四課의 작성의 마지막 단계는 天將붙이기

2009. 7. 15. 16:30주역·육임·육효

四課의 작성의 마지막 단계는 天將붙이기 입니다.

 

天將은 占斷의 실마리를 제공하는 단서에 해당하는 것으로써, 그 자체가 길흉을 구분하는데 그대로 활용되는 경우는 많지 않으며, 주로 천신(天神-천반지지)의 특성을 규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천장을 붙이는 것은 천반과 지반, 둔간의 작성보다 훨씬 까다롭습니다. 완전히 이해될 때까지 재차 반복학습할 필요가 있습니다.

 

먼저 천장의 배열순서를 암기하여야 합니다.

 

1天乙貴人(천을귀인)-2騰蛇(등사)-3朱雀(주작)-4六合(육합)-5句陳(구진)-6靑龍(청룡)-7天空(천공)-8白虎(백호)-9太常(태상)-10玄武(현무)-11太陰(태음)-12天后(천후)

 

하지만 사과작성시 일일이 이름전체를 표기하는 것은 꽤 번거로우므로, 보통 한 번에 식별할 수 있는 이름 글자 하나만으로 약해서 씁니다.

 

@본래 등사의 등자는 이 騰자가 아닙니다. 오른쪽 하단을 구성하고 있는 글자는 말馬자입니다. 본래는 벌레충자를 씁니다. 그런데 이 워드프로그램에는 그 글자가 등록이 안되어 있군요. 컴퓨터에 능숙하다면 문자편집기를 활용해볼 일인데 말입니다.

 

-蛇-朱-合-句-靑-空-白-常-玄-陰-后

 

특히 천공, 천을귀인, 천후의 표기와, 태상과 태음의 표기는 서로 혼동하기 쉬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순서를 암기할때는 각천장의 이름 첫글자를 암기하는 편이 훨씬 쉬우리라 생각합니다.

 

명리를 공부하신 분이라면 천을귀인이 무엇인지를 모르시는 분은 없으실 줄 압니다. 명리학에 쓰이는 제반 신살들 대부분은 육임에서도 마찬가지로 확인할 수 있는 것들입니다. 학문의 역사를 고려해 볼때, 명리에 응용되는 제반신살들의 기원은 육임에서 나온 것이라 봅니다. 육임에 등장하는 제반 신살들의 수는 200개가 넘습니다.

 

12천장을 배열하기 위해서는 먼저 일간별 귀인의 배정순서를 익혀야 합니다. 이 것을 모르면 위의 순서를 암기한다 해도 소용이 없습니다. 천을귀인의 배정은 육임원서마다 차이가 있으나 일단 보편정으로 적용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각 원서의 귀인배열 방식은 지금 시점에서 논할 단계가 아닙니다. 차후에 여유가 있다면 소개해 볼까 합니다.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晝 未 申 酉 亥 丑 子 丑 寅 卯 巳

夜 丑 子 亥 酉 未 申 未 午 巳 卯

 

晝는 晝貴를 夜는 夜貴를 나타냅니다. 명리에서는 각각 陽貴와 陰貴로 쓰이고 있습니다. 주귀(양귀인)는 해가 지평선위로 솟는 시점부터 활동하며, 야귀(음귀인)는 해가 진 시점부터 활동합니다. 이 점은 육임이 엄연한 천문학의 일종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반증이라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귀인은 辰戌地에는 임하지 않습니다. 점단시각을 기준으로 해가 졌다면 야귀를 귀인으로 삼으며, 해가 떠 있다면 주귀를 귀인으로 삼습니다. 해가 뜨고 지는 시각은 민력을 확인해보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그 날의 귀인이 정해졌으면 다음에는 그 귀인이 임한 지반의 지지가 무엇인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丑 子 丑 子-天盤

甲 丑 寅 丑-地盤

 

月將이 子이고 占時가 丑이라면 위와 같이 四課가 구성됩니다. 丑時이므로 해가 진 상태이므로 夜貴를 쓰며 貴人은 丑이 됩니다. 丑貴人이 임한 지지는 寅이 됩니다.

 

귀인이 임한 지지(地盤)가 무엇인가에 따라 십이천장의 배열순서가 달라집니다. 亥子丑寅卯辰의 지지에 임하게 되면 십이천장을 順布하게되고, 巳午未申酉戌의 지지에 임하게 되면 逆布하게 됩니다. 寅지지에 귀인이 임하였으므로 順布가 됩니다. 순포라 하면 처음 윗부분에 열거한 십이천장 순서대로 천장이 지지에 임한다는 것입니다. 역포라 하면 천장들의 순서를 반대로 놓게 됩니다.

 

貴 蛇 朱 合 句 靑 空 白 常 玄 陰 后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子

 

이제 위의 사과에 천장을 붙여 보겠습니다.

 

丑 子 丑 子

甲 丑 寅 丑

貴 后 貴 后

 

천장을 붙이는 것은 지반이 아닌 천반이라는 점에 유의하시면 어렵지 않게 십이천장을 기입할 수 있을 것입니다. 삼전(차후에 설명합니다.)에 천장을 붙이는 요령도 사과와 마찬가지로 적용하면 됩니다.

'주역·육임·육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日辰   (0) 2009.07.15
다음으로 둔간을 정합니다  (0) 2009.07.15
천강소응   (0) 2009.07.15
염막귀인이란   (0) 2009.07.15
천시,지리,인화의 이해 | 六 壬  (0) 2009.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