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의례보감및개인사(141)
-
상제례
상제례는 한번 토착화되면 나름대로의 의미와 존재 이유를 가지면서 오랫동안 지속되는 특징을 갖는다. 고려 말 들어온 주자가례에 의거한 유교식 상제례는 수백 년을 내려오는 동안 정치, 사회적으로 큰 영향을 끼쳤다. 관혼상제는 풍속을 교화시켜 질서를 세우고, 동시에 효孝 사상을 세우는 수단..
2009.06.20 -
함지기
예로부터 함은 결혼 날짜가 잡히면 신랑집에서 혼인이 성사되어 감사하다는 의미로 또 전통 결혼식의 공식 절차중 하나로, 예식일 일주일 전이나 또는 혼인 전날에 예를 갖추어 신부집으로 보내는 혼수상자를 '함'이라고 합니다. 요즘은 간소화라는 명분으로 생략하기도 하지요...^^ 다음주 토요일(4월..
2009.06.20 -
실생활에 꼭 필요한 생활예절
실생활에 꼭 필요한 생활예절.. 촌수 따지는 법(계촌법) 예절이란 무엇인가? 호칭과 지칭 촌수 따지는 법 계촌법 관계 명칭 고금관작대조표 조선조 품계-내외별 관작명 한국은 예절의 나라 예절의 기본지식 예절과 에티켓 예절의 종류 예절의 공부와 실천 요령 호칭과 지칭 친족의 호칭 며느리와 시댁 ..
2009.06.20 -
관혼상제 가례예절
관혼상제 가례예절[관혼례 편] 상제례 관혼례 약혼사주ㅣ 연길서식ㅣ 납폐서식ㅣ 결혼폐백ㅣ 관례계례ㅣ 백일. 돌ㅣ 회갑잔치ㅣ 친족범위ㅣ 친족호칭ㅣ 기타호칭ㅣ 결혼기념ㅣ 기원십간ㅣ 혼례절차 1.맞선 맞선의 장점은 상대방의 여러 조건을 이상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한편, 연애는 극히 감정적..
2009.06.20 -
경조사 용어
경조사 용어 ♡ 경조사 용어 ♡ ◆ 승진, 취임, 영전을 축하하며 祝進給(축 진급), 祝昇進(축승진. 직위가 오를 때) 祝榮轉(축영전. 더 좋은 자리로 전임을 할 때) 祝就任(축취임. 맡은 자리에 처음으로 일하러 나아갈 때) 祝轉任(축전임), 祝移任(축이임) 祝遷任(축천임. 다른 관직이나 임지로 옮길 때) 祝..
2009.06.20 -
알아두면 좋은 자료
알아두면 좋은 자료 전통자료 제례법(일반상식) 제례법(지방과 축문) 제례법(진설도) 역대 관청에 대한 설명 옛날 관직에 대한 설명 촌수 보는법 관직 대조표 10간과 12지 보는법 공신의 종류 24절기에 대한 상식
2009.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