의 정신과 같다. 신체건장해도 정신이 박약하면 인격을 갖춘 사람이 못된다. 따라서 용신이 더 중요하다. 격국은 용신과 청탁을 따지는 소재가 될 뿐 격국에 의해 용신이 자동으로 정해지는 것은 아니다.
2. 격국의 종류
1. 팔격(八格) = 정격(正格)
食神格, 傷官格, 偏財格, 正財格, 偏官格, 正官格, 偏印格, 正印格
官殺 : 재자약살격(財滋弱殺格), 살중용인격(殺重用印格), 식신제살격(食神制殺格),
합관유살격(合官留殺格), 관살혼잡격(官殺混雜格), 제살태과격(制殺太過格)
傷官 : 상관용인격(傷官用印格), 상관용재격(傷官用財格), 상관용겁격(傷官用劫格),
상관용상관격(傷官用傷官格), 상관용관격(傷官用官格)
2. 별격(別格, 變格, 外格)
(1) 전왕격(全旺格)
곡직인수격(曲直印綬格), 염상격(炎上格), 가색격(稼穡格), 종혁격(從革格), 윤하격(潤下格)
(2) 종격(從格)
종아격(從兒格), 종재격(從財格), 종관격(從官格), 종세격(從勢格)
(3) 합화격(合化格)
갑기합화(甲己合化), 을경합금(乙庚合金), 병신합수(丙申合水)
정임합목(丁壬合木), 무계합화(戊癸合火)
(4) 양기성상격(兩氣成象格)
3. 격국의 판단우선순위
1. 별격에 해당하면 그 격국이 우선이다.
2. 월령정기가 천간에 투출하였으면 천간에 투출한 십신으로 격을 삼는다.
3. 지지에 방국(方局)이 있고 천간에 투출하였으면 천간에 투출한 십신으로 격을 삼는다.
4. 월령의 사령한 장간이 중기,여기일 경우 천간에 투출하였으면 이로 격을 삼는다.
5. (위에 모두 해당없으면 월령이 子午卯酉일 때는 월령으로 격을 삼는다.)
월령이 비견,겁재면 원칙적으로 팔격성립이 안된다. 이 경우 아래 2가지중 한 방법을 쓴다.
(1) 건록격, 양인격으로 정한다. (2) 힘이 가장 센 오행으로 격을 잡는다.
建祿 甲-寅, 乙-卯, 丙-巳, 丁-午, 戊-巳, 己-午, 庚-申, 辛-酉, 壬-亥, 癸-子
羊刃 甲-卯, 乙-辰, 丙-午, 丁-未, 戊-午, 己-未, 庚-酉, 辛-戌, 壬-子, 癸-丑
4. 관살(官殺)
관(官)은 벼슬이니 신왕한 자 또는 귀인에게는 좋으며, 관(官)은 나를 다스리는 자이니 신약한 자 또는 서민에게는 두려운 존재이다. 신왕한 자는 관살을 감당할 수 있으므로 殺도 官이 되고, 신약한 자는 官도 殺이 된다. 살왕신약(殺旺身弱)한데 운로도 관살운으로 간다면 가난하지 않으면 천하거나 요절한다. 그러나 운로가 관살을 제압하는 식신상관운으로 가면 발복한다.
(1) 재자약살격(財滋弱殺格)
신왕한 사주에서 약한 관살을 재가 생조하는 것을 말하며 재용신, 관희신이 된다. 재관운이 오면 발복하여 출세한다. 이 격국은 식상이 없어야 좋은 사주가 된다.
辛 庚 庚 丙 巳 申 寅 申 丙 乙 甲 癸 壬 辛 申 未 午 巳 辰 卯 |
경금일주가 태왕하다. 병화가 비록 월령이 생지가 되나 왕성한 金의 핍박을 받고 있다. 巳火는 거리가 멀어 병화에 도움이 되지 못하고 또 金의 生地가 되니 오히려 金을 돕는다. 寅木財가 용신, 丙火가 희신인데 운로가 목화운(지지)으로 나가니 벼슬이 높았다. |
(2) 살중용인격(殺重用印格)
관살이 태왕하여 인수로 통관하여 일주를 생하는 살인상생의 사주이다. 인수용신, 비겁희신. 이 격국은 재성이 없거나 재가 있어도 유정하여야 좋은 사주가 된다.
甲 戊 甲 戊 寅 午 寅 子 庚 己 戊 丁 丙 乙 申 未 午 巳 辰 卯 |
戊土가 정월에 생하여 쇠약하고 甲木칠살이 태왕하다. 다행한 것은 오화인수를 일지에 깔고 앉았으니 미쳐날뛰는 칠살을 午火가 통관하여 일주를 생한다. 子水가 오화를 沖하려고 하나 중간에 寅木이 통관하니 오화는 충을 당하지 않는다. 火용신, 土희신인데 운로가 화토로 가니 벼슬이 높았다. |
(3) 식신제살격(食神制殺格)
칠살이 왕성한데 식신이 제압하는 사주이다. 식상용신, 비겁희신. 인수도 왕성한 칠살을 설기하니 나쁘지 않다.
戊 丙 壬 壬 戌 戌 子 子 戊 丁 丙 乙 甲 癸 午 巳 辰 卯 寅 丑 |
연월이 모두 壬子로 칠살이 횡포하다. 그런데 묘하게도 일시에서 식신이 세력을 잡고 칠살을 제압하고 있다. 또 일지의 술토는 정화를 암장하고 있으니 병화의 뿌리가 된다. 더구나 운로가 목화운으로 가니 살을 제압한다. |
(4) 합관유살격(合官留殺格), 합살유관격(合殺留官格)
관살혼잡에서 식신이 정관과 합이되어 청해지는 사주이다.
壬 丙 癸 戊 辰 戌 亥 午 己 戊 丁 丙 乙 甲 巳 辰 卯 寅 丑 子 |
신약하고 관살혼잡되었으니 흉하다. 그러나 癸水정관이 戊土와 합이 되어 합관유살하였으니 청해졌고 또 다행한 것은 金이 없어 殺을 돕지 않는다. 단, 꺼리는 것은 진술충으로 일지에 통근한 정화가 상해를 받았다. 목용신, 화희신이다. 운로가 목화운으로 가니 벼슬을 얻었다. |
(5) 관살혼잡격(官殺混雜格)
관살이 혼잡되어 있으면 사주가 탁(濁)하다. 그러나 운로에서 관이나 살 한쪽을 제거하면 청(淸)해져서 출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왕하다면 관살혼잡이 두렵지 않으나 신약하다면 두렵다.
관살혼잡은 1. 정관과 칠살이 모두 천간에 투출하였고, 2. 지지에 관 또는 살이 있고 3. 관과 살이 모두 세력이 있어 공명을 다툴때 혼잡이라 하는 것이다. 그런데 만약 식신상관이 태왕하여 약한 殺을 제압함이 태과하면 官이 있으면 殺을 도우니 관살혼잡이 아니다.
관살이 혼잡이라도 겁재가 合殺하면 합살유관(合殺留官)하거나 비견이 合官하면 합관유살(合官留殺)하니 좋다. 이 경우에는 사주가 청(淸)해진다. 예컨대 甲일주인 경우 乙木겁재가 庚金七殺과 합이 되면 합살유관이 되고, 乙일주인 경우 乙木비견이 庚金正官과 합이 되면 합관유살이 된다.
癸 丙 壬 壬 巳 寅 子 辰 戊 丁 丙 乙 甲 癸 午 巳 辰 卯 寅 丑 |
壬癸水가 투출하고 월령이 子水이니 관살혼잡이다. 일주는 좌하에 인수를 깔고 앉았고 시지에 비견이 있으니 힘이 있어 관살을 대적할 수 있다. 인수 寅木이 용신, 비겁이 희신. 丙辰대운부터 발복하기 시작하는데 병진대운 己巳년에는 기토가 癸水정관을 제거하니 거관유살(去官留殺)하여 재상이 되었다. |
(6) 제살태과격(制殺太過格)
식상이 왕성하여 미약한 관살을 제압함이 태과한 사주이다.
己 丙 戊 辛 亥 辰 戌 卯 壬 癸 甲 乙 丙 丁 辰 巳 午 未 申 酉 |
시지에 칠살이 하나 있는데 식신이 4개가 있어 칠살을 제압하니 제살태과(制殺太過)다. 土가 왕성하면 木으로 소토시키는 것이 중요한데 목이 없고 다만 亥水중의 암장된 갑목만 있다. 木용신, 水희신. 乙未대운에는 해묘미목국을 이루니 출세하였고, 갑오운은 절각(絶脚)이 되고 갑기합화토로 기신으로 化하니 父兄을 잃고 갑오운 己巳년에는 해수관성을 충하니 죽었다. |
5. 상관(傷官)
(1) 상관용인격(傷官用印格)
상관격으로 신약하고 상관이 태왕할 때 인수가 있으면 이 인수를 용신으로 삼는다. 일주의 설기가 심하므로 비겁이 희신이다. 이 때 財가 없어야 하고 만약 재가 있더라도 인수를 파극하지 못해야 한다. 재가 인수를 파극하면 파격이 된다.
己 丙 辛 己 丑 寅 未 丑 乙 丙 丁 戊 己 庚 丑 寅 卯 辰 巳 午 |
화토상관격(火土傷官格)이다. 상관이 태왕하나 일주가 座下에 인수를 깔고 앉았다. 따라서 인수 寅木이 용신인데 천간에 辛金財가 투출하였으나 다행히 일주와 합이 되니 용신 인수를 극하지 못한다. 대운이 목화운이니 좋다. 丁卯대운에 신금재를 극하고 축토를 극하니 벼슬을 얻었다. |
(2) 상관용재격(傷官用財格)
상관격인데 신왕사주라면 인수를 쓸 수 없으니 식상이 왕성하고, 재가 있으면 재를 용신으로 삼는다. 식상이 희신이다.
乙 丁 戊 丙 巳 卯 戌 申 甲 癸 壬 辛 庚 己 辰 卯 寅 丑 子 亥 |
화토상관인데 신왕하니 연지의 申금이 용신이다. 식상희신. 신축대운에는 토금이니 돈을 많이 벌었고 壬대운도 좋다. 그러나 寅대운은 申金을 沖한다. 강한 목으로 약한 금을 치니 용신이 뿌리가 뽑혀 사망하였다. |
(3) 상관용겁격(傷官用劫格)
상관격으로 신약하고 상관이 태왕한데 재가 있으면 힘이 모두 재로 모이니 비겁을 용신으로 삼는다. 또는 사주가 비겁과 식상만으로 되어 있을 때 식상이 태왕하고 종아격이 아니라면 역시 비겁을 용신으로 삼는다. 이 사주는 관성이 없어야 좋다.
己 戊 辛 癸 未 申 酉 亥 乙 丙 丁 戊 己 庚 卯 辰 巳 午 未 申 |
토금상관이다. 상관도 왕성하고 재도 왕성하여 힘이 재로 모였다. 일주는 시지에 통근하고 시간에서도 돕는다. 재다신약이니 비겁 土를 용신, 인수 火를 희신으로 삼는다. 대운이 화운이니 벼슬길에 들어섰다. 을묘운은 왕성한 금에 충을 당하여 파직하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
(4) 상관용상관격(傷官用傷官格)
신왕하고 財官이 없거나 미약하면 식상을 용신으로 삼는다. 재가 희신이다.
癸 癸 戊 乙 丑 酉 寅 酉 壬 癸 甲 乙 丙 丁 申 酉 戌 亥 子 丑 |
수목상관이다. 신왕하고 酉丑반합금국을 이루어 천간의 戊土관성이 미약하다. 또한 사주에 財가 없다. 따라서 寅木상관이 용신이다. 운로가 乙亥, 甲戌운에는 벼슬길에 올랐으나 酉운은 인목을 충거하니 낙직하였다. 만약 사주에 火가 있었더라면 金운에도 크게 흉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
(5) 상관용관격(傷官用官格)
상관격에 일주가 힘이 있고 관성이 힘이 있으며 천간에 투출하였으면 관성을 용신으로 쓴다.
乙 戊 己 壬 卯 戌 酉 戌 乙 甲 癸 壬 辛 庚 卯 寅 丑 子 亥 戌 |
토금상관인데 비겁이 많으며 을목관성이 지지에 뿌리를 박고 있으니 이를 용신을 삼는다. 연간의 임수재가 관성을 생조한다. 운이 수목으로 나가니 벼슬을 얻고 공명을 날렸다. |
6. 전왕격(全旺格)
전왕격이란 모든 힘이 일주로 모일 경우의 예로서 식상,비겁,인수운은 순기세(順氣勢)하여 좋고, 재관운은 일주의 힘을 거역하니 나쁘다. 식상운이 일주의 왕성한 기운을 설기하니 가장 좋다. 전왕격은 평생 좋기가 어렵다.
(1) 곡직인수격(曲直印綬格) - 木 (2) 염상격(炎上格) - 火
(3) 가색격(稼穡格) - 土 (4) 종혁격(從革格) - 金
(5) 윤하격(潤下格) - 水
丙 甲 丁 甲 寅 辰 卯 寅 癸 壬 辛 庚 己 戊 酉 申 未 午 巳 辰 |
지지에 인묘진 木東方을 형성하였고 천간에도 갑목이 투출하였으니 곡직인수격이다. 병정 식상이 일주의 기운을 설기하니 청한 사주이다. 초년에는 火運으로 좋으나 말년에 金運이니 태왕한 일주를 극하려다가 파국이 되었다. |
7. 종격(從格)
종격이란 일주가 힘이 없어 타오행을 따라가는 경우로서 순기세(順氣勢)하여야 하고 비겁,인수운은 從하는 오행을 거역하니 나쁘다.
종(從)의 기준 : 1. 일주가 뿌리가 없어야 함.(비겁,인성) 2.천간의 비겁,인성1개정도는 종으로 봄.
예외 : ① 일주가 월령의 사령신일 경우 ② 癸水가 辰土를 만났을 때
③ 천간의 비겁,인수가 1개이상 있고 지장간(중기,여기)의 여러 곳에 뿌리가 되는 경우
(1) 종아격(從兒格) : 사주의 대부분이 식상으로서 일주가 식상을 따라가는 경우.
(2) 종재격(從財格) : 사주의 대부분이 재이고 (또는 일부식상)으로서 일주가 재를 따라가는 경우.
(3) 종관격(從官格) : 사주의 대부분이 관이고 (또는 일부재)로서 일주가 관을 따라가는 경우.
(4) 종세격(從勢格) : 식상,재,관이 모두 힘이 있어 균정할 때이다.
丙 乙 丙 戊 戌 未 辰 戌 壬 辛 庚 己 戊 丁 戌 酉 申 未 午 巳 |
乙木이 천간, 지지에 비겁,인성이 전혀 없다. 비록 戌,未,辰에 여기,중기는 있으나 뿌리가 되기에는 부족하다. 사주에 火土뿐이니 마땅히 財인 土로 종해야 한다. 종재격이다. 순기세하여야 하니 金,土,火運순으로 좋으나 水木은 나쁘다. 평생을 운로가 좋게 가니 벼슬과 명예가 뛰어났다. |
8. 합화격(合化格)
일주가 힘이 없고 월간 또는 일간과 합이 되며 화신(化神)이 힘이 있어야 한다.
합화(合化)의 기준 : 1. 일주가 뿌리가 없어야 함.(비겁,인성) 2.천간의 비겁,인성1~2개는 종으로 봄.
3. 화신이 힘이 있어야 함.
(1) 갑기합화(甲己合化) (2) 을경합금(乙庚合金)
(3) 병신합수(丙申合水) (4) 정임합목(丁壬合木)
(5) 무계합화(戊癸合火)
甲 壬 丁 己 辰 午 卯 卯 辛 壬 癸 甲 乙 丙 酉 戌 亥 子 丑 寅 |
일주가 월간과 丁壬合이 되었고 木이 득령하였고 힘이 있으니 합화진격(合化眞格)으로 化神이 힘이 넘치니 설기하는 火가 가장 좋다. 초년에 일찍이 벼슬길에 올랐으나 아까운 것은 중년운이 水方으로 벼슬길이 더 오르지 못하였다. |
9. 양기성상격(兩氣成象格)
(1) 식상국(食傷局) (2) 재국(財局) (3) 관국(官局) (4) 인국(印局, 全旺格)
두 오행이 각각 4개씩으로 대치하고 있을 때 양기성상격이라 한다. 이 때는 순기세(順氣勢)하여야 하니 金水는 火土가 파국이고, 水木은 火金이 파국이고, 木火는 土金이 파국이다. 상생일때는 힘이 평분이라야 하고 편중된 것은 꺼린다. 상생국에서는 일주가 왕성하고 수기를 설하는 것이 좋고, 상극국에서는 일주가 극하는 것이 좋다.
丁 甲 丁 甲 卯 午 卯 午 癸 壬 辛 庚 己 戊 酉 申 未 午 巳 辰 |
木火가 각각 4개씩이고 서로 섞이어 양기성상격이 되었다. 己巳대운에 벼슬길에 높이 올랐으나 경오운에는 경운에는 강등되었다. 임신계유운은 흉하다. |
명리학강의 제6강 강약,조후,통관
한 글자도 빼놓지 말고 필수암기 ( 100번이상 읽고 쓰시오. )
1. 강약(强弱, 억부抑扶)에 의한 용신판단
강약(억부)에 의한 용신판단은 중화(中和)의 원리에서 나온 것이다. 일주가 태왕하면 약화시켜서 중화를 이루어야 발복(發福)하며 일주가 약하면 도와서 중화를 이루어야 발복한다는 것이다. 이에는 설.상.방.조(洩.傷.幇.助)의 네가지 법이 있다. 약 70%이상의 사주가 강약으로 용신이 판단된다. 일주의 힘 : 인성 + 비겁 (제 1강 신왕신약편 참조) 종격(약3~5%)은 예외임.
(1) 용신판단의 순서(중요).
가. 우선 천간에 투출한 것을 먼저 용신으로 삼는다.
천간에 투출하였고 용신으로 써야 하더라도 절기상 휴수지이고 뿌리가 전혀 없으면
용신으로 쓸 수 없다. 이 경우 다른 글자를 찾아야 한다.
나. 천간에 쓸만한 것이 없을 경우 지지에서 찾아 쓴다.
다. 지지에 쓸만한 것이 없으면 지장간을 살펴보아서(특히 월령장간) 쓴다.
라. 꼭 필요한 오행이면 사주에 없어도 용신으로 쓴다. 운로에서 오면 발복한다.
(예컨대 木일주가 신약한데 木火土金이 있고 水만 없으면 水를 용신으로 씀.)
(2) 신왕(身旺)사주
가. 설(洩) : 일주가 태왕하여 그 기운을 식상으로 설하는 것임.
① 비겁이 태왕하고 인수가 약하면 식상용신. 재희신. (食神生財格, 傷官生財格)
② 재관이 없거나 미약하고 식상이 있으면 식상용신. 재희신.
③ 인수가 태왕하고 비겁이 약하고 식상이 있으면 재용신. 식상희신.
④ 식상이 왕성하고 재가 힘이 있으면 재용신. 식상희신. (傷官用財格)
나. 상(傷) : 일주를 제압하는 관성을 용신으로 하는 것임.
① 비겁이 태왕하고 인수가 약하고 관이 힘이 있으면 관용신. 재희신.
② 비겁이 태왕하고 재,관이 모두 약할 때 재용신. 관희신. (財滋弱殺格)
다. 판단순서
① 우선 천간을 본다. 천간에 관살이 투출되었고 절기상 관살의 왕상지이거나 지지에
재관의 뿌리가 있다면 관성을 먼저 쓴다. 천간지지에 관성이 없고 식상이 천간에
투출하였으면 식상을 쓸 수 있다.
② 만약 일주가 너무 태왕하다면 관성이 있어도 쓸 수 없다. 이 때는 설기해야만 한다.
(예컨대 지지에 方局이 형성되었고 천간에 투출할 경우)
③ 식상과 관살이 천간에 동시 투출되었을 경우 상관견관(傷官見官)으로 까다로운 사주가
되는데 이중 하나만 쓴다. 대세(大勢)를 보아서 약한 쪽을 쓴다. 그러나 휴수지에
뿌리도 없어 태약하다면 쓰지 못함. 만약 관성을 쓴다면 상관운은 忌神이 되나
상관생재로 재물은 얻을 수 있다. 세밀한 판단이 필요함.
(3) 신약(身弱)사주
가. 방(幇) : 일주가 약하니 비겁으로 용신. 인수로 희신.
① 재다신약(財多身弱)이고 관성이 없거나 약하면 비겁용신. 인수희신.
② 비겁이 약하고 상관이 태왕하면 비겁용신. 인수희신. (傷官用劫格)
나. 조(助) : 일주가 약하니 인수로 용신. 비겁으로 희신.
① 살왕신약(殺旺身弱)이고 인수가 있으면 인수용신. 비겁희신. (殺重用印格)
② 상관이 태왕하고 재가 없고 인수가 있으면 인수용신. 비겁희신. (傷官用印格)
다. 판단순서
① 우선 관살의 힘을 본다. 관살이 태왕하면 인수가 있는지부터 살핀다.
인수가 있으면 인수를 쓴다. 인수가 없고 식상이 나와 있으면 식상을 쓴다.
재성, 관살이 모두 태왕한데 인수가 없으면 힘이 관살로 모였으니 식상을 쓴다.
② 재성의 힘을 본다. 재성이 태왕하고 관성이 없으면 비겁을 쓴다.
③ 식상의 힘을 본다. 식상이 태왕하고 재가 없거나 미약하면 인수를 쓴다.
(4) 설상방조의 예외
① 살왕신약(殺旺身弱)이고 인수가 없고 식상이 있으면 식상용신. 비겁희신. (食神制殺格)
② 식상이 태왕하고 관살이 약할 때 인수용신. 관성희신. (制殺太過格)
(5) 통변(通變)
설상방조는 기본원칙일 뿐 모두 위 법으로만 용신이 판단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식신제살격(食神制殺格)은 일주가 약한데도 불구하고 식상을 용신으로 삼는데
이는 관살이 태왕하여 위험에 빠진 일주를 구하는 것이 급선무이기 때문이다.
대세(大勢)를 판단하여 힘이 어디로 모였는가를 보고 합충변화(合沖變化)를 판단해야 한다.
(6) 합충변화(合沖變化)
용신으로 쓸만한 글자가 있어도 합이 되어 붙잡혔거나, 타오행으로 化했거나,지지의 뿌리가
忌神의 沖을 받아 깨졌다면 용신으로 쓸 수 없다. 다른 글자를 찾아보아야 한다.
다른 글자중에서 용신으로 쓸만한 것이 있으면 용신으로 삼는데 도저히 쓸만한 글자가
없으면 원래 처음 잡은 글자를 쓸 수밖에 없는데 이는 탁(濁)한 사주가 된다.
2. 조후(調候)에 의한 용신판단
조후에 의한 용신판단은 일주가 태어난 절기와 사주간지를 보고 한난조습에 의해 용신을 판단하는 것을 말한다. 조후도 역시 중화(中和)의 원리에 다름 아니다. 즉, 음양이 한쪽으로 치우쳤다면 음양의 조화가 필요한 것이다. 음양의 조화가 없이는 만물의 생성,발육이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약 20%의 사주가 조후에 의한 용신판단이 된다.
(1) 절기(節氣)
일단 태어난 달이 巳午未월이거나 亥子丑월이면 조후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寅월은 비록 봄철이나 아직 추우므로 조후가 필요하다.
卯辰申酉戌월은 기후가 적당하므로 조후가 필요치 않다.
(2) 한난(寒暖)
(1) 월령이 亥子丑寅월이고 사주에 金水, 濕土가 많다면 추우니 木火로 덥혀주어야 한다.
(2) 월령이 巳午未월이고 사주에 木火, 燥土가 많다면 더우니 金水로 식혀주어야 한다.
(3) 조습(燥濕)
(1) 지지가 巳午寅卯, 未戌燥土로 이루어지고 천간에 丙丁甲乙, 戊土로 되어 있으면
조(燥)하니 水, 辰丑濕土가 필요하다. 이 때 일주가 金이면 濕土가 절실히 필요하다.
(2) 지지가 亥子申酉, 辰丑濕土로 이루어지고 천간에 壬癸庚辛, 己土로 되어 있으면
습(濕)하니 火, 未戌燥土가 필요하다. 이 때 일주가 金이면 火, 燥土가 절실히 필요하다.
(4) 음양반생(陰陽反生)의 원리
(1) 음극즉양생(陰極則陽生) : 음기가 지극하면 양기가 생한다.
사주가 지나치게 추운데 천간에 떠있는 1~2개 木火가 무기(無氣)하면 오히려
金水運으로 가야 발복한다.
(2) 양극즉음생(陽極則陰生) : 양기가 지극하면 음기가 생한다.
사주가 지나치게 더운데 천간에 떠있는 1~2개 金水가 무기(無氣)하면 오히려
木火運으로 가야 발복한다.
이는 강약에 있어 종격(從格)과 같은 논리이다.
3. 통관(通關)에 의한 용신판단
일주와 재관이 서로 세력이 비등하여 싸우고 타오행이 없거나 약하면 통관해야 한다.
약 3~5%의 사주가 통관용신이 됨.
(1) 일주와 財의 힘이 비등하고 타오행이 없거나 약하면 일주가 득령하였으면
식상으로 통관해야 한다.
(2) 일주와 官殺의 힘이 비등하고 타오행이 없거나 약하면 인수로 통관하는 것이 아름답다.
(3) 사주내에 통관신(通關神)이 없으면 합이 있거나 운로에서 와야 한다. 또는 暗合도 좋음.
명리학강의 제7강 용신잡는 법
한 글자도 빼놓지 말고 필수암기 ( 100번이상 읽고 쓰시오. )
1. 용신의 진가(眞假)
진신(眞神)이란 득령(得令)하였고 사령하였으며 천간에 투출한 神을 말한다.
진신(眞神)의 3대조건(三元)
1. 득령(得令, 地元) 2. 사령(司令, 人元) 3. 투간(透干, 天元)
眞神得用으로 忌神에 의해 파극(破剋)되거나 합거(合去)되지 않았으면 한평생 부귀한다.
예컨대, 월령의 정기가 정관인데 천간에 투출하였으며, 관성이 용신이라면 참된 진신이 된다. 이때는 평생 부귀하는 사주가 된다. 진신이라 하더라도 忌神에 의해 파극(破剋)되었거나 합거(合去)되었거나 기반(羈絆)이 되었다면 이는 용렬한 사람이다. 그러나 만약 대운세운에서 기신을 극하고 진신을 돕는다면 작은 부귀는 할 수 있다.
가신(假神)이란 월령신, 사령신이 아닌 것으로서 용신이 되고 천간에 투출한 神을 말한다.
假神이라도 용신으로 쓸 수 있는 것이니 이 때는 진신득용(眞神得用)보다는 복록이 못하다.
가신득용(假神得用)이라도 대운세운에서 용신운으로 가면 발복한다.
甲 己 丙 甲 子 丑 寅 子 壬 辛 庚 己 戊 丁 申 未 午 巳 辰 卯 |
재관이 왕성하니 병화인수로 용신을 삼는데 천간에 갑목, 병화가 모두 투출하였으니 眞神得用이며 조후상으로도 정월의 추운 계절에 火가 필요하니 억부와 조후가 일치한다. 財인 子水는 金이 없어 丙火를 위협할 만큼 흉폭하지 않다. 대운도 목화운으로 나가니 벼슬이 높았다. |
庚 壬 戊 乙 戌 午 寅 酉 壬 癸 甲 乙 丙 丁 申 酉 戌 亥 子 丑 |
상관격인데 재와 관성이 힘이 있으니 경금인수로 용신을 삼아야 하고 假神得用이다. 지지에 인오술화국이 있으나 무토가 火氣를 설하여 경금을 생한다. 대운이 금수운으로 가니 벼슬길에 올랐다. 아까운 것은 지지火局으로 세운이 화운으로 갈때마다 용신이 힘을 잃으니 벼슬길에 기복이 많은 것이다. |
2. 정기신(精氣神, 精神)
정(精)이란 일주를 生하는 神이요, 기(氣)는 일주와 같은 동기(同氣)요, 신(神)이라 일주를 剋하거나 洩하는 神을 말한다. 사주에는 일주를 돕는 글자와, 동기가 되는 글자, 일주를 극설하는 글자가 모두 있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일주를 돕는 글자만 많으면 반드시 설기하는 글자가 있어 생화유통(生化流通)되어야 한다. 반대로 돕는 글자가 많은데 설기하는 글자가 있어도 이 설기하는 글자를 손상하게 되거나, 극하는 글자가 많은데 돕는 글자가 있어도 이를 손상하게 되면 사주가 편고잡란(偏枯雜亂)하여 정신이 흩어진다.
庚 丙 乙 癸 寅 辰 卯 未 己 庚 辛 壬 癸 甲 酉 戌 亥 子 丑 寅 |
지지에 寅卯辰東方이요, 未土로 木局이 혼잡되었다. 천간에 乙木이 투출하였으니 온통 木으로 태왕하다. 사주가 편고하여 목다화치(木多火熾)이니 火가 치열하여 병화일주가 정신(精神)이 황폐하다. 이렇게 목이 태왕하면 제압되지 않으니 庚金을 쓸 수 없고 마땅히 火土로 설기해야 한다. 운로가 金水運으로 가니 평생 名利가 없었고 녹녹한 사람이었다. |
3. 단일용신, 삼용신(三用神)
용신은 일반적으로 용신1개, 희신1개가 되는 것인데, 특수한 사주는 용신을 하나밖에 쓸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 용신을 3개 모두 쓸 수 있는 사주가 있다.
(1) 單一用神(희신을 쓸 수 없는 경우)
억부법에 의한 용신,희신중에 조후법상 쓸 수 없는 것이 있으면 하나만 용신이 된다.
甲 己 戊 甲 子 丑 辰 辰 壬 癸 甲 乙 丙 丁 戌 亥 子 丑 寅 卯 |
(女命) 土가 태왕하고 정관이 연,시에 있는데 시의 정관은 일주와 합이 되었으니 쓸 수 없고 연간의 갑목이 용신인데 태왕한 비겁에 의해 극을 받는다. 용신이 쇠약하다. 연지의 辰土는 子辰合水로 갑목을 돕지 않는다. 여명에 합이 많고(甲己合,子丑合,子辰合) 辰土장간에는 乙木七殺이 2개 있으니 남자관계가 복잡하다. 일지 과숙살(寡宿殺)에 연주,월주가 백호대살에 衰地이며 辰辰自刑에 남편인 연간 갑목을 무토가 충하니 남편흉사의 조짐인데 첫남편을 丙寅대운,丙寅세운에 결혼했으나 乙丑대운 戊辰년 戌月에 교통사고로 남편을 잃었고 다시 남자를 만나 결혼하였으나 辛未년에 이혼하였으며 다시 乙丑대운 癸酉년에 세번째 남편을 만났으나 다시 甲戌년에 이혼하였고 마침내 술집접대부로 전락하였다. (“별들의 故鄕”) 이 사주는 습토가 많아 過濕하니 火로 말려야 하는데 火가 오면 土를 도우니 쓸 수 없고 재성인 水를 쓰자니 過濕하여 쓸 수 없으니 木 하나만 용신이다. |
(2) 三用神(용신,희신,길신)
가. 별격인 경우 : 전왕격은 재관만 흉하고 식상,비겁,인수순으로 좋다.
종격화격은 비겁,인수만 나쁘고 순기세하는 것은 모두 좋다.
나. 신왕하고 격국이 淸하면 식상,재,관을 모두 쓸 수 있다.
다. 관살이 태과할 때 인수,비겁을 쓰고 일주가 힘이 있으면 식상도 길신 역할을 한다.
(殺重用印格인데 食傷制殺格도 같이 성립하는 경우)
辛 甲 甲 癸 未 午 寅 卯 庚 己 戊 丁 丙 乙 申 未 午 巳 辰 卯 |
(女命) 일주가 득령하였고 비견,겁재,정인이 있으니 신왕하다. 時上正官이 투출하였으며 時支에서 생조하고, 일지 午火가 未土를 생하니 生化流通이요, 비길데 없이 淸하다. 男命이라면 크게 출세할 사주가 되었을 것이다. 未土가 천을귀인이요, 연지 卯木은 도화살인데 旺地이니 美色이다. 시상에 하나있는 정관이 남편이고 또 길신이니 남편은 고관대작이다. 丁巳대운, 己巳년 巳월에 결혼하였다. 이 사주는 신왕하고 격국이 淸하므로 傷官午火, 正財未土, 正官辛金을 모두 쓸 수 있다. 단, 月令寅木중에 丙火가 있으니 이것이 眞神이 되며 또 조후법상 정월에 추우니 火가 필요하여 용신은 午火로 보고 희신 未土, 길신 辛金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
4. 용신판단의 우선순위
(1) 별격(전왕격,종격,화격,양기성상격)이 성립되면 이 것으로 용신을 삼는다.
(2) 조후가 다급하여 일주가 위중하면 일단 살려야 하므로 조후용신으로 정한다.
(3) 억부법으로 용신을 정한다. 단, 이 때도 조후가 필요하면 감안한다.
5. 합충론 고급분석
(1) 합과 충이 중첩될 때 : 合而不化, 沖而不沖
子 午 戌 이 있으면 子午沖이 되나 午戌合이 되니 沖도 제대로 되지 못하고 合도
제대로 합이 성립하지 않는다. 대운에서 사주원국과 합충이 중첩될 때도 마찬가지.
(2) 합이 중첩될 때 : 爭合, 鬪合, 合而不化
子 丑 酉 가 있으면 子丑合, 酉丑合으로 爭合이 되니 양쪽 합이 모두 化하지 못한다.
(3) 합이 미약한 경우(원격되어 있을 경우) : 合而不化
寅 酉 午 가 있으면 寅午半合이 되나 酉金이 사이에 있어 遠隔되니 합이 미약하다.
(4) 오미합(午未合)
사주에 未土가 있는데 忌神이며 火는 閑神인데 午火대운이면 午未合은 비록 길신으로
化하지는 않으나 합으로 忌神을 붙잡으니 좋다.
6. 운세판단법
대운은 지지가 천간보다 훨씬 큰 작용을 한다. 세운은 천간을 위주로 본다.
(1) 희신기신(喜神忌神)
용신희신운이면 좋고 기신구신운이면 나쁘다. 한신운이면 합충관계로 판단.
(2) 육친제화(六親制化)
사주천간에 육친상 흉신(효신,칠살,상관,겁재)이 있을 때 대운세운천간에서
이를 제압하면 길하다. 사주지지의 흉신을 대운세운지지에서 제압해도 길하다.
(3) 천복지재(天覆地載)
운로에서 천간과 지지가 서로 상생관계라야 하고 지지가 천간을 생하는 것이 더 좋다.
(4) 개두절각(蓋頭截脚)
개두란 희신이 지지인데 천간에 기신이 있을 때로 복록이 50%밖에 안된다.
절각이란 지지기신이 천간희신을 극하는 것으로 복록이 20%로 흉하다.
(5) 전충화호(戰沖和好)
대운과 세운의 천간끼리, 지지끼리 서로 상생관계가 되고 상극이 되지 않는 것이 좋다.
(6) 극설교가(剋洩交加)
신약한데 대운세운에서 剋하고 洩하는 것을 동시에 하면 크게 나쁘다.
(7) 충극중첩(沖剋重疊)
대운에서 사주를 충하는데 세운도 충하면 흉하다.
특히 사주의 용신이 미약한데 대운세운에서 충이 중첩하면 사망에 이른다.
이 때는 월운도 같이 충이 되는 월운에 사망.
(8) 발복(發福)
대운에서 용신희신운인데 사주와 합하여 다시 용신희신이 되면 크게 좋고
여기에 세운에서도 용신희신운이면 크게 발복한다.
이 때는 월운도 용신,희신운이 되는 월운에 발복함.
'가인역학원·가인명품작명·가인풍수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상제살(食傷制殺)의 命으로 설명된 사주 (0) | 2009.07.05 |
---|---|
자평명리 원리의 유래?(자평명리의 뿌리) (0) | 2009.07.05 |
사주로 전생을 알아낸다 (0) | 2009.07.05 |
논명의 순서는 (0) | 2009.07.05 |
사주상 목소리 외모 및 귀신등의 판단 (0) | 2009.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