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일과(知一課)

2009. 7. 15. 16:49주역·육임·육효

지일과(知一課)


 

사과중에 두 개의 과가 상극하(上剋下)를 하거나 혹은 하극상(下剋上)을 한다면 과체의 음양(陰陽)에 따라 일간과 음양이 같은 오행을 초전으로 하는데 이를 지일과라 한다. 양일(陽日)에는 양(陽)이 같은 오행이 되고, 음일(陰日)에는 음(陰)이 같은 오행이 된다. 두 효(爻)가 모두 동하면 일이 두 갈래로 갈라져 선악이 혼잡하니 반드시 하나의 선(善)과 음양이 같은 오행을 초전으로 하므로 지일이라 하였고, 주역의 비괘(比卦)와 상응하여 원형정(元亨貞)의 뜻이 있다.


양일(陽日)에는 양(陽)이 같은 오행이 된다는 것은, 예를 들어 일간이 갑(甲)이면 양인데, 병무경임(丙戊庚壬)도 역시 양으로 일간과 음양이 같기 때문이고, 음일(陰日)에는 음이 같은 오행이 된다는 것은, 예를 들어 일간이 을(乙)이면 음인데, 정기신계(丁己辛癸)도 역시 음으로 일간과 음양이 같기 때문이다.


지일과는 두 개의 과가 극을 받아 동하므로 일이 양쪽으로 분리되고, 선악이 섞이니 음양이 같은 오행을 선택하여 초전으로 한 것이다. 같은 오행이라는 것은 선악의 뜻이 있고 친절하게 보조하는 정이 있으므로 간사한 것을 멀리하고 선한 것을 취하는 과체로 된다. 점사(占事)에서 이 과를 얻으면 아래와 같다.


① 음양이 같은 오행은 기쁜 일이고, 음양이 다르면 걱정되는 일이며, 일이 같은 종류에서 발생되고, 일이 밖으로부터 발생된다.


② 심인점(尋人占), 실물점(失物占)에서는 그것이 근처에 있다.


③ 일간지에 천후, 귀인 등이 임하면 망설이는 일이 있다.


④ 상극하(上剋下)가 초전으로 되면 의심이 있고, 하극상(下剋上)이 초전으로 되면 질투가 있다.


⑤ 전쟁과 소송점 등은 화해하는 것이 좋다.


⑥ 길신이 비화일때는 사물이 근처에 있고, 비화가 아닐 때에는 사물이 먼 곳에 있다. 또 흉신이 비화일때는 기쁜 일이 있고, 비화가 아닐 때에는 걱정되는 일이 있다.


⑦ 초전과 일간이 비화되면 혼인점에서는 서로 어울리지 않는다.


⑧ 사과에서 두 과가 상극하를 하고 같은 종류가 서로 임하였으면 친구가 중상을 입으며, 재화(災禍)가 밖에서 들어오고, 손님에게 유리하고 주인은 불리하다. 두 과가 하극상을 한다면 재물과 처가 염려되고, 저주와 불안한 일이 있다. 대체적으로 가까운 것은 버리고 먼 것을 구하고, 친한 사람은 가까이 하고 먼 사람은 멀리하며, 은혜가 있는 가운데 해로움이 있는 형상이다.


예) 酉월, 壬辰일, 巳시, 辰將, 실도점(失盜占), (午未空亡)


           白虎 丙戌 官鬼

           天空 乙酉 父母

           靑龍 甲申 父母


           白  天  貴  天

           虎  空  人  后

           戌  酉  卯  寅

           壬  戌  辰  卯

           騰  朱  六  勾

           蛇  雀  合  陳

           辰  巳  午  未

    貴人 卯            申 靑龍

    天后 寅            酉 天空

           丑  子  亥  戌

           太  玄  太  白

           陰  武  常  虎


일과의 술임(戌壬)은 상극하, 이과의 유술(酉戌)은 하생상, 삼과의 묘진(卯辰)은 상극하, 사과의 인묘(寅卯)는 상하의 오행이 같다. 비록 일과와 삼과가 상극하를 하지만 임수(壬水)가 양간(陽干)으로 일과에 있는 상신 술토와 음양이 같고, 삼과의 묘목(卯木)은 음(陰)으로 일간과 음양이 다르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다.  그래서 술토를 초전으로 하니 지일과로 되었다.


대육임대전(大六壬大全)에서 말하기를 “이 과는 천괴(天魁)인 관귀에 백호가 임하여 초전이 되었으니 집에 하인으로 인하여 재난이 일어나고, 부녀의 의복과 음식물이 도난당하였는데 나중에 서쪽에 있는 옆집에서 도둑을 체포한다. 삼전에서 술토는 노비, 유금은 부녀, 태상은 의복과 식물, 현무는 도둑의 침입 등을 대표하는데, 음양이 같은 오행이 초전으로 되었고 가을에 점을 쳐서 기가 왕하니 근처에서 분실물은 찾을 수 있다”라고 하였다.

종합적으로 볼 때 이 과의 일간지 모두가 상신의 극을 받고, 관귀가 일간에 임하여 초전으로 되었는데 또 그곳에 백호흉장이 임하였으니 초전과 일간의 상신이 아주 흉하고 위험한 것으로 된다. 그러나 다행히 중전과 말전이 일간을 생하니 처음에는 흉하지만 나중에는 길하므로 고진감래(苦盡甘來)의 과체다. 만약 재임점(在任占)이라면 관성과 인성이 구비되고 백호가 일간에 임하여 초전으로 되었으니 관직에 있는 사람은 아주 순조롭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