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7. 15. 15:24ㆍ주역·육임·육효
팔괘(八卦)
가. 이름과 형상
여덟개의 기본괘는 그 모습에 따라 다음과 같이 읽고 외워야 편리합니다.
건삼련, 태상절, 이허중, 진하련, 손하절, 감중련, 간상련, 곤삼절
乾三連(건삼련) 건괘는 3개의 효가 모두 이어진 모습입니다.
--- |
--- 혹은 | 로 표기
--- |
兌上絶(태상절) 태괘는 맨위효가 끊어진 모습입니다.
- - ||
--- 혹은 |
--- |
離虛中(이허중) 이괘는 가운데가 끊어진 모습입니다.
--- |
- - 혹은 ||
--- |
震下連(진하련) 진괘는 맨 아래효만 이어진 모습입니다.
- - ||
- - 혹은 ||
--- |
巽下絶(손하절) 손괘는 맨 아래효만 끊어진 모습입니다.
--- |
--- 혹은 |
- - ||
坎中連(감중련) 감괘는 가운데만 이어진 모습입니다.
- - ||
--- 혹은 |
- - ||
艮上連(간상련) 간괘는 맨 위효만 이어진 모습입니다.
--- |
- - 혹은 ||
- - ||
坤三絶(곤삼절) 곤괘는 모두 끊어진 모습입니다.
- - ||
- - 혹은 ||
- - ||
기본 팔괘도 음괘와 양괘로 구분하는데 乾괘는 양괘가 되며 坤괘는 음괘가 됩니다.
또 나머지 6괘는 양효가 1개면 양괘가되며, 음효가 1개면 음괘가 됩니다.
즉 震괘 坎괘 艮괘는 양괘가 되며, 離괘 兌괘 巽괘는 음괘가 됩니다.
나. 팔괘의 수리(數理)와 자연물상(自然物象)
기본 팔괘는 1부터 8까지의 숫자에 배속됩니다.
또한 각 괘가 의미하는 고유한 자연의 물상이 배속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면 건(乾)괘는 1에 배속되며 천(天)이라는 물상 이름을 갖게됩니다.
필히 암송하며 외워야 합니다.
一乾天 일건천 (건괘는 1과 하늘에 배속된다)
二兌澤 이태택 (태괘는 2와 연못에 배속된다)
三離火 삼이화 (이괘는 3과 불에 배속된다)
四震雷 사진뢰 (진괘는 4와 우뢰에 배속된다)
五巽風 오손풍 (손괘는 5와 바람에 배속된다)
六坎水 육감수 (감괘는 6과 물에 배속된다)
七艮山 칠간산 (간괘는 7과 산에 배속된다)
八坤地 팔곤지 (곤괘는 8과 땅에 배속된다)
다. 기본 팔괘의 여러 가지 의미
팔괘는 물상이나 수리에 따라 배속되기도 하지만 각 기본 팔괘의 특징에 따라 성질이나 의미가 분류되기도 합니다. 팔괘의 의미를 다양하게 궁리하고 익히는 것은 후에 육효의 점괘를 판단하고 통변하는데에 많이 활용되는 것입니다. 처음부터 모두 이해하기는 힘들지만 수시로 읽어보며 점검해야할 중요한 자료들입니다. 각 효의 위치와 구성을 보면서 궁리하면 보다 더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乾괘 - 하늘(陽)이 막힘없이 두루 통하는 상
지고하다. 강건하다. 의롭다. 아버지나 가장(家長)의 성질
震괘 - 땅(陰) 밑에서 우뢰(陽)가 움직여 오르는 상
일어난다. 치솟는다. 이끌어간다. 장남, 우두머리, 장년(長年)의 성질.
坎괘 - 땅(陰) 가운데로 물(陽)이 흐르는 상
험하다. 빠진다. 난처하다. 중남이나 청년의 성질.
艮괘 - 산(陽)이 땅(陰)을 끌어 올려 솟아나다가 그치는 상
그친다. 절제한다. 막힌다. 고뇌한다. 소남이나 청소년의 성질
坤괘 - 땅(陰)이 텅비고 벌려져 모든 것을 포용하는 상
유순하다. 인자하다. 어질다. 어머니나 신하의 성질
巽괘 - 땅(陰)위로 바람(陽)이 어루만지는 상. 많은 陽이 陰을 굴복시키는 상.
들어간다. 따른다. 감싼다. 복종한다. 장녀나 중년여인의 성질
離괘 - 물건(陰)이 하늘(陽)에 올라가는 상. 나무(陰)에 꽃(陽)이 피어나는 상.
붙는다. 드러난다. 밝아진다. 올라간다. 중녀, 새댁의 성질
兌괘 - 남자(양)위에 여자(음)이 올라가 있는 상.
들떠있다. 모인다. 기뻐한다. 소녀, 처녀의 성질
다음은 주역 설괘전에 나오는 팔괘의 배속입니다.
乾은 말, 坤은 소, 震은 용, 巽은 닭, 坎은 돼지, 離는 꿩, 艮은 개, 兌는 양이 된다.
乾은 머리, 坤은 배, 震은 발, 巽은 정강이, 坎은 귀, 離는 눈, 艮은 손, 兌는 입이 된다.
乾은 서북방 戌亥, 坤은 서남방 未申 , 震은 정동방 卯, 巽은 동남방 辰巳
坎은 정북방 子, 離는 정남방 午, 艮은 동북방 丑寅, 兌는 정서방 酉에 배속한다.
乾은 父, 坤은 母, 震은 長男, 巽은 長女, 坎은 中男, 離는 中女, 艮은 少男, 兌는 少女
乾은 1, 坤은 8, 震은 4, 巽은 5, 坎은 6, 離는 3, 艮은 7, 兌는 2 (선천수리)
乾은 6, 坤은 2, 震은 3, 巽은 4, 坎은 1, 離는 9, 艮은 8, 兌는 7, 중은 5 (후천수리)
한나라의 위백양이라는 사람은 팔괘의 모습을 달이 차고 이지러지는 이치로 설하였습니다.
즉
초승달의 모습은 震괘에 배속하며
상현달의 모습은 兌괘의 배속하며
보름달의 모습은 乾괘의 배속하며
하현달의 모습은 巽괘의 배속하며
그믐달의 모습은 艮괘의 배속하며
달이 없는 그믐의 모습은 坤괘에 배속하였습니다.
그리고 坎괘와 離괘는 음양을 조정하는 기본괘로 두었습니다.
또는 離괘는 별에 배속하고 坎괘는 우주공간에 배속하기도 합니다.
다음은 중국 후한의 상수역학자인 우번이라는 분의 팔괘에 대한 분류입니다. 깊이 궁리하면 기본 팔괘의 성질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乾괘>
敬(공경하다), 威(위엄있다), 嚴(엄하다), 生하다, 시작하다, 信(믿다), 愛(사랑하다),
忿(분노하다), 積善(적선하다), 好(좋아하다), 施(베풀다), 淸(제도하다), 治(다스리다)
大謀(크게 도모하다), 畏(두려워하다)
크다, 善(착하다), 良(좋다), 大(크다), 盈(가득차다), 肥(살찌다), 祥(상서롭다)
嘉(기쁘다), 利(이롭다), 老(오래되다), 古, 久, 높다, 朱(붉다)
道, 德(덕성), 性(성품), 宗(마루), 甲, 福祿(복록), 介福(큰복), 先, 知(지식), 百, 歲
王, 神, 人, 聖人, 賢人, 君子, 善人, 武人, 行人, 物, 遠(먼곳), 郊(교외), 野,
門 , 道門, 頂(정수리), 圭(모서리)
<坤괘>
致(맡긴다), 用(사용한다), 包(싼다), 至(닿다), 積(저축하다), 營(경작하다),
黙(침묵하다), 戀(사모하다), 閉(폐쇄하다), 欲(욕망하다), 怨(원망하다), 悔(후회하다)
安(안락하다), 康(편안하다), 富(부유하다), 緊(얽히다), 重(무게있다), 厚(두텁다),
寡(양이 적다), 徐(천천하다), 裕(느긋함), 虛(공허함), 영구하다, 가까이하다, 가깝다,
密(밀집하다), 過(과도하다), 害(해롭다), 冥(어둡다)
妣(죽은어미), 民(백성), 姓(성 씨 핏줄), 기초, 下, 禮(예의), 義(뜻), 事(일), 類(동류),
恩(은혜), 恥(수치), 終(종말), 死(죽음), 喪(상사), 殺(살), 喪期, 積戀, 夜(밤), 暑(더위)
庶政(서민정치) 大業(큰일)
刑人, 小人, 귀신, 鬼方, 自我, 자기자신, 몸,
丑(소), 누런소, 호랑이, 土, 田, 岳(큰산), 고을, 나라, 국가, 큰나라
재물, 책, 尺(자), 形(모양), 器(그릇), 輻(바퀴살), 乙, 年, 十年, 闔(문짝), 戶, 闔戶
<震괘>
行(행동하다), 征(정복하다), 出(나가다), 逐(쫓아가다), 作(짓다), 興(일어나다)
奔(달리다), 奔走(분주하다), 惊衛(량위- 경계하여 지키다), 講(풀이하다)
議(의논하다), 問(묻다), 語(말하다), 告(알리다), 응함, 교류함, 징계함, 반대함
生하다, 완만하다, 너그럽다, 樂(즐거움), 웃음, 큰웃음,
百(백), 言(말), 울림, 소리, 後, 世, 따름, 지킴, 좌측,
帝(임금), 主(주인), 諸侯, 人, 行人, 士(선비), 兄, 夫(지아비), 元夫(본남편),
언덕, 제사, 鬱(무성함), 풀숲, 백가지 곡식, 사슴, 광주리, 趾(발가락)
<坎괘>
꾀하다, 두려워하다, 의심하다, 불쌍히 여기다, 뉘우치다, 흐느껴 울다, 욕심내다,
능멸(모독하다), 모이다, 알아 익히다, 들어가다, 들이다, 나무를 뚫다
음탕하다, 어그러지다, 사납다, 虛하다, 미쁘다(믿을성 있다), 평평하다, 빽빽하다, 아름답다
뜻, 질병, 재앙, 파괴, 죄, 법, 법칙, 後, 三歲(삼년),
구름, 먹구름, 큰하천, 감옥, 毒, 경전, 볼기, 허리, 기름, 陰夜, 술, 귀신, 학교, 활, 화살
<艮괘>
愼(삼가하다), 순종하다, 기다리다, 執(잡다), 구하다, 穴居(은둔하다), 거하다,
碩(크다), 많다, 두텁다, 독실하다,
道, 시절, 종묘, 社稷(사직- 직장)
弟(아우), 小子(사내아이), 賢人, 아이, 아이종, 官(관청), 친구, 작은여우, 이리,
큰 과실, 城, 宮, 뜰, 여막, 창, 집, 별, 북두, 거품, 무릎, 등, 꼬리, 가죽
<巽괘>
命하다, 誥(알리다), 號(부르짖다), 隨(따르다), 商(장사하다), 處하다, 歸(돌아오다), 교류하다
利로움, 같음
白茅(백모-흰띠풀), 풀숲, 초목, 薪(섭-땔나무), 비단, 담장, 床, 뽕나무, 뱀, 물고기
<離괘>
날다, 잉태하다(번식), 見(보이다,나타나다),
黃(누르다), 밝다, 빛나다
甲, 갑옷, 칼, 도끼, 화살, 누런화살, 그물, 두루미, 새, 나는 새, 항아리, 병
<兌괘>
見(드러나다), 작다, 密(밀집하다),
친구, 형벌, 오른쪽, 적은 지식, 刑人
라. 사람과 팔괘의 성정
다음은 팔괘를 사람의 성정에 비교한 것입니다. 역시 팔괘의 성질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건괘는 강직하고 지고한 것을 좋아한다. 덕이 있고 위엄이 있다.
곤괘는 성정이 두텁고 무겁다. 말과 웃음이 적다. 관대하고 용납을 잘한다.
감괘는 심사가 굴곡되고 위태롭고 험한 위엄이 있다. 흉하면 교활하고 거짓된 마음이 심란 하며 매사 번복과 변화가 많다.
이괘는 명백하고 강렬하며, 솔직하고 절도가 있다. 무기력 하면 성정이 사납고 매사 용두사 미이다.
진괘는 뜻이 크고 말소리가 높고 명성을 향해 힘써 달린다. 흉하면 마음에 측량할 수 없는 것들이 많다. 일정하게 보는 것이 없으며, 마음은 급하고 일은 지체된다.
손괘는 성정이 화순하고 부드럽다. 겸손하게 낮추어 받드는 것을 좋아한다. 무기력하면 파도 를 따르고 흐름 만을 쫒는다.
간괘는 길하면 안정되고 지키고 보존한다. 흉한 즉 일이 퇴보하고 진전됨이 없다.
태괘는 성정이 즐겁게 화합하고, 여유롭게 말한다. 물건을 보면 유혹됨이 많고, 음악을 좋아 하고 술과 색정을 좋아한다. 무기력하면 노비와 같이 하천하다.
'주역·육임·육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양과 사상(四象)과 팔괘(八卦) (0) | 2009.07.15 |
---|---|
육십사괘와 괘반(卦盤) (0) | 2009.07.15 |
64괘의 이름과 의미 (0) | 2009.07.15 |
팔궁(八宮)과 64괘 (0) | 2009.07.15 |
八괘의 납갑법(納甲法) (0) | 2009.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