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7. 5. 21:19ㆍ가인역학원·가인명품작명·가인풍수원
처음 명리공부 할 때 스님에게 배웠는데 물리학을 공부한 분이라 천체,우주에 대해 많은 말씀을 하셨지만 “딱보면 압니다”를 공부하고 팠던 저는 한 귀로 흘러보내는 공부를 하던 중에 “지축이 23.5도로 기울어있기에 인간은 아무리 똑바로 서려해도 원래 태생이 잘못되어 절대 선하게 착하게만 살아갈 수가 없다”고 하신 말씀 六合으로 오행을 하나씩 발생시키는데, 유독 午未合을 하니 안 하니 말이 많지만 午未合하여 火를 발생한다하여 漢醫로는 三焦고 오행상 火가 하나 더 생긴다하여 “火는 욕망”이라 하면서 근본적 인간의 욕망에 대해 이야기하시더군요.
1. 마음의 陰陽
五陽은 正財와 合되고, 五陰은 正官과 合된다.
(1) 陽干 - 感情形
적극적 직선적, 거취 분명, 强물욕, 자신의사 명확 표현, 忌 他의 지배, 强지배적. 陽干은 생각하기 전에 행동한다.
陽干은 感情型 : 기분이 내키는 대로 기분파 甲木의 적극성, 丙火의 맹열함, 戊土의 고집, 庚金의 강인함 壬水의 활발함.
(2) 陰干 - 理性形
陰干의 다소곳함, 소극적인 면은 항상 행동에 앞서 생각한다. 陰干은 理性的이며 감정의 저장성이 좋다.
2. 心의 五行
기본적으로는 日干의 영향이 지대하지만, 주변상황 따라 변화가 있으며, 이런 모든 변수를 생각하면 기본적인 日干의 마음은 글자만 같을 뿐 실제로는 다양할 수밖에 없다. 그래도 日干이 基本骨格은 갖고 있다.
(1) 木 - 하늘 끝까지 자라고 싶다
木 : 미래지향적. 투쟁적 미래라는 것에는 “종료”라는 명령체계가 없으며, ‘과거야 아무렴 어떤가? 중요한 것은 앞이지...’
(2) 火의 마음 - 콩이야 팥이야
낙천적이며 명예욕이 강하다.... 밝은 곳에 자기를 드러내려하기 때문. 火는 자기에너지를 태워 주위를 밝히는 마음.
火는 밝으므로 어둠을 없애주며 火는 콩인지 팥인지 세세히 분류.
火는 未來에는 미련도 없고 그 자리에서 결말을 봐야 하며 모든 것을 금방 망각. 나중에 생각해보는 것은 있을 수 없고, 그래서 火는 現實的이며 낙천적이다.
火란 명예심을 나타내고 욕망이라 하여 火多하면 욕심은 끝을 알 수가 없다.
남의 이목을 의식하여 카메라 앞에서 열심히 봉사하는 모습 등등...
(3) 土 - 너 좋을 대로
思索 : 생각이 많다
土는 ‘아무렴 어떤가?’ 하는 袖手傍觀形. 土는 中間에 該當되며 無特色.
土는 “상황 따라 形便 따라 지켜 본 후에 결정하겠다”는 느긋한 마음이 깔려 있기에 느려 터지다는 말을 듣게 된다.
(4) 金 - 義理에 살고 義理에 죽자
슬픔과 걱정이 많다.(憂.悲) 金은 進行보다는 정착. 아무 데나 앉으면 그곳이 내 집이요 내 고향인 셈. 부귀명예는 부질없는 것, 남는 것은 오로지 의리뿐. 의리를 중히 여기며 냉정하게 이지적인 생각으로 판단하고 행동. 감정의 동요가 미미하고 냉정한 이성을 중시.
의리는 내게 해로워도 중지하지 않고 계속 진행하는 것. 감정은 후원해주기로 했어도 기분 상하면 방향을 바꾸는 것.
크게 보면 木火는 感情形, 金水는 知性形, 土는 明白하지 않는 自體.
(5) 水 - 整理하고 要約하고
공포. 두려움이 많다. 無心道人.
水는 담백한 인생, 사고방식 유연, 고정된 형상 없이 水는 어떤 모양도 가능, 자기모습을 고집하지 않으면서 모두가 必要로 하는 것이 되어 德을 베푼다. 자유자재의 신통력은 水가 아니면 불가능. 물은 世間에 應하지만 자신은 전혀 변하지 않는 無心道人.
愚者는 항상 자기만 강조하다 平生 그 모습에 갇혀 죽어간다. 水는 智. 知慧. 知慧로운 者만이 어디서나 무엇으로나 變化가 可能한 것. 물의 역할이 참으로 세상을 구제하는 것, 가장 지혜로운 五行, 五行의 王.
第 二 章 60甲子의 심리
十干을 기준으로 보고, 다음에 십성으로 전개하고, 그 과정에서 다시 合沖의 복합관계를 참작해서 최종적으로 적절한 결말을 찾아내는 것이 수순.
陽干은 外向的, 陰干은 內向的. 正은 外向的, 偏은 內向的
五陽(甲丙戊庚壬)은 正財와 合되고 五陰(乙丁己辛癸)은 正官과 合된다.
표면적심리는 陽干이 큰 영향을 받고, 내면적심리는 陰干이 영향을 크게 받는다.
1. 天干
甲은 봄철에 나무가 껍질이 터지는 것을 뜻하며, 백과초목은 우뢰풍작에 따라 그 껍질을 쪼갠 뒤에 싹이 트게 되는데 甲은 모든 것이 처음으로 하늘의 진리를 펴는 開闢이다.
乙은 싹이 뻗어나갈 때 그 끝이 乙자 모양의 곡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며 만물이 처음으로 그 형체를 세상에 드러내는 어린시절이다.
丙은 명랑하고 따뜻한 태양을 뜻하며 만물이 그 정체를 드러내는 것이다.
丁은 만물이 성장하는 뜻을 가지며
戊는 만물이 무성하게 성장하는 것을 뜻한다.
己는 만물의 성장이 완전하게 되어 외형적인 성물이 완성단계에 이르렀음을 뜻한다.
하지절은 陽이 極衰하며 陰이 始生한다.
庚은 강경하며 만물이 내적으로 충실해져서 거의 완성된 것을 뜻한다.
辛은 만물의 성장과 결실을 완수해 열매가 모체로부터 떨어지는 사별의 고통을 뜻한다.
壬은 懷妊인데 곧 陰陽이 서로 교차하는 것이며 생성의 일기가 끝마치는 것을 뜻한다.
陽이 제일 짧은 동지절이 되면 반대로 陰은 제일 길게 되는데 陰이 極盛한 이때 極衰한 陽이 다시 살아 나오게 마련이다. 이것이 陰盡이고 一陽이 始生이며 陰陽교차이며 신세계의 배태며 壬의 근본적인 진리이다.
癸는 고서에 揆度(揆 헤아릴 규)라 했는데 임에서 회임잉태한 一陽이 성장하여 점차적으로 陽의 존재가 내부, 이면에서 확실해졌음을 뜻한다.
또 기후에 비하면 冬節의 마지막인 12월에 해당하는데 춥고 水旺한 겨울과 陽이 창달하여 따뜻한 봄날을 이어주는 土旺時이다. 따라서 겨울이 얼마 남지 않았으며 새로운 세계가 성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는 뜻에서 규도라 한다.
2. 地支
地支는 땅의 원리를 표시한 것이다.
子는 陽氣가 싹트는 것을 말하니 아이를 비로소 잉태한 것과 같다.
丑은 굴종됨을 뜻하니 한기가 스스로 굴복하기 시작한 것이요
寅은 陽氣가 나와 만물이 활동하려는 의욕이 강함을 뜻한다.
卯는 冒行(모행)이라 했는데 만물이 땅 위로 솟아 나오는 것을 뜻하며
辰은 만물이 기개를 펴고 발전기상을 지니고 있음을 뜻한다.
巳는 양기가 충만함을 말하며
午는 음양이 교차함에 있어 서로 놀라고 미워하는 것을 뜻하며
未는 양이 쇠잔하기 시작한 것을 뜻하며
申은 만물의 형체가 완성되었음을 뜻하고
酉는 만물이 그 결실을 완료한 것이며
戌은 만물의 생성 일대가 감진했음을 뜻한다.
亥는 핵이라 했는데 만물의 일대는 끝났지만 그 일대의 씨앗이 收藏된 것을 뜻한다.
1. 甲木의 정신적 구조
우직대담한 성격에 습토 또는 水를 의지하여 거침없이 위로 오르기만 한다.
만인의 두령이라 할 수 있는 고목과 같아 항상 이지적이며 사려가 깊고 활동적이며 점진 견실성 있는 노력형이다.
겉은 쾌활하나 강한 자존심으로 시종일관 무뚝뚝한 우직대담한 성격.
습토가 두터우면 뿌리가 깊이 단단하나 土가 적고 가지만 무성하면 허약하다.
물이 적으면 잎이 마르고 물이 많으면 뿌리가 썩는다.
■陽의 마음 - 比肩
표면은 陽의 마음 比肩에 해당. 强 경쟁의식.
■음의 마음 - 偏財
겉은 比肩이지만, 내면은 偏財.
편재는 바탕심리이기에 갑목의 바탕에는 물질에 대한 강력한 집착이 없다.
이러한 마음은 물질뿐 아니라 여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그래서 바람을 피운다.
바람피운다는 것도 그 본질적 내용을 생각해보면 한 곳에 집착하지 못함이다.
이러기에 한 곳에 집착치 못하고 방황하며 남자는 플레이보이의 기질.
■두 마음이 결합된 형태
바탕은 편재적 마음이므로 물질에 대해 쉽게 생각한다.
행동은 比肩的이기에 경쟁적인 마음으로 나타난다.
두 陰陽의 마음을 보면 陽이 陰을 극하는 형태다. (비겁 剋 財)
陽心이 陰心을 剋하기에 陰心은 속에만 머물고 겉으로 나타나지 못한다.
양간은 표면심리가 강하고, 음간은 내면심리가 강하다.
木多 : 꽃은 많이 피었어도 열매 없는 나무. 이별분산 많이 하니 다 떠나고 혼자.
부모형제 헤어지니 부부이별 또 있으며 자식으로 속 썩히고 신상질병 안 떠난다.
火多 : 봉사활인 구제생활 일 많으니 재물 많다. 열매 많이 달렸으나 쭉지열매 뿐이다.
헛세상을 살아가니 외부내빈 신세. 머리멍청 짝을 만나 남편극상 팔자로다.
土多 : 불 없는 마른땅에 자라나는 나무. 열매 없는 나무같이 수확 없고 散財한다
가문 땅에 나무 풀은 질병 또한 많이 있고 妻와 財가 많은 격은 재물 없는 신세.
金多 : 토막토막 잘린나무 한줌 톱밥 변화하니 이름 없는 질병으로 폐질불구 초래한다.
형제분산 독신아들 일가친척 흩어진다. 자식 많다 자랑 마라 재물파산 되고 만다.
水多 : 물에 뜨는 토막나무 떠다니는 유동생활 아는 것은 있다하나 깊은 지식 전혀 없네
자식 늦게두는 팔자 늦게서야 학비걱정 용두사미 일만 겹쳐 되는 것이 거의 없다.
(1) 甲子日柱 甲(외강 비견, 내약 편재) 子水(壬水편인10 癸水정인20)
甲木에 子水가 포함. 子水는 정인 = 갑목+정인의 구조.
甲木의 비견과 정인의 수동성.
甲木의 표면인 비견은 주체성이고, 추가로(地支) 수동적 직관력이 포함된다.
직관(정인)에 의해 强進(印生我=身强)하고 직관력을 확신한다면 종교 또는 심오한 형이상학적인 분야에 특기(정인). 총명(정인)하고 직관력이 있으므로 탁월한 종교가로써 재능을 발휘할 수 있다.
잠재된 편재가 가세하면 보이지 않는 신비한 이치를 잘 감지할 수 있다.
티벳 달라이라마. 역학의 대가 소강절도 甲子일주인데, 그의 직관에 의한 매화역수는 참으로 독보적이다.
己土를 보고 合한다면 정재와 合(貪財)되니 직관과 정재의 물욕이 결합(印財혼잡)되므로 정인의 베풀기와 정재의 물욕이 상충으로 심신 혼란(갈등)으로 직업이 자주 바뀔 수 있다.(정인은 직업에 대한 집착력이 없다)
풀이 : 裸體桃花.印綬도화 : 본인과 배우자 淫蕩. 印綬는 母이므로 母가 情限(離別,再嫁 및 淫蕩). 女:일지桃花이니 幼郞,
心强(甲비견) 정직 온순 옛것 선호(정인), 자존심이 강하면서(甲비견) 배우자의 가문과 학식이 좋고(日支정인), 남녀간 직업이 일정치 않거나 서로가 풍류기가 있어 사치를 좋아한다.(정인은 직업에 집착이 없음).
여성은 고집이 세며(정인이므로 身强) 일지夫宮에 정인(친정)이 자리하여 媤家와 不和. 남편이 있어도 허무감(정인)으로 인해 남편과 相合치 못해 이별, 때로는 양친과 인연 없어 조실부모(甲비견에 身强으로 비견 강화).
水邊衰敗之木, 從革金. 소중하고 귀한 金으로서 水旺地를 좋아한다.
(2) 甲寅日柱 甲(외강 비견, 내약 편재) 寅木(戊土편재7 丙火식신7 甲木비견16)
甲木에 비견 식신 편재를 포함. 甲子일주처럼 현학적인 차원과는 약간 다르다.
비견에 비견이므로 고집이 강하며 그 흐름은 식신에 머리를 두고 있다.
식신은 자기내면세계에 집착하면서 이기적이며,
편재는 물질에 관심을 갖으면서도 집착이 없다.
종합해보면 혼자서 주체적이면서 궁리하는 일에 관심을 갖게 된다.
고집 때문에 스스로 자신을 표현하려하는데, 그 결과는 편재의 영향으로 나타나겠다.
겉으로 고집스레 보여도 실제는 매우 다정하며 한가지 일을 잡고 늘어지면 상당히 깊은 경지까지 파 들어가므로 연구분야에서 독보적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편재의 영향으로 추상성을 구체화시키는 작용도 일부 있는데 내면에 갈무리되어 있기에 보통은 잘 보이지 않는다. 연구직이나 개발하는 쪽에 좋은 재능.
풀이 : 역마. 日支비겁으로 財를 다투고
총명 배짱 통솔력 자비심(편재) 독립심 자존심, 부부이별. 父親사업 부진 손실(木剋土). 지기 싫어하고. 남자는 損財나 喪妻(木剋土).
일지는 배우자궁이므로 서로 고집(비견)부리고 배우자는 활동적(역마)이다.
女命 : 生死離別殺. 고란. 독수공방(비견). 남녀간 부부사이에 자존심이 강해 이별.
堅實大材之木, 自病水. 흘러내리는 빗물이며 여름과 불을 좋아한다.
(3) 甲辰日柱 甲(외강 비견, 내약 편재) 辰土(乙木겁재9 癸水정인3 戊土편재16)
비견이 편재(풍류)를 본 것인데도 내면적으로는 겁재(외면을 가꾸고: 멋쟁이)와 정인(백수기질)도 일부 포함. 풍류기질이 넘친다.
다소 복잡한데, 주체성에 편재가 강하므로 아집으로 뭔가 사업을 하고자하며,
종속되지 않고 독립적(비견)이기에 사업이나 유통업에 손을 대겠다.
약간의 印星은 어려울 때마다 보이지 않는 신에게 기도를 하는데, 기도를 하다가도 사업이 잘 풀리면 곧 잊어버린다.
약간의 겁재는 구태여 아집을 부리는데(水生木 및 투출되어) 이로 인해 은근히 자기주장을 강하게 밀고 나가는 뚝심으로 비쳐지기도 하므로 이 사람과는 무리하게 충돌하지 않는 것이 좋다.
풀이 : 白虎.괴강.
명랑.호탕. 인격 고상. 융통성 풍부. 금전과 배우자를 잘 다스리니 팔방미인 격.
남자는 여색을 조심 처첩이 약물중독 가능. 학문을 즐기고 기술(편재)에 남다른 소질.
호인으로 남을 해치지 않음. 재물 경시 낭비이나 辰은 庫地. 풍류적 好주색.
女命 : 시부모 공양을 잘함(日支편재 편재는 시어머니).
鬱濕水松之木, 偏庫火. 야밤의 등불로서 밤과 물을 좋아한다.
(4) 甲午日柱 甲(외강 비견, 내약 편재) 午火(丙火식신10 己土정재10 丁火상관10)
자기재능을 과신. 사람을 무시하는데(상관), 일단 자신보다 월등한 사람이라 판단하면 그 후부터는 완전 복종한다.(비견에 상관)
日干이 강하게 상관을 生하므로(상관이 바라보면 甲木은 정인) 아집대로 재능을 발휘.
午의 지장간에서 食神生財하며 甲己(정재)合土이니 물질집착이 강해 인색.
비견에 상관 : 맘에 들면 매우 잘 하지만, 일단 경쟁자로 생각되면 물불을 안 가리고 맹렬히 도전한다(상관의 성격). 물론 상대도 피곤하겠지만, 자신도 결코 양보하고 싶지 않기에 생각보다 오래간다. 그렇지만 일단 화해하면 또 잘 잊어버린다.
풀이 : 桃花.홍염. 女:일지桃花이니 幼郞,
영리 재주 수단. 오만불손. 멋 내고 꾸미는 일에 능수능란, 자기를 올리고 남을 억누르며, 학문 예술 기술방면에는 남다른 소질, 남자는 미모의 배우자를 만나지만 배우자궁이 상관이므로 剋官하기에 남자를 이긴다.
여성은 결혼하면 생사이별(배우자 궁이 상관이므로 剋官), 남편이 어리석거나 백수.
枝葉茂盛之木, 自敗金. 정미롭게 단련된 金으로 水木土를 좋아한다.
(5) 甲申日柱 甲(외강 비견, 내약 편재) 申金(戊土편재7 壬水편인7 庚金편관16)
몸과 마음이 어쩐지 어색하다.
甲申은 바위 위에 소나무라지만, 실제는 일지 편관이니 克己와 봉사를 한다.
봉사도 좋지만 자기건강도 돌보지 않고 희생하려한다.
身弱 가능성이 많고, 다행히 申金중에 壬水(편인)가 있어 지나친 희생적 봉사에 제동을 건다(水生木)
흔히 甲申日柱를 殺印相生(官生印 印生我)이라지만, 참으로 묘한 조화를 이루고 있다.
壬水가 아니면 남 위해 희생하고 말 텐데, 약간의 壬水(金生水)로 인해 균형을 유지.
만약 편인 아닌 정인이었으면 느낌대로 완전 봉사를 했을 것이다.
편인은 어딘지 불만과 고독한 성분이기에 “베풀어봐야 결국은 나만 골탕을 먹고 마는 것이 아닌가(뺀질이)?” 하는 회의를 하며 그로 인해 자제한다.
여기에서는 土는 크게 비중을 두지 않는데, 이유는 워낙 金水가 강한 형상이기에 土에 대한 기능은 크게 나타나지 않는다.
풀이 : 역마. 女 小室.
남을 무시하고 재주 과시하여 배신․실패를 당할 수.(日支 편관). 약자에 동정적
불구나 허약자가 많고 凶敗가 있으나 신체가 왜소하면 무관.
각박한 마음 때문에 배우자로부터 괴로움을 당하여(배우자궁이 편관이므로) 궁지에 몰리는 수가 많고, 남녀간에 沖이 겹치면 결혼 후에 질병에 걸리기도 하고 변태성 배우자.
金木이 相戰해서(甲庚沖 : 日干支 沖)부부불화 이별 별거 가능.
斫斷入水之木, 自生水. 양질의 우물로서 봄․여름을 좋아한다.
(6) 甲戌日柱 甲(외강 비견, 내약 편재) 戌土(辛金정관9 丁火상관3 戊土편재18)
日支 편재라는 면에서는 甲辰일주과 동등.
甲辰은 정인과 겁재가 일부 있고(정인과 겁재는 재물욕을 억제), 甲戌은 상관과 정관이 일부 있는 것이 차이점. (상관이 편재를 보았으니 재물 집착이 강하고 사업가 기질)
이 차이는 물질통제가 강하면서도 자신의 재능을 과신한다.
甲辰일주가 사업하면서 기도한다면, 甲戌일주는 사업하면서 관청에 가끔 들리겠다.
적당한 뇌물성 투자를 하기 위함이며 돈을 안 받으면 또 다른 편법을 연구해 낼 것이다.
弱傷官은 뇌물을 주면서도 적당히 무시하는 성분이다.
甲辰일주가 적당히 유흥적이면 甲戌일주는 적당히 현실적(申金정관)이다.
상관이 편재를 보았기에 자신의 능력을 과신하고 물욕이 상당하다.
풀이 : 괴강.
매사 자립하고 만인을 지휘하나 독선 직선적이고(편재) 때 지난 일에 손을 잘 댄다.
만사 장애 많고 남 일에 봉사희생함이 강하며, 허영심 재물경시(편재).
남성은 풍류 주색(편재), 토론을 좋아하고 할 일을 미루지 않으며, 多妻(상관 生財).
石山老松之木, 自庫火. 일상생활 불씨로서 봄․여름을 좋아한다.
2. 乙木의 정신적 구조
외부작용에 민감하여 조그마한 변화에도 타격을 입는 부드러운 성질의 草木.
꾸준한 노력파로 인내심과 아픔을 참고 견뎌야 하는 고통이 많이 따른다.
결단성이 약간 결여되어 있고 질투심이 강하다.
다소 교만심으로 불화쟁론을 불러일으킬 위험이 따른다.
아무리 큰 水가 와도 단단한 土에 뿌리박고 있으면 특유의 유연성으로 갱생력이 강하다.
■陽의 마음 - 劫財(표리부동)
주된 관심사는 재물을 취하는 쪽이며 그래서 이름이 劫財이다.
비견이 순수경쟁이라면 겁재는 합리적으로 자기 유리한 방향을 생각하면서 경쟁한다.
乙木은 주도면밀 용의주도하며 경쟁을 하면서도 빈틈이 없고, 만약 빈틈을 보인다면 이면에는 또 다른 깊은 계산이 있을 것이다.
■陰의 마음 - 正財(物慾)
乙木의 속에 내재되어 있는 마음 정재는 열심히 노력해서 재물을 모으는 것.
편재가 즉흥적 일시적 재물, 정재는 알뜰하고 꾸준한 재물이며 물질적 계산에 밝다.
■두마음이 결합된 형태
정재가 바닥에 깔려 있고, 겁재가 밖으로 나타나는데 정재는 재물을 피처럼 소중히 여기며, 둘이 결합되면 남의 것이 내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겁재는 합리적으로 남의 것을 착취. 가령 미리 돈을 빌려줄 적에
“내 돈은 이자가 좀 비싸, 쓰려면 그 이자를 갚아야 해! 싫으면 말고~!”
이렇게 한다면 남의 돈을 빼앗지만 합리적이다.
미리 각오하고 돈을 쓰니, 강도처럼 칼을 들고서 ‘있는 돈 다 내놔~!’ 하고는 다르다.
이것이 겁재의 성분이며, 乙木은 陰干이기에 내면적인 심리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
木多 : 그늘 밑 어린나무 잘 클 수 있겠는가 일신상해 흉액장애 배우자신상 화액 있다.
장애방해 허튼 가족 중상모략 많이 당해 형제일신 많다하나 동정 없고 인정 없다.
火多 : 양지산에 마른나무 불살개의 나무로다. 신체허약 허풍세월 불구단명 예방하라.
식신생재하였으니 고은 부자 소리 듣네 자식들이 액살 드니 누가 그일 처리하리
土多 : 마른땅에 심은 곡식 어찌 빨리 자라리요 위장나빠 마른 체질 주야장천 걱정일세
시모하고 불화하고 갈팡질팡 속상한다. 돈줄돈복 있다하나 지출허비 많이 있다.
金多 : 자라나는 어린나무 도끼칼로 찍어대네 일신고통 멍이 들어 고질잔병 웬일인가
이리갈까 저리갈까 사생결단 목에 걸고 중심 잃은 나그네가 평생 남을 따라가네
水多 : 뿌리없는 어린나무 안착할 곳 가히 없다. 평생 주거 전전하고 떠다니는 신세로 다.남편이별 자식근심 이것 또한 부평초라 변심부부 한이 되고 인간원망 슬프도다.
(1) 乙丑日柱 乙(외약 겁재, 내강 정재) 丑土(癸水편인9 辛金편관3 己土편재18)
정재가 편재를 보는 형상. 정재는 외향적인 감각을 중시.
정재․편재 모두 재물이라 乙丑日生은 사업을 할 가능성이 높다.
재물은 일반적으로 “사업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
丑土에 癸水편인 辛金편관의 영향으로는 편인의 수동적․신비적경향과 편관의 극기정신.
그래서 目的을 위해 상당한 인내심이 있고, 또 신비세계에 대해 상당히 믿고픈 마음이 있지만 실제는 잘 나타나지 않는데, 그 이유는 己土편재가 癸水편인을 剋하기 때문이며, 만약 月時의 干에 印星이 있다면 이 특성도 분명히 살아나며 ,그 결과 오히려 日支의 편재는 弱화 될 수도 있고, 물질에 대해 부정적일 수도 있는데, 이것은 편인의 영향이다.
풀이 : 건강불량 소심 온순 인자 조용 고상하고 학문 예술 종교를 좋아하며(干支 모두 陰), 처를 사랑하고 아껴주며(日支편재), 항상 바쁘고 노력은 하나 고집으로 패망.
多비겁이면 배우자가 허약 질병 단명(비겁은 剋財),재물경시 낭비, 남 주기를 좋아한다.
沾泥初生之木, 府金庫. 가공치 않은 金으로 火와 남방의 햇빛을 좋아한다.
(2) 乙卯日柱 乙(외약 겁재, 내강 정재) 卯木(甲木겁재10 乙木비견20)
乙木 중에서 가장 强한 구조. 고집은 단연 독보적.
乙木은 정재로 인해 물욕이 강한데, 日支는 완전 비겁이기에 오히려 剋財.
비견은 재물욕을 무효화시키므로 재물에 대해서는 心理的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乙木 자체가 겁재이니 財物을 은근히 탐하는데, 日支에 財星을 빼앗는 비견이 있기에 속으로만 그럴 뿐 실제는 오히려 財物에 대해 담담할 수도 있다.
다만 乙木이 强하기에 甲木의 영향은 미미해서 卯木속의 甲木은 생각하지 않는다.
풀이 : 密輸 投機 桃花. 女 生死離別. 女:일지桃花이니 幼郞,
성실 치밀 분명 강직 외유내강 결단력(간지 모두 陰이며 비견).
成事가 적고 害妻하고 福力 甚厚.
여성은 남편을 이기고 첩인 경우 본실로 승격. 地支에 劫煞을 만나면 주색을 좋아한다.
堅實花草之木, 自敗水. 이슬의 물이며 水火를 좋아한다.
(3) 乙巳日柱 乙(외약 겁재, 내강 정재) 巳火(戊土정재7 庚金정관7 丙火상관16)
日支상관. 상관은 자기능력을 실제보다 높게 생각하는데, 乙木이 정재가 强하니까 그 결과로써 나타나는 형상은 소유욕의 過多이다.(상관이 정재를 보았으니 당연히 물욕 대단)
상관은 합작도 하는데 정재가 이러면 단독보다 동업해서 자기능력을 확대시키려한다.
巳火에 戊土정재 庚金정관이니 내면에는 합리적으로 연구하는 성분이 잠재되어 있는데 워낙 상관이 强하기에 겉으로는 잘 드러나지 않는다.
오히려 戊土정재가 强化되며 자신의 상관을 활용한 재물욕이 잠재되어 있다.
상관이 미세한 庚金의 영향을 받기에, 어느 정도 과대망상증이 있는 듯 하다.
이러한 원인은 사회봉사라는 庚金의 작용으로 미화시켜 생각하기 때문이며, 乙巳日柱는 은근히 실속을 차리려고 하는 경향이 많다.
풀이 : 역마. 裸體桃花. 女 姦婦 고란 小室. 乙庚(정관)合金.
日支욕궁으로 부부인연 좋지 않고
복록 덕망 身病. 용모 준수 아담하고 여성적, 허영 방탕 멋 사치. 고향과 부모에 인연 없고. 일간과 지장간의 정관과 합되니 정관이 제 역할을 못한다.
女命 : 소실살이 부부간 불만변덕 이별, 남편직업 불완전. 지장간 庚(정관)과 合되니 속으로 貪官에 정신없다
倒怯花朔之木, 臨官火. 호롱불의 불빛이며 申酉와 가을을 좋아한다.
(4) 乙未日柱 乙(외약 겁재, 내강 정재) 未土(丁火식신9 乙木비견3 己土편재18)
乙丑처럼 日支 편재. 편재는 사업성분이고 소유욕을 포함하지만, 乙丑과는 다르다.
未에 丁火식신 乙木비견이 있다.
內向的 感覺形이 또 內向的 感覺形을 만났으니 그 작용력이 대단히 크다.
결과로 乙未日柱는 感覺的인 것에 적극적인데, 실제는 여간 잘 알 수가 없다.
陰干이기 때문이다.
丁火식신으로 인해 내면적으로 궁리를 많이 하고, 비견으로 인해 자기계획을 밀고 나가려한다.
물질 또는 감각적인 면에 대해 궁리하면서 주체성을 갖는데, 결과적으로 연구하는 사업이나 설계에 연관된 일에 흥미를 갖게 될 수 있다.
풀이 : 白虎.
이해 타산적, 단정 섬세치밀, 유능, 만성허약. 능력은 뛰어나나 실속이 없다.
약독 중독. 多비겁이면 여색조심 처첩음독, 남녀가 생모외에 양육됨.
藤蘿施架之木. 偏庫金. 화로 속의 金으로 큰불과 흙을 좋아함.
(5) 乙酉日柱 乙(외약 겁재, 내강 정재) 酉金(庚金정관10 辛金편관20)
참으로 편관다운 편관을 일지에서 만났다.
乙酉는 전혀 통근이 되지 않는 그야말로 바위 위에 올라앉은 화초라 하겠다.
酉일이면 화분 속의 화초라, 生死권한이 사람에게 있으므로 정서가 매우 불안하다,
乙木(정재)의 물욕과 강제로 봉사하려는 편관의 강력한 성분은 서로 상반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 결국 정서불안과 언행불일치.
여기서 酉金에 있는 庚金은 생각하지 않는다.
편관이 워낙 강하기에 정관의 합리적인 성분은 눌려버리는 것이다.
日支 酉金편관이므로 月時의 干에는 印星이 있어 金生水하고 水生木하는 流通의 구조가 되기를 원한다.
풀이 : 桃花. 乙庚合金이나 乙辛沖이 되어 깨어짐. 女:일지桃花이니 幼郞,
깔끔단정 유순소심 조급 외로움 好色家(일지 도화) 허약질병 신경과민. 인덕 없음. 생활안정 안되며 남에게 의탁인생. 화려함과 예술의 취미. 관직과 무관으로 출세.
金木이 相戰하여 沖이 겹치면 부부불화하고 이별 별거.
盆花奇馥之木, 自敗木. 음지의 물로 동방과 남방을 좋아한다.
(6) 乙亥日柱 乙(외약 겁재, 내강 정재) 亥水(戊土정재7 甲木겁재7 壬水정인16)
정인을 깔고 있으므로 뛰어난 직관력.
기본적으로 정재의 물욕이 많으며 印星이 生하므로 안이하게 자기 몫을 챙기려 한다.
亥에는 甲木겁재가 있어 고집도 있는데, 이러한 결합은 욕심만 내고 나눌 줄을 모르기에 인색하다는 비난을 받게 된다.
아이처럼 자꾸 움켜쥐려는 마음이 있어 원만하게 살아가는데 장애물이 되기도 한다.
물론 정인 日支니까 교육 잘 받고 좋은 지도자를 만나면 뜻밖의 큰 성취도 예상된다.
풀이 : 역마. 女 小室
고상하고 어질며 이타심 적고, 학문 예술을 즐기고 창작력은 있으나 財福 부족. 끈기와 배짱이 없고. 생각은 깊으나 실천력 부족으로 결실이 없으며,
남녀간에 서로 배우자가 자신보다 학식이 많고 좋은 집안 태생이며, 모친으로 인해 덕을 보고, 여성은 자식도움 받기 어렵다(印剋식상).
水上寄生之木, 伏明火. 활활 타는 불로서 여름을 좋아한다.
3. 丙火의 정신적 구조
낙천적이며 명예욕이 강한데 더군다나 陽이므로 대단하다. 망각증이 심함.
陽 중에 오직 丙火가 으뜸이다.
통솔력과 지도력을 겸비한 화술에 능하다.
불같은 성격 때문에 때로는 실수를 초래하기 쉬우나 임기응변 또한 갖추고 있다.
비밀을 간직 못하는 성격으로 솔직 대담하다.
재주가 많지만 감정이 예민하여 한 번 싫은 것은 영원히 싫어하는 면이 있다.
■陽의 마음 - 食神
식신은 자기의견을 경쟁적으로 노출시키기에 강경하게 자기주장을 하는데, 그 목적은 자기내면을 표출시키는데 있다.
木이 물질적이라면, 火는 인정받고 싶어하며, 그 중에서도 식신은 자기본바탕을 인정받고 싶어하며, 입에 발린 칭찬은 별로 이며, 진심으로 칭찬해주면 속에 있는 모든 것이 날개 달고 마구 뛰어 나온다.
■陰의 마음 - 偏官
잠재심리 편관은 자기표현욕구가 공익을 위한 것이며, 물론 스스로는 느끼든 못 느끼든 그러한 마음이 내재되어 있으며, 편관이 그렇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공익을 위하는 마음은 분명한데 방법은 합리적이지 못하고 강제적이다.
그래서 ‘넌 이래야 한다.’ 고 하며, “이렇게 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하는 권유의 형태는 비위에 상한다.
■두마음이 결합된 형태
두 마음이 결합되면 교주적인 형태로 발전될 수 있다.
시위대의 선봉은 “공익을 위해 내가 나서야 한다”는 생각이 있어야 가능하며, 그렇지 않고는 최루탄가루가 휘날리는 도로에서 목숨을 걸지 못하며, 스스로 “공익을 위해 생각한다”는 것이 바닥에 깔려 있기에 언제나 당당하다.
이러한 형태는 偏官의 바탕 위에 食神의 형태가 되어서 행동에 옮겨지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陽干의 특성에 영향을 주는 食神이 비중을 크게 차지하며,
그러한 점은 “솔직한 표현력”이 丙火의 등록상표가 될 정도로 공인 받은 셈이다.
木多 : 불난 집에 불붙이니 강한 불을 꺼야한다. 金얻으면 광채나나 金없으면 몰락된다.
자식무덤 후손 잃고 혈압肝病 탈이 난다. 부부이별 독신생활 無子팔자 상팔자네
火多 : 불 위에다 불지르니 활활 타는 불꽃일세 만사를 할 수 있다 장담만을 하여놓고
실천 한번 못 옮기니 이 실수를 어찌할꼬 부모형제 이별하고 부부자손 몰락일세.
土多 : 구름안개태양 가려 빛난 광채 흩어진다. 헛된 세상 보낸 신세 불만속에 살아가네
부부이별 부모이별 자식 잃어 원통하여 갈팡질팡 떠돌 신세 활인구제 인생일세
金多 : 불 약하여 이룬 그릇 그릇보물 부서진다. 여태까지 노력한 것 헛수고에 불과하니
재물욕심 여자욕심 결국 파산 당해보고, 외부내빈 신사 되어 가는 곳은 신용실추
水多 : 겨울 밤중 태양 빛이 구름 속에 가렸으니 눈병 심장질병 오며 동기친척 외롭구나
자식 많다 좋다해도 불효자식 말도 마소. 병명 없는 질병 걸려 정신질환 앓아본다
(1) 丙子日柱 丙火(외강 식신, 내약 편관) 子水(壬水편관10 癸水정관20)
일지 정관, 합리적으로 생각하는 형상.
식신이 정관을 봤으니까 궁리하여 표현하면서도 합리적인 방법을 취한다.
자기감정대로 일을 처리하면서도 가능하면 객관적이다.
이러한 성분은 丙火를 한 단계 상승시키는 작용을 하는데, 매우 바람직하다.
火는 앞으로만 나가면 이내 불타버리고 소멸되는데, 정관水가 밑에서 조절해주면 이성을 갖고 객관적행동을 함으로써 자기욕구대로 행동하는 사람이라고는 하지 않을 것이다.
정관의 영향을 받게 되므로 활발하면서도 이성적인 사람이다.
사주에 관살이 강하면 비록 丙火라지만 편관적인 잠재성분이 발동한다.
원래는 잠재성분이 표면심리에 눌려 있다가 표면심리가 약화되면 서서히 고개를 드는 것이며, 그래서 약한 丙火는 스스로를 매우 억압하는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편관보다는 정관의 영향이 더욱 크기에 子水에 있는 壬水는 크게 비중을 두지 않았다.
정관과 편관은 종이 한장 차이라 할 수도 있기에 경우에 따라 편관의 작용도 있다.
주변에 관살이 다시 중복되면 겁 많은 丙火가 되어 무슨 일이든 自力으로 추진하는 것이 어렵다.
풀이 : 裸體桃花. 女:일지桃花이니 幼郞,
소심(일지 克己) 단정수려 팔방미인. 실패하면 좌절.
남자는 여복이 많고 처에 의지.
여성은 남편덕이 있고(남편은 정관격: 일지) 남자의 유혹이 많으며(일지 夫星) 剋夫 또는 남편이 하천하나 사주에 救星이 있으면 무관하다.
夜月美麗之水, 流水水. 강과 호수의 물로서 나무와 흙을 좋아한다.
(2)丙寅日柱 丙火(외강 식신, 내약 편관) 寅木(戊土식신7 丙火비견7 甲木편인16)
丙火가 편인을 본 형태, 편인은 직관력이 뛰어나고, 丙火는 發散하는데 또 덤으로 寅木의 印星이 生助해준다면 發散하는 여세에 힘입어 직관력이 매우 활발하게 작용한다.
이런 성분은 매사 아집대로 처리한다.(제 멋대로, 편인은 뺀질이)
식신이 印星을 보았으므로 그러하며, 원래 식신은 자기감정대로 행동하는 성분이다.
寅에 丙火비견 戊土식신이 공존하고 서로 사이가 좋다.
丙寅日柱는 직감적으로 자기감정대로 일 처리를 하고 그래서 히틀러 같은 사람.
선천적인 식신의 감정과, 寅에 丙火비견으로 인해 주체성이 강화되고, 또 戊土식신으로 인해 스스로 많은 궁리를 하게 되며, 천부적으로 타고난 직관으로 인해 매우 빠르게 자신의 판단력을 의지하고 실행에 옮긴다.
풀이 : 역마. 女 生死離別 고란.
멋 허영 사치 낭비 성급 외로움. 부부운 불량. 실속 없고 축재 못함.
여성은 아들은 적고 딸이 많으며 몸은 왜소하다.
日升陽谷之火, 赫赫火. 이글이글 타는 불로 겨울과 나무와 水木을 좋아한다.
(3)丙辰日柱 丙火(외강 식신, 내약 편관) 辰土(乙木정인9 癸水정관3 戊土식신18)
식신이 식신을 본 형태이기에 분명히 食神이 强化되어, 무엇이든 열심히 열성적 적극적으로 파고들기에 가장 빨리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다.
다만 식신은 자기재능을 발휘하는 성분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역시 利己的이다.
자기재능으로 깊이 궁리함으로써 그 결과 자신의 이름이 높아지는 학자의 구조다.
辰에는 乙木의 정인과, 癸水의 정관이 있다.
정인은 우쭐대기를 싫어하므로 뭔가 넘치는 듯... 하면서도 절제가 있는 형상이며,
정관은 자기이익을 추구하면서도 그로 인해 多數가 이로운 것에 보람을 느끼기도 한다.
풀이 : 괴강.
매사 장애, 진실 낙천적 적극적, 착하고 주색을 즐기고, 비밀이 없고 체격 건재.
대화를 즐기고,
여성은 有德단정하여 좋은 배우자를 만나나
凶星이 있으면 시부모를 극상하며 자기 멋대로 흐르기 쉽다.
日徑天羅之土, 自庫土. 언덕 흙으로 金木을 기뻐한다.
(4)丙午日柱 丙火(외강 식신, 내약 편관) 午火(丙火비견10 己土상관10 丁火겁재10)
丙午日柱를 만나면 “천하의 병오일주가 말이야~!”라는 말로 시작한다.
丙火가 午火를 봤으니 맹렬. 일지 겁재이므로 치열한데, 아무도 못 말리는 독불장군.
丙火는 日支에 비견을 만날 수 없다.
이유는 地支의 火가 체용을 바꿔 사용하기 때문이며, 또 다른 이유가 있을 것이다.
丙火는 폭발성분이 매우 강하다. 火는 極陽이고, 불에서도 양의 불이니 극히 치열하다.
天干만도 이런데 地支조차 병화면 너무 폭발력이 강해 도저히 존립이 어려울 것이다.
午火가 비록 火王이지만, 그 속에 습토인 己土가 있어 불기운을 흡수하고 있다.
이것은 유조차에다 폭발방지장치를 부착하는 것과 흡사하다.
폭발방지기능을 단다해도 불이 약화되지는 않지만 치열하게 불타 소멸되어버리는 불상사는 면하는 것이다.
암장된 己土는 매우 중요한데, 심리적으로는 자존심으로 인해 스스로를 감당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흘러나가도록 해주는 작용이다.
그래서 丙午日柱는 고집이 대단하면서도 極한 상황에서의 타협하는 능력이 있다.
한참 설칠 때는 전혀 아무 것도 통하지 않을 것 같은데 약간의 시간을 기다리면 스스로 해결방법을 찾아내는 신통한 기술을 발휘한다.
여기에서도 午의 丙火는 고려하지 않는다.
풀이 : 陰陽錯差. 女 生死離別.
언변 능수. 쾌활 적극적 개방적, 급한 성격, 대인관계 원만, 자기자랑, 나서기와 화려하게 사는 것을 좋아하며, 부부불화 고집으로 불평이 계속되다가 이별.
日麗中天之水, 銀河水. 銀河의 물로 秋夜의 水旺을 좋아한다
(5) 丙申日柱 丙火(외강 식신, 내약 편관) 申金(戊土식신7 壬水편관7 庚金편재16)
기운이 쭈~욱~ 빠져버린 분위기다.
강력하게 나가고 싶지만 뒤에서 이어주는 힘이 부족하기에 항상 용맹성이 떨어진다.
입으로는 뭐든 다 할 것 같은데, 막상 해보면 생각대로 잘되지 않는다.
그러다 보니 실제는 세상에 약간의 두려움이 있다.
月時의 干에서 火를 도와주면 다르지만, 日柱만 보면 뜻대로 잘 안 이뤄지는 구조다.
기본이 식신이며 편재가 있으니 성취하고픈 욕구는 대단하다.
그래서 열심히 목적을 정해놓고 나아가지만, 실제로 추진력이 떨어지는 것이 또한 丙申의 숙명이다. 더구나 申金에 壬水편관이 버티고 있다.
壬水는 자기이익을 위해 일을 진행시키는 것에 반기를 들게 된다.
그리고 암암리에 식신과 상관도 작용을 한다.
이러하기에 丙火는 허약증에 걸리고, 그로 인해 내면적으로 두려움이 존재하게 된다.
풀이 : 역마.
男命은 역마에 걸린 편재라 外房중에 만난 여자이며 편재 속에 편관(자식)이니 外房자식 있게 되며 역술과 인연이 많다고 함.
視力弱 허영 낭비 끈기부족 어질고 착하고 남 주기 좋아하고, 외부내빈 가정.
검약하고 노력은 많으나 공은 적다. 多비견이면 풍류적이고 배우자에게 질병.
日照崑崙之火, 自病火. 풀을 태우는 형상으로 가을 겨울과 나무를 좋아한다.
(6)丙戌日柱 丙火(외강 식신, 내약 편관) 戌土(辛金정재9 丁火겁재3 戊土식신18)
日支 식신은 丙辰日柱와 同一하기에 기본적인 형태는 비슷하다.
자기감정의 지시대로 목적을 향해 나아가기는 丙辰日柱와 비슷하지만 느낌은 다르다.
丙辰日柱는 참으로 食神의 작용을 할 수 있는 辰土인데,
여기서의 戌土는 식신이라기 보다는 겁재의 느낌조차 들게되며 그래서 丙戌日柱는 식상보다는 속에 藏된 丁火가 더욱 강조되며. 그래서 고집스럽게 자기생각을 밀고 나간다.
이점이 丙辰과 丙戌의 차이다.
戌에 丁火겁재 辛金정재가 있다. 丙辰日柱에서 正印과 正官이 있는 것과는 사뭇 다르고,
劫財는 丙午日柱와 공통된 점이 있고, 正財가 있으니, 보다 현실적으로 계획을 세워 이익에 치중하겠다. 丙辰日柱는 학자적이라면 丙戌日柱에서는 사업가의 기질이다.
戌土에 암장된 것들이 모두 자기이익에 관심을 갖는 것들이라 이렇게 본다.
戌중의 辛金은 正財지만 세력은 弱하다. 丁火의 剋을 받기에 그러는데, 애석하게도 戌중의 戊土는 습기가 없으므로 生金이 되지 않는 점이 아쉽다.
그래서 正財는 弱하고 劫財는 强하며. 丙戌日柱는 그래서 생기가 없는 분위기다.
풀이 : 白虎.괴강. 丙辛(정재)合水.
경솔 조급 다혈질 낙천적. 운동에 소질. 유흥적이거나 유흥계에 직업. 체격 건재. 남녀간에 배우자의 체격이 왜소. * 12운 墓宮
丙辛(정재)合水되어 속으로 貪財(財와 여자)에 정신없다.
여성은 자궁 생식기계통에 질환과 자식의 애로가 있다.
日入地周之土, 厚福土. 쌓아 놓은 무더기 흙으로 봄과 여름과 물을 좋아한다.
4. 丁火의 정신적 구조
촛불이나 전기불과 같은 작은 불꽃이나 속으로는 강한 폭발적 감정을 소유.
결단성과 실천력이 부족하여 의존심이 강하다.
서두르지 않는 합리주의파로 지나친 노파심으로 기회를 놓치는 수가 종종 발생.
女命은 다소 수다스럽고 질투심이 강하다.
■陽의 마음 - 傷官
丁火의 겉으로 나타나는 상관의 역할에서도 느낄 수가 있듯이 귀엽다.
丙火의 일방적 자기표현보다 丁火는 비교적 합리적으로 자신의 잘난 것을 표현하며, 집요한 면도 있고 치밀한 면도 있다. 그래서 상관은 칼날의 양면성과도 같다고 하는 걸까?
불은 없어서는 안되지만, 인간을 배반할 적에는 귀중한 목숨을 순식간에 가져가 버린다.
이러한 것에서 정화의 드러나는 마음을 읽어본다.
■음의 마음 - 正官
丙火처럼 丁火도 자기표현이 공익을 위한 것이라 생각하며, 다만 강제적이 아닌 합리적.
그러므로 일견 침착하고, 정관은 감정적인 것을 싫어하기에, 냉정하게 현실을 생각하고 그 득실을 생각한다. 불은 자신을 위해 타고 있는 것이 아니라, 주변을 위해 타고 있다.
불은 그 성분이 밖으로 향하는 것이니까.
■두마음이 결합된 형태
함께 묶어 생각해보면 丁火는 매우 냉정한 자기자신을 표현하는 것이다.
불은 본성이 덤벙대고 날뛰는 것인데 丁火는 그 본성의 결함을 陰으로 보충하고 있다.
그러나 정화의 치밀함이 나쁜 쪽으로 향하면 골칫거리다.
丁火는 陰干이기에 내면적인 정관이 강하다.
木多 :죽은 나무 꽃핀 상태 어찌하여 열매 열까 자식손자 한탄하나 재물파산 또 당한다.
종자 없이 크는 나무 번식 어찌 하겠는가 부부이별 쓸쓸하니 부평신세 한이 많다.
火多:강한 빛에 金이 녹아 결단성과 두각 없다. 庚金상봉 있게 되면 부귀다복 있게 되며
金이 없는 사주는 부부이별 극빈하고 두 방에다 갓을 걸고 외방자손 두게 된다.
土多 : 모래 위에 심은 나무 꽃이 어찌 피겠는가 자식무덤 독방신세 효자자손 어디 있나
남편 가고 홀로 누워 탄식하고 타락하니 생색한번 내지 못해 그 직분을 잃고 만다.
金多:병든 몸 짐은 많고 그릇 적고 물 많으니 여러사람 구설 많고 물에 빠질 운수로다.
마음만은 좋다하나 좋은 재물 경시하고 주색잡기 탐하다가 집안 가정 패가한다.
水多:눈 속 불꽃 어찌 피며 바람 앞에 등불이라 겉보기는 부자이나 속마음은 텅 비었네
온갖 재주 있다해도 성공한번 못해보고 질병 액난 겪어보니 주야장천 병고신음
(1)丁丑日柱 丁火(외약 상관, 내강 정관) 丑土(癸水편관9 辛金편재3 己土식신18)
丁丑의 식신은 참으로 식신다우며, 열기가 좍좍 빠져나가는 느낌이다.
丁丑日柱는 자기표현능력이 매우 탁월. 설기가 워낙이 잘 되기 때문인데 대체로 달변가.
기본으로는 상관이 식신을 본 경우. 약간 시건방지다.
주변상황을 자신에게 유리하게 유도하는 특징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남들이 애써서 30분동안 이야기를 하면 그렇게 말합니다.
“그러니까! 내 말이 그 말이지!” 이런 식으로 자신의 흐름으로 이야기를 이끌어 간다.
이렇게 생각하면 영악한 사람으로 보이지만, 내면으로는 정관이 잠재되어 있다.
陰干은 잠재심리가 더욱 강하게 부각되며, 자신의 이로움도 취하면서 또 합리적으로 남들에게도 공감이 가는 방향으로 이끌어 간다.
중요한 점은 자신의 의견을 100% 표현한다는 점이다. 그래서 약간 시끄럽다.
丑에 癸水편관 辛金편재가 있기에 자기능력을 표현하면서도 克己하는 면도 강하다.
克己는 이기적감정을 통제하는데, 만약 身弱이면 克己에 대한 부작용으로 소심하고 세상을 회피하는 경우도 있다.
丑土는 식신이면서도 오히려 水의 분위기가 나타날 경우도 많기에 克己하는 형태로 진전되면 丁火의 밝은 성품은 사라지고 어둡고 피해의식이 발생하는 쪽으로 나아간다.
풀이 : 음양착차.
외유내강 지혜총명 내향성 경솔 자기주장. 생활력 强. 다소 사치, 良配 부족.
남자는 박복하고 유명무실, 어린시절 허약. 여성은 남편부양 본인 비만 상대도 비만..
鑽激東海之水, 福聚水. 흐르지 않는 물로 金과 여름을 좋아한다.
(2)丁卯日柱 丁火(외약 상관, 내강 정관) 卯木(甲木정인10 乙木편인20)
日支에 편인이 홀로 존재하며, 甲木에 대해서는 생각하지 말자.
편인이 약간 부정적이고 왜곡하고픈 잠재의식이 있기에 자기의사를 잘 표현하면서도 약간은 더듬거리는 면도 있다.
특히 丁火가 표면상관이기에, 火가 강하면 이럴 가능성은 더욱 높다.
火가 강할수록 日支의 편인이 忌神으로 변할 가능성이 더욱 높기 때문이다.
반대로 身弱하면, 오히려 日支의 卯木이 강해지므로 뛰어난 직관력으로 자기느낌을 표현하는 탁월한 재능이 발휘되어 예언계통에서 크게 성공할 수가 있다.
이는 학문을 해도 단순이론적인 것만 하는 게 아니라, 편인의 기능을 발휘해 직관으로 느끼는 감정이 개입되기에 이것을 잘만 연결시키면 멋진 예언을 할 수 있다.
실제 명리계에서 유명한 박모선생은 정묘일주로 그 능력을 유감없이 발휘한다.
그런 비법이라면 공개하지 않고 전수만 시킨다는 말이 있는데, 이러한 것은 공익을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이며 물론 아직은 생존하니까 나름대로 깊은 의미가 있겠지만, 기왕이면 공개를 해주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일지가 희용신에 해당하면 그 특성이 좋은 방향으로 작용되지만, 忌神에 해당하면 오히려 나쁜 것만 드러나며, 어떤 글자든 사주전체에서 어떤 위치인가가 중요하다.
풀이 : 裸體徒花. 女:일지桃花이니 幼郞,
낭비 재복부족. 허약으로 인한 약물중독 가능. 예술 공상 신비적인 것을 좋아하고, 쓸데없는 고집으로 부부 苦情.
여성은 온순, 중년에 생사이별, 가운 쇠락.
木屑(설)香煙之火, 伏明火. 향로 속의 연기로 巽방위와 秋冬을 좋아한다.
(3)丁巳日柱 丁火(외약 상관, 내강 정관) 巳火(戊土상관7 庚金정재7 丙火겁재16)
丙午日柱와 비슷한 형태. 丁巳日柱도 日支에 겁재.
陰干인 丁火는 丙火와는 약간 달라 정관이 겁재를 본 형태.
정관과 겁재의 만남은 자기의 이지적․냉정한 특징을 발휘하되 직선적이지 않고 우회적.
식신은 감정적이기에 자기느낌에 대해 가공치 못하고 그대로 말하지만, 정관은 남들이 어떻게 나올 것인가를 생각하고, 겁재는 자기주체의식을 표현하되, 직선적이 아니라 우회해서 은근히 표현하기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巳火에는 戊土상관 庚金정재. 이것은 결국 자기욕구를 성취하는 방향으로 흘러간다.
관살이 전혀 없고 또 印星도 없기에 오로지 눈에 보이는 게 전부라 생각하고 그 상황에서 자기목적을 달성하는 방법을 강구하게 된다.
풀이 : 역마. 女 小室 生死離別 고란. 日支비겁으로 財를 다투고
强정신력 눈빛强 판단신속 투기 요행심 치밀. 매사 민첩. 얼굴에 기미나 주근깨. 화나면 나도 모르게 흥분.
여성은 자존심 强, 남편을 이기고, 남편 고집이 강하면 자신은 病들고 不和, 남편을 위해 자존심을 누그러뜨릴 것.
坪地砂中之土, 自絶土. 土神으로 火와 西北間을 좋아한다.
(4)丁未日柱 丁火(외약 상관, 내강 정관) 未土(丁火비견9 乙木편인3 己土식신18)
丁未日柱 역시 丁丑처럼 日支에 식신. 상관이 식신을 본 구조이면서도 왠지 약하지 않고, 이런 분위기는 丙戌日柱와도 공통된 느낌이다.
丁丑日柱가 약간 시끄럽고 분주하다면 丁未日柱는 차분하며, 쓸데없이 뇌화부동하고 분주한 것을 싫어한다.
未에 丁火비견 乙木편인, 이는 주관성을 강화하여, 자기판단이 상당히 옳다고 생각한다.
身弱한 丁未일주라면 未중의 乙木이 작용하고, 그 결과는 직관력이 발달한다.
乙木편인 때문에 가끔은 고독하지만, 대체로 자기 삶에 성실히 최선을 다하기 위해 궁리를 많이 하며, 시건방지다는 맛이 없기에 웃사람들에게도 대접을 받게 된다.
풀이 : 음양착차. 홍염. 현침
인자 선량 고독 忌복잡 사교적 能話術 친절 好대화 無비밀 好수단, 부지런하다.
남자는 정력이 旺하여 有妾.
여성은 유덕단정하여 좋은 배우자를 만날 수 있으나 凶星이 있으면 시부모를 극상하고 자신도 모르는 행동을 할 때가 있다.
天河灰盡之水, 至榮水. 고요한 호수의 물빛으로 밤과 물을 좋아한다.
(5)丁酉日柱 丁火(외약 상관, 내강 정관) 酉金(庚金정재10 辛金편재20)
日支 편재이며, 편재는 물질을 다루는 재능이기에, 기술을 배운다면 유능한 기술자.
丁火는 문명의 불인데, 丁酉日柱면 뭐든 보는 대로 흉내내는 재주꾼.
정관이 편재를 보았으니 사업도 합리적으로 크게 하겠다.
財星이 희용신이 못되면 그 사업으로 인해 마음고생이 많다.
酉金도 庚金정재에 대해서는 생각하지 않는다.
子午卯酉는 本氣만 생각하고 午火에 대해서만 己土를 고려한다.
브리핑 또는 사업구상에 대해서도 탁월한 식견.
구체적 생산 쪽보다 시작의 의미가 있는 기획단계에서 승부를 걸어보는 것이 더 효과적.
풀이 : 桃花. 女:일지桃花이니 幼郞,
지혜총명 명랑 호인 낭비 자부심 허영 好주색(日支도화). 인내력 부족으로 사회적 장애. 의식 풍족. 재운 양호. 일을 마무리를 못하고 남에게 미룸. 어리석은 사람도 있음.
여성은 시부모 덕으로 일생 吉하고 貴子를 출산하여 안락 태평.
琉璃燈光之火, 自死火. 귀신의 형체 없는 불로 辰戌丑未를 좋아한다.
(6)丁亥日柱 丁火(외약 상관, 내강 정관) 亥水(戊土상관7 甲木정인7 壬水정관16)
정관이 정관을 본 형태, 한 마디로 ‘大忠之人’.
火强하면 상관적 분위기가 살아나고, 火弱하면 정관적 분위기가 살아난다.
내면적이란 火가 身弱일 해당되며, 웬만하면 자기목소리를 내지만 워낙 관살이 강하면 노골적으로 자기불만을 이야기하기가 쉽지 않다.
겉으로는 충실하면서도 내면적으로는 거부감이 있다.
인정받을 때는 대단히 즐겁지만, 혹시 자기가 상사의 눈에 차지 않는 것 같으면 대단히 불쾌하며 그래도 어쩔 수 없이 속으로만 삭이며, 언젠가 운이 오면 통쾌히 복수하리라 다짐하는 것으로 자기능력이 손상 받은 것을 위로한다.
亥에 甲木정인이 있으며, 戊土는 생각하지 않는다.
정인은 직감력이 뛰어난데, 드러나는 게 아니라 내면에서 느껴지는 음성적인 것이기에 겉으로는 일상적 일을 하지만, 문득문득 느껴지는 예감 같은 것에 대해 잘 파악하면 자기분야에서 더욱 탁월한 능력을 인정받게 되며, 이것은 잠재능력이기에 잘 개발시켜야만 활용된다.
초능력개발은 이런 잠재능력을 개발시키는 것이며, 이 말은 印星이 없으면 시간낭비 말고 자신의 기술이나 연마․개발하는 것이 좋다는 것이다.
풀이 : 역마. 女 姦婦 小室. 丁壬(정관)合木
질병. 용모 출중. 겁 많고 소심 순박. 장사는 아니고 공직이 좋다.
남녀간 배우자는 자기보다 잘 배운 사람과 인연.
여성은 현명하나 남편과 시부모와 뜻이 안 맞다.
지장간의 丁壬(정관)合木으로 속으로 貪官에 정신없다.
平原屋上之土. 臨官土. 편편한 흙으로 火와 나무를 좋아한다.
5. 戊土의 정신적 구조
대륙적 성질로 아량과 동화력이 풍부한 중앙의 戊土는 木火金水를 의지하고 있다.
침착하고 꾸준한 노력파이나 고집 세고 다소 게으른 것이 문제.
마음을 노출시키지 않는 비밀의 소유자로 항상 언행에 신경 쓴다.
기필코 성공하고자 하는 집념파로 신용을 근본으로 삼고 있다.
■陽의 마음 - 偏財
戊土의 겉으로 드러난 마음은 편재.
흔히 土는 재물이라 하는데, 이러한 의미가 그 속에 깃 들어 있다.
土의 드러나는 성분은 큰 재물이라고 할 적에 산․광야 또는 대규모의 형태를 갖는 재물이라고도 하며, 혹자는 재벌의 四柱에서 戊土가 많다고 하며 그 것이 사실이라면 戊土의 겉으로 드러난 면이 구체화된 것이다.
戊土의 표현이 편재이기에 戊土日干의 재물욕은 남다르다.
편재는 재물에 대한 집착력이 없는데, 실제로 나타나는 현상은 약간 다르다.
어째서 그런가에 대해 생각해봤지만, 아마도 戊癸의 合되는 영향이 아닐까 한다.
五陽은 正財와 합되고 五陰은 正官과 合되는 까닭이라는 생각이다.
정재와 합되면서도 겉으로 드러나는 마음이 그러한 결과를 만든 것이 아닐까 한다.
■陰의 마음 - 偏印
잠재된 편인의 작용으로 어차피 혼자라는 고독한 마음.
곤란사 발생 시 허심탄회하게 터놓기보다는 홀로 끙끙대며 궁리한다.
■두마음이 결합된 형태
편인에 해당하는 戊土의 내면에 깔린 잠재심리는 고독.
편인은 어쩔 수 없이 생조를 해준다는 무정한 어머니의 별명을 갖기 때문.
戊土의 바탕에 고독이 있는데, 과연 웃으면서도 어딘가 고독이 서려있는 듯한 느낌이다.
戊土가 陽干이기에 편재가 强하다.
戊土은 항상 돈을 생각해도 수천만원에서 수백억원을 생각한다.
한두푼 모아 사는 빈약한 환경이라도 그 생각은 큰돈에 대해 항상 열려있다.
戊土는 내면 편인보다 외향적인 편재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한편 내면 편인에 의한 조건 없이 베풀어야 한다는 면과 외면적인 재물욕에 의한 묘한 갈등을 갖고 있다.
이러한 점이 나중에는 참으로 알 수 없는 戊土라는 결론을 내도록 하는 복잡한 구조다.
木多 : 좁은 땅에 많은 나무 무성할 수 있겠는가 겉보기에 좋다하나 아무 실속 없겠구나
좋은 일을 해 놓고도 잘못했다 원망 듣네 몸에 흉터 수술자리 힘든 고생 많이 한다
火多 : 가뭄 산에 병든 나무 태양 빛에 말라가니 욕심으로 범한 실수 일평생에 원망된다
말년 고독 가련 신세 귀한 한 몸 편안할까 병신 남편 거느리며 자시까지 무덕일세
土多 : 흙덤 속에 묻힌 새싹 꽃봉오리 망가지고 싹이 묻힌 초목같이 기진맥진 하고있네
열매 없는 꽃과 같이 빈 창고만 갖고 있다. 부부이별 독신신세 언제 부부 행복하리
金多:좁은 땅에 많은 열매 일신 또한 고단하네 썩은 과일 많이 생겨 실속 없는 농사라네
다 캐가고 텅텅 비어 빈방신세 가련하다 남편 잃고 자식 질병 이런 팔자 어디 있나
水多 : 높은 산에 눈비 오니 모든 활동 중지되고 할 생각은 많다하나 시작하기 어렵구나
물에 잠긴 흙덩어리 무너질까 두렵도다. 지출 많고 텅빈 가정 먹을 것이 떨어졌네
(1)戊子日柱 戊土(외강 편재, 내약 편인) 子水(壬水편재10 癸水정재20)
日支의 정재와 合되어있는 구조.
기본적 표면은 편재며, 편재 또한 정재와 合되어(戊癸合火) 의지력이 한 방향(재물 욕심)으로만 집중되었다.
즉 물질이라고 하는 구조로 방향이 정해져 있다.
내면은 편인이 잠재되어 있으나 ,정재는 剋인하여 편인은 정재에게 죽는다.
표면 편재에 정재의 일지를 포함해 재물욕이 많다.
풀이 : 桃花. 女:일지桃花이니 幼郞, 戊癸(정재)合火
어린시절 허약 중년이후는 건강. 금전운 좋고 재산관리 잘하고 화술 좋고 다툼에 중개역할 잘하나 잘못하면 주색에 빠짐. 학자타입 대중의 존경받고 매사 일 처리 잘함.
지장간에 戊癸(정재)合火하니 속으로 貪財에 정신없다.
女命 : 하천한 출생 많고 말이 없는 편이나 거꾸로 말 많은 사람도 있다.
흰머리에게 시집가고, 아니면 남편을 돈 버는 기계로 안다
山下有泉之火, 水中火. 水中에 있는 불로 물과 春夏土를 좋아한다.
(2)戊寅日柱 戊土(외강 편재, 내약 편인) 寅木(戊土비견7 丙火편인7 甲木편관16)
日支 편관이며, 편관은 克己하고 강제적으로 베푸는데,
利己(戊土)에 利他하는 편관이 연결되어 정신적으로 부조화가 된다.
사업하되 공익사업을 할 수 있으며, 공익사업이라면 고아원이나 양로원 등등 사회복지사업이 포함되는데, 그러한 사업이 의외로 돈을 잘 버는 경우도 있다.
겉으로는 봉사하니 대우받을 수가 있고, 이것은 편관의 성분을 만족시키는 것이며,
속으로는 돈이 되니 그야말로 꿩 먹고 알 먹는 기묘한 사업이다.
편인적인 베풀기를 만족시킬 수도 있으니 참으로 여러 가지로 연결이 가능하다.
대개의 사회봉사업을 하는 사람들이 오히려 재물에 대해 더욱 민감한 경우가 적지 않다.
풀이 : 역마. 음양착차. 女 小室.
인격 고상, 인품 관후, 물욕 적고, 외강내약 소심해서 큰 일을 못하고 매사 쉽게 포기. 항상 괴롭고 방해자가 따르고 부부불화.
命造에 乙卯가 있으면 福力이 심후하다.
城頭屋上之土, 水上土. 堤防 흙으로 나무와 불을 좋아한다.
(3)戊辰日柱 戊土(외강 편재, 내약 편인) 辰土(乙木정관9 癸水정재3 戊土비견18)
비견을 깔고 있는 戊土. 비견이니 어쨌든 강하며, 자기주관대로 밀고 나간다.
편재가 비견을 봤으니 투기사업, 남성적이고 자기의지대로 역경을 헤쳐나간다.
土旺하니 잠재된 편인은 여간 드러나지 않기에 잡념 없이 하는 일에 총력을 기울인다.
지장간에 癸水정재 乙木정관, 이 중 정재는 사업성분을 더욱 강화시키고 또 육감적이기도 한데, 겉으로 나타난 정재와는 또 다르게 은밀한 육체적 감각(지장간에 있기에)이다.
정재는 몸을 중시하는데 희안하게도 플레이보이를 창간한 사장의 사주가 무진일주다.
이런 것이 무진일주의 전부는 아니지만, 단면은 된다.
자신의 소신 없이는 이러한 누드잡지를 만들기에 쉽지 않을 것이다.
그것은 비견이 뒷받침되었는데, 재미있게도 앞뒤가 잘 들어맞는다.
풀이 : 白虎.괴강. 홍염. 女 小室. 戊癸(정재)合火 쟁합.
强고집으로 고립. 똑똑 덕망 총명지혜 인자. 남일 잘 돌봐주며 선후배가 잘 따른다.
지장간의 戊癸(정재)合火 쟁합하니 財(財와 여자)로 인하여 시끄럽다.
여성은 유덕단정하여 좋은 배우자를 만나나 凶星이 있으면 시부모를 剋傷하고 자기 멋대로 흐르고 남편과 불화로 별거 이혼.
蟹泉吐潁(영)之木, 良土下木. 산과 들에 있는 나무로 물을 좋아한다.
(4)戊午日柱 戊土(외강 편재, 내약 편인) 午火(丙火편인10 己土겁재10 丁火정인10)
日支에 정인. 편재가 정인을 보았으니 사업을 하되 직관적인 사업을 할 가능성이 높다.
정인은 감각적인 것보다는 직관적이다.
종교인들 중에 戊午日柱가 의외로 많은데, 다른 종교는 알 수 없지만, 스님들은 의외로 戊午日柱가 눈에 잘 띈다.
“종교직이 무슨 돈벌이” 라고 할지 모르지만, 재복이 많은 분은 그렌져를 굴리기도 하니 돈벌이가 되는 사람은 상당히 짭짤~한 모양이다. 예전에 들은 이야기인데 “신도 한사람은 논 한 마지기와 바꾸지 않는다” 는 말을 하는 사람이 있었다. 그러니 신도가 백명이면 논 백마지기보다 수익이 많다는 이야기이다.
요즘 절 가격을 책정할 때 신도의 숫자가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戊午日柱는 이러한데 자신의 타고난 직감을 사업에 활용할 수가 있다.
午火에 己土겁재가 있으니 자기고집대로 행동
풀이 : 陰陽. 桃花. 女:일지桃花이니 幼郞,
조급 냉철 총명영리 허영심 배짱 人德 富德 덕망 運순조 부부이별 위장질환(심하면 수술). 남에게 지기 싫어하고, 타향살이 양자운. 상속 없고 있으면 부부가 변하기 쉽다. 정력이 왕하여 이처 삼처.
天上炎赫之火, 自旺火. 태양열기의 불로 여름을 싫어하고 겨울을 좋아한다.
(5)戊申日柱 戊土(외강 편재, 내약 편인) 申金(戊土비견7 壬水편재7 庚金식신16)
日支에 식신. 편재가 식신을 보고 있다.
식신이 있는 편재니 사업을 해도 상당히 궁리를 하니 종종 독특한 상품으로 히트를 치기도 하며, 그 것은 바로 일지에 있는 식신의 영향이다.
잘만하면 세계적 히트를 칠 수 있는 걸작이 되기도 하는데, 물론 일지에 있는 식신이 희용신이 되면 더욱 좋다. 사업의 형태로는 생산 쪽이며, 유통업은 상관의 특성이다.
辛金에는 편재인 壬水가 있으니 투기성이 강하다.
運만 와주면 돈방석에 앉게 되겠지만, 운이 不良하면 돈은 고사하고 들어온 수입도 연구비로 충당하느라 가난을 벗어나기 어렵다.
풀이 : 역마. 음양착차. 女 고란. 戊申일은 病궁으로 배우자가 건전치 못하다.
큰 인물 정치가. 강직 강심장 식복 친절 好대화. 편안하고 안정된 생활. 상대 무시. 好식성. 사업한다면 크나큰 실속. 여성은 남편복 희박 중년에 별거 이별.
土山戴(대)石之土, 重阜土. 田畓의 흙으로 申酉와 火를 좋아한다.
(6)戊戌日柱 戊土(외강 편재, 내약 편인) 戌土(辛金상관9 丁火정인3 戊土비견18)
戊戌과 戊辰은 비슷한 형태이며, 戌土의 火土가 强하기에 더욱 强力하다.
戌土에 辛金상관 丁火정인이 있는데 상관은 土에 묻혀 약하고, 오히려 丁火의 성분은 살아있다. 戌土는 土기운이 강화되면 되었지 결코 洩氣는 아니기에 주체성이 강하며, 그로 인해 남 밑에서 구속받는 일에는 매우 서툴다.
그래서 軍에 종사한다면 아마도 지휘관 급에 있을 가능성이 많다.
戊戌日柱는 괴강이라 해서 특별취급하기도 한다.
어쨌든 戊戌日柱는 ‘7대 고집’이다. 고집이라면, 甲寅, 乙卯, 丙午, 丁巳, 戊辰, 戊戌, 己丑, 己未, 庚申, 辛酉, 壬子, 癸亥의 12대 고집인데, 고집은 日支에 비견이나 겁재가 있는 것이다.
고집대회에 등장하려면 洩氣가 되어서는 곤란하며, 고집이 洩氣되면 꾀로 변한다.
그래서 칠대고집에는 乙卯, 丙午, 戊辰, 戊戌, 己未, 辛酉, 壬子 간지가 등극했다.
풀이 : 괴강. 女 生死離別.
의식충만 기운왕성 인격자 强자기주장. 집안일 잘하고 사회적인 활동. 조직관리 잘하여 상하로부터 존경받고, 마음은 항상 바쁨. 저축심이 강하지만 수중에 돈 떨어지면 위축되고 안절부절.
魁罡演武之木, 土中木. 시들고 죽어가는 나무로 火와 春夏를 좋아한다.
6. 己土의 정신적 구조
대륙적 성질에 내면적 성격을 갖춘 보수파.
本心을 잘 表現하지 않아 터놓고 얘기하기가 곤란하다.
복잡한 세상을 싫어하는 단순하고 순진하고 우매한 면이 있다.
믿음과 신용의 자본가이지만 모질고 거친 세대에 약한 인생이다.
시기,질투심이 많은 것이 단점이다.
■陽의 마음 - 正財
己土의 드러나는 성분은 정재, 즉, 물질의 집착이 되는데, 戊土의 편재가 정재로 나타나듯, 비록 정재지만 나타나기는 편재적(陰干이기에)이며, 물욕에 치밀하지 못하다.
■陰의 마음 - 正印
陰的인 성분은 정인, 정인은 대가없이 베푸는 것이므로 기토는 어머니와 같다.
陰干은 일단 정관과 合한다는 면에서 생각해봐도 왠지 차분하고 합리적인 경향이 있다.
■두마음이 결합된 형태
정인이 바탕에 있으므로 모질지 못하며, 자기 밥그릇 찾아먹기는 고사하고 주는 밥도 빼앗기는 어리숙한 면이 있다.
그렇게 어수룩한 면을 보완하는 것이 정재인데, 陰干이므로 크게 작용을 못한다.
身弱한 乙木이나 丁火 중에는 接神되는 경우가 왕왕 있는데, 이러한 것도 역시 내면적인 성격의 영향과 무관하지 않다.
영매자가 되는 것도 어느 정도의 內面에 대한 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가능하다.
己土의 특성인 정인이 强하다면 여러 가지의 상황에서 잘 어울린다.
己土에 해당하는 사람은 재물에 애착을 갖고 있는 사람이 드물다.
정재가 어느 정도는 있어야 거친 세상 사는데 자기앞가림을 할텐데, 대개는 물욕이 떨어지니 역시 돈벌이에 목숨을 걸기가 어렵다.
이 방면에는 乙木이 유능하다. 乙木은 정재가 强하고, 己土는 정인이 强하다.
木多 : 작은 화분 많은 나무 심어놓고 잡나무니 대중상대 대답하니 피곤하고 괴롭구나
마른나무 꺾어지니 눈물 속에 세월일세 병명 없는 질병 앓고 부부지간 별거하네
火多 : 칠년대한 가문 날에 작은 전답 곡식 탄다 수다스런 성격이라 울화분통 발생하며
행복하게 분주하나 안으로는 실속 없다 천리만리 부평신세 떠날 마음뿐이로다
土多 : 토지개량 다시 하니 큰 도로가 넓어진다 사람 보면 총명하나 보기에는 우둔하다
두 무더기 흙덩이니 각각 서로 인연 없다 있는 것은 다 뺏기고 목이 메어 말 못한다
金多 :호박 엎어 씨뿐이니 박바가지 쓸모 없다 혼자 노력 많이 해도 성공 없는 노력일세
헛욕심만 많이 갖고 헛된 일만 많이 하네 내가 만든 좋은 기술 타인에게 빼앗긴다
水多 : 고기 없는 바닷물이 어찌 어류 생길손가 물에 잠긴 옥토전답 매몰되고 수확 없다
피해 많고 수확 적어 정신분열 병이드네 배가 불러 죽은 귀신 허기져서 다시 온다
(1)己丑日柱 己土(외약 정재, 내강 정인) 丑土(癸水편재9 辛金식신3 己土비견18)
정인이 비견을 본 형태. 기본적으로 정인이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
己土가 身强하면 받아들이는 게 변해서 내가 주는 것으로 변한다.
身强한 정인은 주는 입장이고 身弱한 정인은 받는 입장이다.
己丑日柱는 위아래가 土로 짜여져 주고픈 어머니의 입장이 되기에,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은 열심히 강조하는데, 받아들이는 사람이 성의가 없으면 서운히 여기며, 기축일주는 선천적으로 교사 체질이다.
받아들이는 사람이 고맙게 받아들이기를 원하며 물론 대가는 고마움의 표시로 충분하다.
자기생각과 느낌을 남에게 베풀어주는 것을 업으로 삼으면 가장 재미있는 삶이 되겠다.
그런 입장에서 이래라 저래라 하는 직장의 말단노릇은 참으로 적성이 아니다.
정인이 비견을 보았으니 자기생각과 느낌에 대한 이론에 대해서는 상당한 힘이 있다.
비견은 주체성이므로, 남에게 베풀어주는 이론적인 면에서도 그 특성이 살아난다.
丑土에 癸水편재 辛金식신, 식신의 노력에 의한 성취결과는 이해관계를 떠나서 남들에게 베풀어준다.
편재는 丑의 己土에게 극받아 크게 드러나지 않으며, 다만 격국의 형상에 따라 水의 강도가 어느 정도 있으면, 편재의 능력은 분류를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유형별, 특징별, 성격별, 세밀하게 분류를 하는 구조가 작용한다.
풀이 : 女 : 老郞이나 再娶 身旺이면 幼郞. 生死離別.
근심걱정 인내 희생적 착실 온화 침묵 겸손 양심적 저축심 재복 . 자기 일에 치밀, 사회적활동이나 남의 뒷일 잘 봐준다. 중년에 운세 반전(빈자 →개운, 부유한자 →쇠퇴).
부부운이 변할 수 있으며 기능공이나 재정공무원으로 출세.
足水柳田之火, 天將火. 번개의 불로 물과 春夏를 좋아한다.
(2)己卯日柱 己土(외약 정재, 내강 정인) 卯木(甲木정관10 乙木편관20)
정인이 편관을 본 구조. 정인이 身强하면 베풀어주지만, 身弱하기에 받아들이는 입장이 된다.
日支 편관은 강제로 외부에서 들어오는 압력인데, 상당히 자신을 억압하는 형태다.
외부에서 오는 모든 정보를 강제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은 스트레스를 받는 요인이다.
정서불안이 되겠는데, 이를 해소키 위해서는 月干이나 時干에 印星이 있어 조절해 주는 것이 상책이다.
日柱는 己卯지만 주변상황에 의해 身强해진다면 오히려 일관성 있게 자신의 맡은 일을 충실하게 수행한다.
풀이 : 桃花. 甲(정관)合土. 女:老郞이나 再娶 身旺이면 幼郞. 女:일지桃花이니 幼郞,
소심 弱심성 변덕. 남을 멸시. 남에게 의지하거나 비굴할 정도로 겸손. 대중앞에서 수줍어하고 자기힘을 발휘치 못하며 항상 자기주장을 펴지 못함.
온후독실하여 고요함을 즐기나 청소년시절에 양친과 생사이별하고 항상 공상 많고 과로 무력하여 근육에 힘이 없다
女命 : 지장간에 甲(정관)合土하니 속으로 貪官에 정신없다.
休囚失氣之土, 自死土. 무너진 堤防의 흙으로 申酉와 불을 좋아한다.
(3)己巳日柱 己土(외약 정재, 내강 정인) 巳火(戊土겁재7 庚金상관7 丙火정인16)
정인이 정인을 본 구조. 정인이 매우 强化된 형태인데, 한가지를 터득하면 열 사람에게 말을 해 줘야 속이 시원하다.
巳火에 庚金상관 戊土겁재.
겁재는 주체성이며 여간해서 자기주장을 꺽지 않는다.
상관은 베풀어주려는 성분인데, 베풀어주면서도 스스로 만족하는 마음이며, 그 이면에는 자기지위가 상승되는 것 같은 기분을 느낀다.
“봐라, 내가 너희보다는 더 연구가 많지 않으냐? 그러니까 나만 따르면 손해 볼일이 없을 거다.” 하는 마음이 일부 잠재되어 있다.
기회만 오면 자기 이야기를 해주려하는데 약주라도 한잔하면 듣는 사람이야 지겹거나 말거나 계속해서 자기 이야기를 하게 된다.
풀이 : 역마. 女 :老郞이나 再娶 身旺이면 幼郞, 小室.
독립독단적. 자존심과 권력성이 강대. 남을 무시. 고상함이 많고. 금전소비가 많고 상속재산이 있어도 일단은 다 쓰고 독립정신이 강하여 자력으로 성공. 학문과 책을 좋아하고 안정된 생활을 원함. 神佛을 숭상. 權道學者나 예술방면에 소질.
領頭稼穡之木. 近火木. 산봉우리에 있는 나무로 봄 또는 가을을 좋아한다.
(4)己未日柱 己土(외약 정재, 내강 정인) 未土(丁火편인9 乙木편관3 己土비견18)
정인이 비견을 본 것은 己丑일주와 同一. 선천적으로 남에게 주는 것을 좋아한다.
그냥 내 것을 주는 것은 식상이고, 정인이 주는 것은 낚시 바늘을 주면서 고기를 잡는 방법을 일러주는 것이다.
日支에 비견이 있기에 印星이 强化되는데, 己丑과 己未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차이가 난다. 己丑은 속이 좀 허하고, 己未日柱는 속이 견실하다.
속이 허한 것은 확실치 못한 것도 짐작만으로 남에게 베풀어주려 하는 것이고,
속이 견실한 것은 남들에게 이야기를 해주면서도 자기내면의 이야기를 완전히 다 해주는 것이 아니다. 즉 내용면에서 상당히 타당성이 있다해도 좀더 연구를 해봐야겠다는 심리구조다. “연구해보니 이렇더라”가 아니라 “이렇게 생각되는데 좀더 궁리를 해봐야겠다”의 형태를 띤다.
己丑日柱는 들어가면 바로 나오며, 己未日柱가 베푸는 것에는 약간의 시간이 걸린다.
未에 乙木편관 丁火편인. 계속해서 들어오는 형태이며, 빠져나가는 성분이 장되어 있지 않다.
편관은 강제로 공익을 위해 베풀어야 한다는 억압을 한다.
내가 좀 피곤해도 지금 한참 삶이 피곤한 사람에게 희망을 주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 것이 바로 장되어 있는 편관에 의해서다.
편인은 신비한 세계에 대해 확신을 갖고 있다. 강력한 비견의 영향으로 자신이 체험하지 않은 것에는 비중을 덜 두지만, 그래도 편인이 있는 이상 어쩔 수 없이 영향을 받는다.
이런 구조로 인해 신비적인 것에 대해 머리 속으로는 믿으면서도 실제로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 면이 있다. 믿기 는 해도 공감은 가지 않는다.
■기미일주의 아내관 - 친구(比肩)+어머니(偏印)+주인(偏官)
아내를 친구처럼 생각하며, 함께 먹고 자고, 함께 아프고, 함께 생각하는 것이다.
자신도 그렇지만 아내도 자신을 친구처럼 대해주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그런데 아내는 月支(月支는 日支보다 위에 있으므로)가 正官이므로 친구처럼 대하라 해도 어쩐지 마음속에서는 上司처럼 대하는 마음이 잠재되어 있다.
그리고 丁火가 있으니 가끔 외로울 적에는 아내의 품에서 어머니를 느끼기도 한다.
풀이 : 女 :老郞이나 再娶 身旺이면 幼郞,
심약 유순, 거짓 없고 子息多妻하여 야무지고 빈틈없고 외유내강 철저하여 매사 양보 않고 질기게 난관극복 인내로 버텨간다. 형제간 의리 있으나 흉성이 있으면 사기성 투기로 부정을 저지른다.
高園田畓之火, 偏庫火. 田畓을 비추는 햇빛으로 밤을 싫어한다.
(5)己酉日柱 己土(외약 정재, 내강 정인) 酉金(庚金상관10 辛金식신20)
정인이 식신을 본 형태. 식신은 줄기차게 자기목표를 향해 연구해나간다.
戊申日柱와 닮았는데, 차이나는 것은 정인이 식신을 본 것이다.
日支 식신이니 己丑日柱와 비교해볼 수도 있다.
그만큼 자기연구를 활발하게 공개한다. 그리고 복잡하지 않는 사람이다.
아내에 대해 생각해보면 아내를 어린아이 취급 할 수가 있는 구조다.
대개 日支에 子午卯酉가 있으면 자기목적이 뚜렷하고 단순하다.
암장된 성분이 단순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辰戌丑未가 日支에 있으면 당연히 심리구조도 복잡하다.
풀이 : 桃花. 女 :老郞이나 再娶 身旺이면 幼郞, 女:일지桃花이니 幼郞,
상냥 친절 過치밀세심. 뭐든 잘 먹고, 好대화. 잔소리와 他事간섭 많고, 타인에게 형제와 같은 親愛力이 있다. 상속 많고 형제와 인연이 좋다.
築土稼穡之土, 自敗土. 밭이랑의 흙으로 申酉와 겨울을 좋아한다.
(6)己亥日柱 己土(외약 정재, 내강 정인) 亥水(戊土겁재7 甲木정관7 壬水정재16)
정인이 정재를 본 형태. 재물욕은 있는데, 정인이 사업하는 것은 어울리지 않는다.
정재가 强力한데, 己土가 身强하면 유아․교육용품 판매로 상당한 수익을 올릴 수 있다.
身弱하면 부득이 교육계에서 월급 받는 것이 좋은데, 그러면서도 항상 갈등할 수 있다.
日支 정재라 학부모가 寸志라도 내밀면 받고픈 마음(正財)과 거절하고픈 마음(正印)이 뒤범벅되어 어정쩡하다.
재성이 희용신이 되지 않으면 눈먼돈에 대해 각별히 신경 써야한다.
亥에 甲木정관. 甲木은 中正之合이라 하며, 재성이 워낙 강한 형국이라 中正이 잘 이뤄지지 않을 수도 있다.
그래서 괜히 영양가도 없는 윤리관으로 인해 갈등만 자꾸 증폭된다.
차라리 선생노릇 때려치우고 돈이나 벌어보려고 마음먹지만, 어디든 경쟁을 해야 하니, 그냥 선생이나 잘 하는 것이 더 나으며 財星의 유혹은 무시하는 것이 상책이다.
정인은 신비한 세계에 관심 갖는 것이고, 정재는 구체적인 사물에 대해 인식을 잘하는 것이기에 신비한 세계에 대해 사실처럼 믿어버릴 수도 있다.
추상적인 것을 사실인 것으로 생각하는 형태를 말하며 그러면서도 자기이익을 생각한다.
풀이 : 역마. 女:小室 姦婦, 老郞이나 再娶 身旺이면 幼郞, 甲(정관)合土.
지나친 고집과 허욕, 친구와 놀기를 좋아하고 주색탐, 소유재산 아끼고 재물운 있음. 말 잘하여 현실적․실속적이며 부지런하다. 어린시절 허약 중년이후 건강. 부모형제와 인연 박하며
여자는 시부모와 남편에게 의사불통.
지장간에 甲(정관)合土하니 속으로 貪官에 정신없다.
注地稼穡之木, 自生木. 發芽하는 새싹의 木으로 물과 春夏를 기뻐한다.
7. 庚金의 정신적 구조
딱딱하고 굳은 표정을 하고 있는 강인한 인상.
선악의 구별을 강하게 하니 적이 많아 비방 불리를 당한다.
의협심과 지도력이 강하고 강자에 대항하고 약자를 돕는다.
의리에 사는 정의파이지만 정에는 너무 약하다.
아첨할 줄 모르고 때론 너무 냉정 강직하여 손해보는 수가 많다.
■陽의 마음 - 偏官
庚金을 깡패라 하며, 편관은 기본적으로 강제적이고 난폭하다.
강제적 이타심이기에 강압도 가능하며 庚金은 의외로 순진한 면이 있다.
■陰의 마음 - 比肩
내면에는 비견심리가 깔려 있다. 甲木이 겉으로 비견적이라면 庚金은 내면으로 비견이며,
내면의 비견은 의리로 나타나는데 그래서 庚金을 의리에 죽고 산다고 할 수가 있다.
■두마음이 결합된 형태
겉은 강경하지만 속으로는 의협심이 强하며, 겉으로 강경한 것도 남을 위한다는 명분이 있기에 구애받지 않고 당당하고, 내면으로는 친구를 좋아하며 사심이 적다.
그렇지만 대의명분을 중시할수록 가정에는 허술하다.
밖에서 일 잘하고 집에서도 아내에게 잘하기를 바라지만 그렇지 못한 것이 세상이치다.
庚金은 남성다워 보이기에 이야기할 적에도 쉽게 남자의 역할을 맡는다.
여성이 庚金이라면 여장부이며, 아기자기하게 가정적인 분위기를 가꾸는데는 서툴다.
木多 : 꽃에 나비 날아드니 도화계집 따라드네 가정생활 파탄되고 이산저산 무너지네
떠돈 병에 홍역인가 인간구설 막을손가 좋은 재산 소모되니 큰 곳간이 비었구나
火多 : 불볕더위 마른 물이 어찌 다시 살아날까 신체질병 폐질불구 일신중병 조심하라
사공 많은 나룻배니 배는 산에 올라간다. 형체없이 떠돈신세 밤낮없이 구박일세
土多 : 천하 통째 삼킬 의욕 욕심 많고 용감하며 처음기력 충천하나 허기 빠져 매몰된다
밤낮으로 설계해도 단시간에 무너지며 부부 잃고 자식무덕 살아가니 한심이다
金多:인부 없는 광산 금광 파낼 길이 전혀 없다. 무리하게 생각하니 친척간에 시비 많고
부부금슬 별거하니 성격무뚝 탓이로다 형제간에 말이 많고 부모형제 이별한다
水多 : 절룩발이 장군이니 적진에서 패전되고 다른 장군 승리하니 아랫사람 훈장 받네
껍질차지 내차지니 봉사활인 직업이라 남편이별 자식이별 원앙새가 수절한다
(1)庚子日柱 庚金(외강 편관, 내약 비견) 子水(壬水식신10 癸水상관20)
편관이 상관을 본 구조. 냉정하고 理智的으로 판단하고 합리적으로 자기의견을 표현.
있는 그대로의 현실에 대해 多數에게 유익한 방법은 무엇일까? 하는 생각을 해서 그 것을 알리는 일에 열심이다. 상관만 강조해보면 예의 없고 천방지축이지만, 기본적 바탕이 편관이기에 상관이라 해도 상당히 정제된 상관이다.
풀이 : 桃花. 女:일지桃花이니 幼郞,
좋다 생각되면 속성처리의 습성. 상대를 꺾어 누르기에 가끔 시비구설.良손재주.
여성은 남편덕이 없거나 돈벌이를 하게됨.
柱中 庚午가 있으면 五鬼門이라 하여 敗家離鄕하고 결단력이 없으나 일의 분별은 누구보다 빠르고 매사 관찰하여 미리 예방하는 특징 있음.
壁上泥中之土, 厚德土. 壁上의 두터운 흙으로 나무와 金을 좋아한다.
(2)庚寅日柱 庚金(외강 편관, 내약 비견) 寅木(戊土편인7 丙火편관7 甲木편재16)
편관이 편재를 본 구조. 편관은 이타적이고, 편재는 물질을 조작하는 기술이다.
위험한 일에 흥미가 있는데, 남들이 위험해서 기피하는 일에 몰두.
寅木에 丙火편관 戊土편인이 있어 이 생각을 더욱 강화시킨다.
편관이 편관을 본 형태이기도 하며, 丙火가 이렇게 위험한 일에 대해 ‘내가 하지 않으면 누가 할 것인가?’ 하는 사명감으로 그 일을 맡게 된다.
편인의 신비한 힘에 의지하는 마음도 약간 있지만 편재의 억눌림에 두드러지지는 않다.
공익적이라면 다소 힘이 들어도 견딜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사업을 해도 민감하고 예리한 감각이 살아있어 항상 긴장감이 있는 일에 흥미를 보이며, 그러한 종류로는 무기를 판매하든지, 매우 투기성이 높은 사업에 손을 대게 되며 그야말로 “평범한 것은 싫다!” 이다.
풀이 : 역마.
금전경시 허영 호탕 풍류적 팔방미인격, 다소 호색, 억지부려 성사, 항상 불안, 良충고 무시, 정치외교에 적합, 金木相戰으로 부부불화 이별, 허리․관절별 심하면 통풍질환.
松柏杖壽之木, 寒中木. 큰 나무 가지의 木으로 가을 겨울을 좋아한다.
(3)庚辰日柱 庚金(외강 편관, 내약 비견) 辰土(乙木정재9 癸水상관3 戊土편인18)
편관이 편인을 본 구조. 편관은 사회적공익을 원하고, 편인은 신비적인 것을 믿고 그 영향인 직관적인 것에 의지해 모든 일을 판단하고 처리하는 구조다.
편관의 극기정신이 투철하기에 자기감정을 극도로 절제하고 多數를 위해 희생할 준비가 되어있는 사람이다. 방송에 퀴즈프로가 많은데 답하는 것은 초를 다투는 긴급한 것들이며 그러한 것에는 인성의 성분이 가장 빠르다.
印星은 속에 있는 것을 그대로 사용하기에 들어있기만 하면 추출되는 시간은 가장 빠르다.
반면 식상은 한 단계 머리 속에서 굴려서 답을 꺼내기에 그 답이 정답으로 갈 가능성은 높지만, 시간이 걸리는 것은 어쩔 수가 없다.
암장은 癸水상관 乙木정재, 상관이 있으니까 자신의 능력을 직관력에 편승해서 신속하게 가공처리하여 상품으로 만드는 기능이 뛰어나며, 정재가 있으니 그 결과로 인해 자신에게 어떠한 이득이 돌아올 것인지를 아주 짧은 시간에 판단하게 된다.
물론 주변상황에 따라 재성이 强하면 乙木의 기능이 더욱 확장되어 재물에 비중을 두는 경우가 되고, 상관이 强하면 오히려 상관적인 성품이 두드러지는 경우도 되겠다.
기본적으로 庚辰日柱는 남을 먼저 생각하면서 신비현상에도 귀를 기울이는 선량한 사람.
풀이 : 괴강. 乙(정재)庚合金.
强의협심 허풍 장담, 약자를 돕는다. 어린시절 생모외의 사람에게 양육 또는 양자.
南方의 火運으로 가면 발달. 지장간에 乙(정재)庚合金하니 속으로 貪財(財와 여자)
여성은 부부이별 사회활동 弱금전운.
水師將軍之金, 氣聚金. 白鐵의 金으로 가을과 細木을 좋아한다.
(4)庚午日柱 庚金(외강 편관, 내약 비견) 午火(丙火편관10 己土정인10 丁火정관10)
편관이 정관을 본 구조.
남들만 위해 일생을 살며 아무리 봉사활동도 좋지만, 시도 때도 없이 항상 이타적인 것만 관심을 기울이고 살아간다면 주변사람들은 어쩌면 정신이 나갔다고 할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남들이야 뭐라 든 내 알 바 아니라고 생각하고, 항상 남의 입장에서 관찰하고 언제나 정․편관이 혼합된 상태에서 살피기에 자기감정은 아예 안방의 천장에 매달아 두고 다니는 격이다.
午火에 己土정인이 있어 순수이 남의 의견을 받아들이고, 본성의 소리에 귀 기울이니 밖으로만 치달리는 마음을 어느 정도 조절하게 된다. 印星의 은혜가 백골난망이다.
印星의 영향을 받으면서 대민봉사에 주력하는 庚午日柱는 아무리 생각해도 상등품이다.
풀이 : 裸體桃花. 女 小室. 女:일지桃花이니 幼郞,
인물 특출 관직에 길함. 장담하고 용두사미. 벅찬 일은 거부, 약자는 도와준다.
남녀간 배우자가 직업이 일정치 못하고 전전긍긍.
여성은 사회활동 부부이별, 柱中 丁酉가 있으면 福力이 온전치 못함.
路傍出之土, 厚德土. 큰길의 건조한 흙으로 물과 봄을 좋아한다.
(5)庚申日柱 庚金(외강 편관, 내약 비견) 申金(戊土편인7 壬水식신7 庚金비견16)
편관이 비견을 본 구조. 理智的으로 봉사하면서 그 일에 대해 고집을 부린다.
上下가 모두 庚金이니 표리가 일치. 7대 고집에 드니 얼마나 주관적인지 능히 짐작된다.
다만 金기운이 너무 지나치므로 조화를 이루는 차원에서는 약간 불만이다.
강인한 金은 자칫 그 방향이 잘못 되어도 멈출 수가 없이 마구 빨려 들어간다.
申金에 壬水식신, 식신에 의해 자신이 세운 방향에 몰두를 하게 된다.
다만 기운이 온기가 부족하고 오로지 냉기운으로만 형성되어 있기에 약간 아쉽다.
어쨌든 추진력을 가지고 몰두해 파고 들어가는 성분은 언젠가 성공을 하게 된다.
풀이 : 역마. 女 生死離別.
담백 배짱 결단력 호전적 無재복 常時부부쟁투. 형의 뒤를 계승.
여자는 剋夫성격 이별, 첩인 경우 본실로 가며, 年支에 辰戌중 하나가 있으면 敗家剋夫.
石榴秋實之木, 自絶木. 가을 과일나무로 여름을 좋아하고 가을 겨울을 싫어한다.
(6)庚戌日柱 庚金(외강 편관, 내약 비견) 戌土(辛金겁재9 丁火정인3 戊土편인18)
편관이 편인을 본 구조로 庚辰日柱와 비교가 되는 형상. 기본적인 것은 庚辰日柱와 같다.
戌土에 丁火정관 辛金겁재, 이러면 스스로 갈등을 만들어 내는데, 겁재는 자기주체성을 남들과 경쟁하려하고, 정관은 이기적인 겁재를 자꾸 억제토록 권유한다.
丁火는 戊土에 洩氣되어 힘이 弱하기에 마음은 있어도 실행은 어려운 형상이다.
그렇다면 겁재의 영향이 강화되어 庚申日柱와도 비슷한 구조다.
그리고 庚辰과 庚戌은 함께 괴강이 된다.
하늘의 괴강성이 얼마나 신비한 힘을 주는지는 모르지만, 아무래도 편인의 성분이 강력하게 나타나기에 초인적 영감이 존재할지도 모른다.
영감은 연구와 궁리로 되는 것이 아니며, 어느 순간 갑자기 생기는 능력이니 이 분야에서는 이론적인 구조를 초월한다.
그래서 庚戌日柱는 이러한 잠재력을 개발한다면 대단한 힘을 발휘하게 될 것이다.
풀이 : 괴강. 홍염. 女 小室
장부기질 정의감이 투철, 어려운 일은 남에게 맡기고 남의 일을 희생적으로 돕고, 나서기 싫어하고 無고집. 선조 유산을 엄숙히 지키며 무공을 세우기 좋아함.
여성은 고집 세고 , 남의 말에 응하지 않고 멋대로 하기에 불행초래 가능.
陸路將軍之金, 堅成金. 단단한 큰칼의 金으로 적은 불과 나무를 좋아한다.
8. 辛金의 정신적 구조
내면은 면도칼처럼 살벌. 감성이 풍부하여 정에 좌우되기 쉬운 천성.
내면으로 꽁하는 성격이 자주 노출되어 부부 풍파.
예민하고 예리한 판단으로 1인1기자가 많다. 남녀 모두 외모에 신경 쓰는 이중성.
■陽의 마음 - 正官
정관은 남을 위하는 성분이며 辛金의 겉은 정관적인 경향이 부족하며 내면심리에 더욱 영향을 받고 있다.
■陰의 마음 - 劫財
머리에 피가 뚝뚝 떨어지면서도 상대방의 코앞에 바짝 들이미는 성격.
결정적일 경우에는 그렇게 나오지만 평시에는 속으로 생각만 하고 잘 판단해서 내게 이롭고 해로운 것을 헤아려서 행동한다.
겁재는 재물을 겁탈하는 면도 있지만 자존심이 강하다는 면도 있다.
그래서 여간 자기과오를 사과하지 않으며 이러한 점은 陰干의 특성에 어울린다.
반면 庚金은 자신의 허물을 알면 바로 사과를 하는 솔직한 면이 있다.
■두마음이 결합된 형태
辛金의 영향은 겁재가 강하며 그러면서도 표면에 정관이 있으므로 공평무사하게 일을 처리하려고 노력하는 면도 있다.
辛金이 봉사하는 마음을 먹으면 매우 적극적으로 일을 봐준다.
그러한 면은 표면적인 명분이 타당하다고 생각되어서 정관적인 마음이 표현되는 것이다.
木多 : 자기중심 잡지 않고 군중 속에 말려들고 甲寅干支보게되면 그늘 속에 살게된다.
물질경시 지출 많아 외부내빈 가정이라 어진 사람 마음 좋아 마음 헤퍼 가정 빈천
火多 : 허기지는 일꾼 같이 잡부일만 많이 하고 공동일을 하게되니 관공서의 팔자인데
허약체질 병든 몸에 잡기음란하게 된다. 친척동기 없는 신세 부하 없는 패장일세
土多:금보석에 먼지 끼고 진흙 속에 묻힌 보석 빛낼 길은 하나 없고 허송세월 많이 겪네
종자하나 심지 못해 거둘 것이 전혀 없다. 남편 잃고 자식무덕 일가친척 흩어진다
金多 : 섞여있는 잡티보석 빛을 내기 어렵구나 시비구설 따라드니 자체욕심 불만 많다
경쟁하며 싸우다가 서로간에 잃고 마네 여러식구 거르리니 많은 낭군 갈아본다.
水多 : 물에 잠긴 보석이라 빛을 내기 힘이 드네 많은 희생당하고도 봉사하고 욕먹겠네
배고파서 허약한데 병들어서 기진맥진 남편 일찍 떠나가니 누구하고 인연할까
(1)辛丑日柱 辛金(외약 정관, 내강 겁재) 丑土(癸水식신9 辛金비견3 己土편인18)
겁재가 편인을 본 형태. 겁재는 주체성인데, 주체적이면서도 외향적이다.
내면으로 주체적이 아니라 실제로 남들과 대항하면서 자신의 주관성을 인식하는 형이다.
이러한 특성은 자신을 방어하는 구조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방패를 세워놓고 칼날을 전면으로 향하게 한 다음에 자신을 수비하는 형태다.
辛金이 원래 칼날․예리함이며 냉정한 형상이다.
비견이 감정적으로 주관성을 지킨다면 겁재는 理性的으로 주관성을 지킨다.
감정적이란 누군가 자존심을 건들면 정신 못 차리고 분개하므로 비견이고,
理性的이란 우선은 기분이 傷하지만 냉정하게 대항하기 위해 일단 자제하는 형태다.
소녀 때 강간당하고 30년이 후에 그 남자를 살해했다는 이야기가 보도된 적이 있다.
이 것이 바로 辛金의 특징이다. 그야말로 자존심을 찾는데 시간은 별다른 문제가 되지 않는다. ‘언젠가는 갚아주리라! 두고 보자!’ 하고 벼르는 것이 겁재이다.
다만 日支 편인이므로 수동적인 면도 있으며, 기본적으로는 건드리지 않으면 양반이다.
편인은 고독한데, 일단 누가 자존심을 건드리기만 하면 참지 못한다.
편인은 직관적으로 감지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그래서 직감적으로 상대방의 주먹이 어디로 올지를 알아차려서 싸움을 잘 하는 것일까?
축에 辛金비견 癸水식신. 비견은 더욱 겁재의 성분을 강화시키고, 식신은 자존심을 건드린 복수를 할 방법을 궁리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성분은 자기마음에 드는 사람은 최선을 다해 보호할 마음의 준비가 되어있다.
풀이 : 정력왕성 강직 强고집 깔끔. 다소 好色. 지기 싫고, 활동 많고, 마음에 들어야 활동. 재운․부부운 불량. 어릴 때 생모외에 양육 받고 양자운.
壁上胎息之土, 福聚土. 무덤을 이루는 흙으로 木火와 봄을 좋아한다.
(2)辛卯日柱 辛金(외약 정관, 내강 겁재) 卯木(甲木정재10 乙木편재20)
겁재가 편재를 본 구조. 卯에는 다른 것이 없으므로 편재만 생각한다.
겁재가 편재를 운용하기는 뭔가 어울리지 않기에 아무래도 부담이 된다.
辛卯는 財多身弱이라 스스로 財星의 힘을 감당하기에 부족하다.
그래서 주변의 힘을 빌어서 비로소 사업의 실마리를 풀어간다고 하겠다.
겁재의 장사수단은 신통치 못하기에 혼자서 일을 풀어가기는 역부족이다.
재물경시하는 습성과, 財星이 强하다는 면이 서로 궁합이 맞지 않는 형태다.
신체단련에는 재능이 있으며 겁재는 자기 힘을 기르기 위해서는 신체를 단련한다.
辛卯日柱는 사업보다는 신체를 단련하는 전문가가 좋으며 스포츠계의 유명인사.
풀이 : 桃花. 女:일지桃花이니 幼郞,
호색망신 방랑적이기에 신용상실. 성급 每事무관심. 결단력 날카롭고 있고 착함.
항상 불안. 침착도 하며 급할 때는 아주 성급. 매사에 강직하여 싫어하니 인자하도록.
金木相戰하니 부부불화 이별 별거.
松柏古木之木, 歲寒木. 뿌리가 튼튼한 나무로 水土와 봄을 좋아한다.
(3)辛巳日柱 辛金(외약 정관, 내강 겁재) 巳火(戊土정인7 庚金겁재7 丙火정관16)
劫財가 正官을 보고 있는 구조. 劫財가 많이 정화되어 공익적이다.
자기능력을 사회를 위해 활용하며,正官으로 볼 때 합리적이면서도 이성적으로 판단한다.
겁재는 주관적이지만 노골적으로 노출시키지 않으니까, 종합해보면 공무를 수행하면서 자기자존심이 약간 손상되더라도 인내심을 가지고 일을 합리적으로 풀어가려고 상당히 노력하는 구조다. 그래서 공무원의 직책이 어울린다.
巳火에 庚金겁재 戊土편인, 정관적으로 작용하면서도 결코 호락호락하게 봉사만 하고 있지는 않는다. 겁재가 겁재를 봐서 매우 강인하게 느껴지지만 실제로 워낙 巳火의 구조가 强하기에 속으로만 그러한 성분을 작용시킬 뿐 겉으로는 공손한 관료의 형태를 잃지 않는다.
풀이 : 역마. 女 姦婦 小室. 丙(정관)辛合水.
성급 無결단력. 매사에 골몰 걱정. 조언 무시. 노력은 많고 공은 적다.
여성은 남편덕 吉運 품위 단정 사치 강직 强자존심.
丙(정관)辛合水하니 貪官에 정신없다.
石中玉璞之金, 學堂金. 흙 속의 보물金으로 火와 가을을 좋아한다.
(4)辛未日柱 辛金(외약 정관, 내강 겁재) 未土(丁火편관9 乙木편재3 己土편인18)
겁재가 편인을 보았다는 면에서 辛丑日柱와 비슷한 형태. 차이는 未의 乙木편재 丁火편관 인데, 이러한 성분은 기본적으로 갖고 있는 겁재의 성분을 약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辛未日柱로는 두보가 있으며, 그의 詩에는 영감이 있었으며, 日支 편인은 영감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이태백은 己巳日柱로써 역시 日支 정인이며, 日支 印星이 유명한데는 그만한 격국의 형상도 있겠지만, 日支의 印星에서 發散되는 직관력이 작용했다.
詩人은 사실 직관으로 관찰하고 글을 남기는 것이며, 소설과는 그 형태를 달리한다.
어찌 보면 약간 수동적이고, 편재는 운동을 좋아하며 辛卯日柱와 연계해보면 편관이 추가되므로 위험하고 극기심을 요구하는 운동에 관심을 갖게 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암벽타기 카레이스 등이다.
편인에 의한 직관적 판단이 필요한 운동이라면, 자동차경주 등은 매우 흥미가 있다.
(과속을 즐긴다)
辛丑日柱는 日支속에 암장된 편재가 없는데도 차를 과속으로 몰아대는데, 일지에 편재까지 있는 상태니까 계기판을 조작하는 능력(과속)에 더욱 자신이 있을 것이 분명하다.
풀이 : 자비심 고집 단순 이기적 기계적 분석적. 나서기를 싫어하고 기술에 소질.
好학문. 재주 있으나 남이 안 알아줌. 선대보다 후퇴.
年月에 生旺이면 후일에 많은 발전.
鎔成金之土, 始生土. 많은 보배를 싸고 있는 흙으로 가을과 불을 좋아한다.
(5)辛酉日柱 辛金(외약 정관, 내강 겁재) 酉金(庚金겁재10 辛金비견20)
최고 고집에 해당. 삼대고집은 乙卯 壬子 辛酉인데, 그 중 가장 강한 것이 바로 辛酉다.
乙卯는 재성이라 주체성이 떨어지는데, 辛酉日柱는 겁재가 비견을 보았으니 고집 중에서도 최고에 속한다. 酉金은 金으로만 똘똘 뭉쳐있는 형상이어서 더욱더 강하다.
이로 인해 무슨 일이든 100% 자기주관대로 일을 하고 남의 조언은 고려하지 않는다.
풀이 : 桃花. 음양착차. 女 生死離別. 女:일지桃花이니 幼郞,
强고집 强자존심. 성격은 단순 깔끔. 재치 있고 빠르고 똑똑하다. 지기 싫어함.
실속 있음. 장소에 따라 돈을 잘 씀. 초년운은 불미하나 말년운은 좋다.
사주에 건록이 있고 중말년에 冠帶운이 오면 크게 발달하며 여성은 고집이 세어 남편과 살기 힘이 든다.
石榴珍貴之木, 失位木. 가을의 석류나무로 가을과 여름을 좋아한다.
(6)辛亥日柱 辛金(외약 정관, 내강 겁재) 亥水(戊土정인7 甲木정재7 壬水상관16)
겁재가 상관을 본 형태. 상관인 亥水에 甲木정재 도 있기에 남들을 많이 의식한다.
日支 상관이고, 또 겁재도 남들을 상당히 의식하기에 이러하다.
더구나 정재는 외모에도 신경을 많이 쓰고, 물론 재물을 낭비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남들의 평판에 상당히 신경을 기울인다.
利他에는 크게 마음쓰지 않고, 오히려 남들에게 돋보이기 위해 적선하는 형태이며, 利他가 아니라 남들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겠는가? 하는 차원에서의 봉사다.
그래서 언제나 매무새가 감각적으로 깔끔하게 정돈되어 있고, 겁재라는 자존심이 그렇게 스스로의 모습을 가꾸도록 한다. 대개 辛金에 해당하는 사람은 멋쟁이다.
남들에게 비쳐지는 자기모습에 매우 신경을 쓴다.
스스로의 외모에 신경 쓰는 이유 중 하나는 겁재는 비견과 달라 자신의 내면적으로 주체성을 갖는 것만이 아니라, 외향적으로도 남들이 깔보면 안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일자리도 남들이 괄시할 만한 일을 하게되면 몇 배의 스트레스를 받는다.
수입이 약간 떨어져도 남들이 우대해주는 일을 하는 게 오히려 편하다.
辛金은 보석이며 가치는 남들이 메겨주기에 항상 남의 눈을 의식한다.
여러 정황으로 볼 적에 辛金은 남들의 눈을 의식하는 것에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辛金이 과연 보석으로만 설명이 가능하겠느냐는 질문을 한다면 대답이 궁색해진다.
辛金이 약하면 그렇지만, 强하면 능히 바위라고 할 수도 있다.
身弱하면 이러한 日支 상관, 정재의 구조가 흉한 암시로 돌아가게 되며, 자기능력을 과대평가하고 잘난 척 하다 항상 망신을 당할 수가 있다.
풀이 : 역마. 裸體桃花. 女 小室. 日支욕궁으로 부부인연 좋지 않고
얼굴․피부가 맑고, 심성은 깨끗. 부부간 양보 없고 자기 멋대로라 이혼 가능.
남자는 고독, 재복은 있으나 스스로 냉정하여 차버리며, 조언에 마이동풍격, 妻변동.
여자는 남편의 직업이 多變.
水底珠玉之金, 乾健金. 소리 잘나는 鐘의 金으로 母火土를 좋아한다.
9. 壬水의 정신적 구조
큰 강물이나 바다. 심오한 지혜와 선견지명이 타의 추종을 불허.
水는 흐르는 성질이 있기에, 旺水는 土로 막는 것보다 木으로 흐르게 하는 것이 가하다.
두뇌 회전이 빠르나 약간 고집이 있고 음흉. 多金이면 남을 억누르는 오만함이 있다.
■陽의 마음 - 偏印
편인이 표면심리.
陽干이기에 표면심리가 强하고,편인은 뭔가를 골똘하게 생각하며,흔히 종교적이라 한다.
水가 지혜라는 데에는 역시 이러하기 때문이며, 壬水는 어쩐지 학자의 냄새가 풍긴다.
■陰의 마음 - 食神
내면은 식신이고, 식신은 깊이 파고드는 성분이며, 그리해서 자기 속에 잠재된 능력을 남들에게 보여주는 성분이다.
내면은 깊이 파고드는 성분에 표면은 편인이 어우러지니 아주 잘 어울리는 한 쌍이다.
■두마음이 결합된 형태
편인을 표면에 두는 것이 壬水이며 명리서적들에서 壬水를 “음흉하다”는 말로 대신하기도 하지만, 그러한 오해를 받는 이유도 표면심리인 편인으로 인해서이다.
壬水도 陽干의 특성이 크게 부각된다.
내면은 끊임없이 궁리하면서도 고독인 편인은 남들에게 선뜻 그 내용을 공개하지 않으니 남들이 보면 뭔가 혼자 속으로 꿍꿍이가 있다고 생각하며, 반면에 묵직한 면도 있다.
木多 : 가지 많은 오동나무 바람잘 날 없는 형상 자식욕심 샘이 많아 多출산하게 되며
언제라도 일에 쫓겨 친구 만날 기회 없다 남편덕도 없지마는 자식덕도 또한 없다
火多 :솥은 달고 밥물 적어 쌀도 타고 솥도 탄다 형제자매 친구에게 재산 몽땅 빼앗기고
부유하던 살림살이 散財지출 많이 하니 남편에게 신경 쓰고 자식 때문 속상하다
土多:가뭄 밭에 비 적으니 심은 곡식 다 죽는다. 정신질환 앓아보고 두통복통 잘 아프다
머리부상 멍청하고 혈액심장질병 발생 남편박복 괄세 받아 多福하기 어렵도다.
金多:물 많은데 비 오니 물코 터져 홍수 난다. 자식있다 자랑말고 표현 못할 사정 많다
속으로만 온갖 정리 정신력에 살아간다. 다른 모친 섬겨보며 남편자식 무덕일세
水多 : 장마철에 물난리니 햇빛 구경 못하겠네 고집불통 정신착란 타인 말은 못 믿는다.
갖은 풍파 면치 못해 안착할 날 거의 없다. 심장정신 병이 들고 남편자식 무덕일세
(1)壬子日柱 壬水(외강 편인, 내약 식신) 子水(壬水비견10 癸水겁재20)
편인이 겁재를 본 형태. 대단하다. 완전히 水로만 이뤄졌으며 세상천지에 겁날 것이 없다.
편인은 탁월한 직관력, 직관력을 믿고 전진하는 겁재이기에, 예술계에 종사하면 매우 뛰어난 영감을 개발하여 좋은 작품을 남기게 될 수 있다.
이것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주변에 식신으로 흐르는 기운이 있다면 금상첨화다.
참고로 대구 불로동 목각예술단지에서 목공인데, 己亥년 丁卯월 壬子일 辛亥시다.
왕성한 물이 월령의 상관을 타고 흘러서 예술계통으로 발휘된다.
그 재능이 빛을 보기 위해서는 월간의 丁火가 있는 것이 너무도 반갑다.
식상으로 기운이 흐르면 다시 재성을 봐야 결과가 된다.
참고로 癸巳년 丙辰월 壬子일 壬寅시는 신약하기에 부득이 식상의 기운을 사용하지 못하고 농사일을 하고 말았다.
의지력이 강하고 영감이 있어도 여건이 허락해주지 않으면 쓸모가 없다.
격국에서 느끼는 형상이 예술을 할 사람과 농사일을 할 사람의 차이가 난다.
壬子日生이면 자기중심이 매우 강해 웬만하면 식상으로 기운이 흘러간다.
그리되면 인정 많고, 재능도 활발해서 많은 방면에서 성취할 수 있다.
水는 흐르는 성분이기에 辛酉나 乙卯 보다는 强하지 않다.
주변상황에 따라 물의 세력이 넘친다면 오히려 생의 의미가 없어지고(無心道人) 범람을 할 형태로 변하게 되며, 그렇게 되면 참으로 대단한 홍수로 변할 가능성이 있다.
물론 이렇게 국세가 짜여진다면 격국의 형태는 점점 떨어진다.
여자 壬辰년 壬子월 壬子일 戊申시가 스스로 술장사를 해서 가족생계를 꾸리고 있다.
물이 흘러가지 못하는 인연으로 그냥 상업에 종사한다.
너무 약해도 너무 강해도 곤란하고, 적당하게 강한 균형의 사주를 얻기가 그리 힘든다.
또 壬子년 壬子월 壬子일 丙午시가 적천수징의에 있는데 이 사람은 거지다.
그야말로 전형적인 群劫爭財로다. 참으로 수없이 많은 겁재 동료 걸뱅이들이 밥 한 그릇을 보고서 마구 달려드는 형상이다.
壬子日柱의 특징이 왕성한 물이므로 물이 어느 방향으로 머리를 두느냐에 따라 작용하는 형태가 각양각색이기에 다양한 사주의 예를 생각해봤다.
물론 다른 干支도 그렇지만, 특히 고려해봐야 할 형태로다.
풀이 : 桃花. 홍염. 女: 生死離別, 老郞이나 再娶 身旺이면 幼郞,女:일지桃花이니 幼郞,
속 깊고 포용력 이해심 활발한 성격. 돈 잘 쓰고, 부부이별 재혼. 물장사․유흥업에 종사. 일이 잘 될 때는 잘되고 안 될 때는 안됨. 자식이 속 태운다.
여성은 强고집으로 부부이별.
陽溢大海之木, 專位木. 물위에 떠서 다니는 나무로 火土와 여름을 좋아한다.
(2)壬寅日柱 壬水(외강 편인, 내약 식신) 寅木(戊土편관7 丙火편재7 甲木식신16)
편인이 식신을 본 형태. 편인의 직관력과 식신의 연구력은 학자의 분위기가 넘친다.
壬子日柱처럼 “움직이지 않고 그냥 찰랑~하게 모여 있는 것” 보다는 느낌이 잘 전달된다.
영감을 그대로 전달하면 무당을 하겠고, 직감을 전달만 하면 참모이며,
直感을 받아들여 일차 가공한 후 새롭게 정리해서 전달하면 학자라 하겠다.
사실 수없이 많은 비밀을 읽어낸 학자들은 대개 직감에 의해 감지하고, 그 직감을 토대로 연구하고 궁리를 하여 발표한 것이다.
壬寅日柱는 그 영감이 대략 따져도 40%는 되겠다.
이 정도의 힘으로 연구를 한다면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역량은 학문을 연구할 적에 더욱더 빛난다.
寅木에 丙火편재 戊土편관. 이것은 무엇이든 결말을 얻을 수가 있으니 좋은 징조다.
그래서 水生木하고 木生火하는 순리를 따라 전개하는 형상이다.
가장 순수하게 기운이 흐르고 있는 干支중에 하나다.
그러면서도 利己的이 아닌 것은 戊土의 편관작용이다.
풀이 : 역마.
온화 착함. 남을 잘 도와주고, 식복 좋고 잘 먹고 놀기를 즐긴다.
여성은 자녀를 잘 낳고 잘 기르며 마음이 넓어 부자가 많고 온순 조용하나, 간혹 남편과 틈이 생겨 생사이별 소박 당함.
雨露沙堤之金. 自絶金. 보배 구슬을 만든 金으로 春夏를 좋아한다.
(3)壬辰日柱 壬水(외강 편인, 내약 식신) 辰土(乙木상관9 癸水겁재3 戊土편관18)
편인이 편관을 본 구조. 편관은 理智的이면서도 감정적이고 비판력․분석력이 뛰어나다.
편인의 직관력과 편관의 극기성을 가지고 뭐든 궁리하면 냉정하게 객관적으로 판단한다.
직관적으로 상황을 파악하고 편관의 경쟁적인 이성으로써 분류를 한다.
동정심도 많은데, 역시 편관의 작용이다.
편관은 자기이득을 취하는 것보다는 남의 고통에 더욱 마음이 아픈 사람이다.
辰土에 乙木상관 癸水겁재.
상관으로 흐르는 기운과 편관으로부터 역류하는 극제성분 때문에 일관성은 없는 편이다.
그러므로 다양한 형태의 일을 할 수도 있으며, 심리구조도 상당히 복잡 다양하다.
서로 흐름이 壬寅일주와 같이 한 방향으로 모아지지 않고 있다.
풀이 : 괴강. 음양착차. 女 :老郞이나 再娶 身旺이면 幼郞,
허영 낭비 조급 인색 솔직담백 强고집. 급할 때는 급하고 느릴 때는 완만.
여자는 남편의 `집안일 소홀 외박`으로 이혼, 남편사업 기울고, 남편에게 지지 않는 성격으로 이혼 별거.
壬騎龍背之水, 自庫水. 강물에 용이 노는 물로 春夏를 좋아한다.
(4)壬午日柱 壬水(외강 편인, 내약 식신) 午火(丙火편재10 己土정관10 丁火정재10)
壬午日柱는 편인이 정재를 본 구조. 편인은 정신적인 것이고 정재는 물질적인 것이다.
정신적인 것이 물질적인 것에 관심을 갖는다.
干支가 合되어있다. 위에는 물, 아래에는 불이 있다면 이것은 주역의 수화기제(水火旣濟)의 괘상도 된다. 그래서 균형을 이루고 있는 형상이다.
위에 물이 있고 아래에 불이 있으니, 불은 위로 올라가려 하고, 물은 아래로 내려오려 하는 마음이 있어 항상 부지런하게 움직이는 형상이다. 그러면서도 서로 有情하다.
그래서 壬午일주는 뭐든 시작하면 끈질기게 물고 늘어져 끝장을 봐야 속이 시원하다.
또 재물의 속성을 잘 알기에 관리를 하는 면에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또 午火에 己土정관, 항상 합리적. 그래서 성품은 中和를 이루고 있다.
身弱하면 오히려 이러한 성분이 虛勢로 흘러갈 가능성도 있지만, 이미 天干에서 地支를 제압하고 있는 형태이기에 어느 정도만 도와준다면 弱하다고 할 것은 없다.
한마디로 조화된 마음가짐으로 인해 주변사람들과 화목하게 지내는 사람이다.
풀이 : 桃花. 녹마동주. 女: 小室, 老郞이나 再娶 身旺이면 幼郞,女:일지桃花이니 幼郞,
壬丙沖으로 丁壬合은 깨진다.
유순 절약 타산적 재복. 새로운 일을 좋아하고, 의식걱정 없고, 돈은 남보다 많이 만져보고, 자유롭게 살고 妻로 인해 致富. 건강 조심.
祿馬柔和之木, 柔和木. 수양버들가지 나무로 봄여름을 좋아한다.
(5)壬申日柱 壬水(외강 편인, 내약 식신) 申金(戊土편관7 壬水비견7 庚金편인16)
편인이 편인을 본 구조. 身弱한 상황을 제외하고는 이러한 구조는 바람직하지 않다.
지나치게 폐쇄적인 마음구조는 아무래도 발전성을 저해한다.
申金에도 壬水비견 만 있기에 너무 한 방향으로 치우쳐 사고방식이 항상 부정적이다.
원래 편인은 약간의 부정적이다.
이러면 發散之氣인 木火의 기운으로 흐르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렇게만 되면 부정적인 방향으로 흐르는 편인을 건설적인 방향으로 유도할 수가 있는데, 부정적인 성분은 감사기관이나 검열직책에서 탁월한 재능을 발휘할 수 있다.
형사가 되려면 모든 사람이 도둑으로 보여야 한다는 말도 있는데, 이렇게 선천적으로 편인의 강력한 성분을 타고난 사람은 직관력을 의지해서 자신의 일을 찾을 수가 있다.
그렇지만 木火가 없다면 그 탁월한 직관력이 ‘전망 없음’이라는 직관을 배출하게 될 테니 이러한 결과는 참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풀이 : 역마. 홍염. 女 :老郞이나 再娶 身旺이면 幼郞,
착하고 인자하고, 차고 냉정하고 신경질적. 돈을 경시하여 적자생활. 스스로 일 저질러서 손해. 허약으로 음식에 의한 탈 많고 폐질환 조심. 생모외 모친. 부부이별.
水滿渠成之金, 臨官金. 전쟁에 쓰이는 칼의 金으로 子午卯酉를 좋아한다.
(6)壬戌日柱 壬水(외강 편인, 내약 식신) 戌土(辛金정인9 丁火정재3 戊土편관18)
편인이 편관을 본 구조. 직관적에다 理智的인 구조라 어쩐지 현실성이 없어 보인다.
앉은자리가 편안해 보이지를 않는다. 의존적이고 무력한데, 身弱하다.
지인 중 乙未년 庚辰월 壬戌일 甲辰시 남자가 있는데, 月干에서 印性이 生助를 해주어도 뭔가 미래로 나아가는 방향이 잘 보이지 않았다.
뭔가 계획은 세우는데 그 계획대로 추진하지 못하고 항상 중간에서 포기하는 형태다.
편인이라 직관적이면서도, 기본적으로 生助 받지 못하고 오히려 日支의 편관으로부터 억압받게 되는 것이 그러한 결과를 갖고 오는 것이다. 壬戌은 백호살이라는 이름이 딸려있는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몇몇의 壬戌日柱를 알고 있는데, 대개 미래지향적이지 못하고 불평불만이 많은 편이다.
원인은 편인의 부정적思考에서 기인하며, 뭔가 자기 뜻대로 되지 않는다는 생각을 많이 갖고 있다. 그 원인도 역시 日支에 있는 戌土의 영향이다.
戌土에 丁火정재 辛金정인.
강력한 戊土의 작용과 丁火에게 剋 받는 印星의 무력함으로 인해 세상을 살아가기에 만만하지 않다는 느낌이다. 壬戌日生은 자기주장을 강하게 펼쳐나가기가 만만치 않다.
그래서 다른 干支보다 더욱 强해야 하겠다.
심성은 선량하다. 남에게 해를 끼치기는 또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자기이익을 추구하는 성분이 부족해서 그렇다.
풀이 : 白虎. 괴강. 음양착차. 丁(정재)壬合木. 女 :老郞이나 再娶 身旺이면 幼郞,
온화 쾌활 활발. 생각이 깊고, 장담하나 속으로는 좌절이 따르고 强弱의 차이가 크고, 노력에 비해 공이 적고, 사람 따라 비천하기도 한다
지장간에 丁(정재)壬合木하니 貪財(財와 여자)에 정신없다.
여성은 冠帶가 2개 있으면 여러사람에게 비웃음을 받으며 교양없는 여성은 자유분방.
易晴大海之水, 伏逆水. 출렁거리는 바닷물로 春夏와 木을 좋아한다.
10. 癸水의 정신적 구조
치밀한 성격으로 기초가 완벽. 陰의 대명사로 지혜가 출중하여 陰한 것이 결점이다.
무리하지 않는 성격으로 안전주의자.
서비스 정신과 희생정신이 있어 타인의 부탁을 거절하지 못한다.
■양의 마음 - 正印
癸水의 표면은 정인, 물과 잘 어울린다.
물은 만물의 생명을 책임지는 막중한 임무를 띠고 있으니까 말이다.
물 아니고는 오행 중에서 참으로 긴박한 생명의 요구를 들어주겠는가? 그래서 癸水에게 정인의 성격을 찾을 수가 있다.
■陰의 마음 - 傷官
陰의 마음은 상관이며, 상관은 자기의사를 활발하게 전개해 나가는 성분이다.
물론 자기의사를 표현하는데 뭔가 장애가 된다면 어떻게 해서든 그 의견을 꺾을 궁리를 하기도 하며 그렇게 해서 자신의 위치를 찾아가는 癸水다.
‘能小能大’라는 말에도 잘 어울리는 것이 癸水인데, 능소능대는 바로 상관의 재능이다.
癸水를 일러 생동감이라고도 하는데 그러한 분위기는 상관에게 잘 어울리는 말이다.
상관은 항상 새로운 것을 찾아서 잠시도 가만있지를 못한다.
■두마음이 결합된 형태
기본적 성격을 묶어보면 정인적성품에 활발한 재능을 가진 사람이다.
내면으로 활발하게 움직이면서 겉으로 사랑을 품고 있다.
2가지의 근본심리가 엉크러지는 경우도 있겠지만, 癸水에 대해서는 고정적인 마음보다 2 가지를 함께 포함하고 있는 성분으로 본다. 그러한 배경에는 癸水는 至陰이기 때문이다.
열 개의 干支중에 가장 陰에 해당하다보니 이렇게 기본적인 성분에서도 陰적인 면이 剋에 달해 변화를 시도할 수도 있다.
木多:많은 나무 모종하니 잡종씨앗 접 부친다. 여러남자 자식 낳아도 부끄러움 모른다네
사람 따라 직업 보면 활인구제 사업한다. 남의 빈축 욕먹어도 수치창피 조금 없다
火多 : 짐을 많이 실은 수레 길 잃은 눈먼 사람 입에 술만 머금으면 술 주정을 부린다네
술 취하면 정신 잃고 정신들면 사죄한다. 겁도 많고 잘 놀라고 수다 하는 사람 있다
土多 : 물이 적어 마른논에 초목 어찌 자라리까 정신질환 천박인생 질병 또한 발생하고
습진악창 피부성병 부스럼병 앓아본다. 부부생활 원한관계 오래 살기 어렵도다
金多:그릇 많고 음식 적어 나눌 것은 하나 없네 배움학식 전혀 없어 천박함을 나타낸다.
부모자식 不德하며 초년부터 유랑생활 파란곡절 생활형편 모은 것은 하나 없다
水多 :그릇 적고 물 넘치니 소득없는 농사로다. 세력 많고 범법범해 감옥살이 누가 할까
예절 없고 상식 없다 독신독주 하는 인생 비파인생 말 많으니 어느 누가 가르치리
(1)癸丑日柱 癸水(외약 정인, 내강 상관) 丑土(癸水비견9 辛金편인3 己土편관18)
상관이 편관을 본 형태. 상관과 편관의 인연은 어쩐지 어울리지 않는다.
자신은 남의 견제를 받지 않으려 하는 마음이 가득하고(상관), 주변여건은 자기주장대로만 살아갈 형편이 아니고(편관), 그래서 마음에 갈등이 발생한다.
그래선지 癸丑도 역시 백호살에 해당한다.
丑土에 辛金편인 癸水비견이기에 표면보다는 내면이 오히려 편안하다.
편관의 성분으로 인해 임술일주와도 같이 극만 받고 있는 것인가 싶었지만, 그래도 丑에는 印比가 상당히 힘을 저축하고 대기하고 있다. 참으로 절처봉생에 해당하는 형국이다.
상관의 활발한 기본심성에다 일단 억압을 받으니, 스스로를 억압하는 구조가 포함된다.
그렇지만 암장된 印比의 도움으로 억압되는 구조는 점차로 해소되고, 자신의 타고난 직관력을 발휘해 모험에 대한 일을 수행한다면 의외로 성공을 할 수가 있다.
기본바탕에 “理性的으로 봉사를 해야 한다”는 감정은 존재하기에 항상 갈등이 많다.
무엇보다 주변상황에 따라 많은 변수가 있는데, 가령 남자 戊戌년 辛酉월 癸丑일 甲寅시가 26세에 국방대학교의 교관으로 장래가 촉망되는 사람이 되기도 했다.
이렇다면 癸丑日柱의 장점을 잘 살려 편관의 성분인 군대 밥을 먹으면서 또 印星의 구조인 교육업에 종사한다는 말이 연관이 된다.
이 사주는 身弱하지만 月柱의 辛酉를 의지해서 印性의 영향을 잘 받고 있다.
그리고 印星이 희용신이 되므로 인덕도 있겠다.
풀이 : 白虎. 女 :老郞이나 再娶 身旺이면 幼郞,
의타심 소심 소극적 공상 많음. 예의 있고 총명 활발. 학문에 열중하면 吉하고 아니면 의타심으로 일에 주저하는 성격. 사주에 흉살이 있으면 천하고 앞장서기를 좋아한다.
여성은 질서와 예의를 잘 지키고 형제간에 의리가 있으나 强고집으로 간혹 부부이별.
溝渠유石之木, 偏枯木. 시들어버리는 나무로 金水와 나무를 좋아한다.
(2)癸卯日柱 癸水(외약 정인, 내강 상관) 卯木(甲木상관10 乙木식신20)
妙技百出. 상관이 식신을 봤으니, 이 재주를 누가 감당하겠는가. 자기능력이 제대로 발휘된다.
유명한 TV의 사회 황인용씨가 庚辰년 丙戌월 癸卯일 壬子시다.
과연 재치 넘치고 분위기를 부드럽게 조정하는 것이 우연이 아니다.
재치는 상관적인 성분인 癸水의 특징이고, 출연자의 이야기가 부드럽도록 끌어가는 것은 스스로 많은 기술적 궁리를 하는 식신이다. 이러한 것이 바로 癸卯日柱의 타고난 재능이다.
卯의 지장간에는 다른 성분이 없으니 항상 오롯하게 외길을 달려갈 수가 있다.
특히 日干의 癸水가 日支의 식신으로 흘러가는 것도 성품이 원만하게 한다.
풀이 : 桃花. 女 :老郞이나 再娶 身旺이면 幼郞,女:일지桃花이니 幼郞,
음식솜씨가 좋아 스스로 음식을 만들어먹는 취미가 있고, 머리가 좋고, 조용히 담소하며 에술 문학에 소질. 배우자는 뚱뚱한 편. 남자는 好주색, 의지력弱.
여자는 남편에게 헌신적이지만 가정적 불만으로 자기도 모르게 엉뚱한 생각을 할 수 있음.
林中澗泉之金, 氣散金. 梵敗의 요령소리 金으로 한 여름과 가을을 좋아한다.
(3)癸巳日柱 癸水(외약 정인, 내강 상관) 巳火(戊土정관7 庚金정인7 丙火정재16)
상관이 정재를 본 구조 = 사업가의 구조다.
身旺하여 傷官生正財가 되면 사업방면에서 뛰어난 재능을 발휘한다.
세련된 감각과 깔끔한 매너는 자기기반을 다지는데 선천적인 재능이다.
그런데 癸巳가 身弱하므로 만약 身弱이라면 애석하게도 고난이 예상된다.
巳火에 庚金정인이니 직관력이 있는데, 地支의 丙火가 워낙 强해 직접적으로 힘을 발휘하기에는 다소 약하다. 주변에서 노출시켜준다면 역시 뛰어난 직관력을 발휘할 것이다.
그리고 戊土의 정관이 작용을 할테니까, 합리적으로 판단을 하는 구조다.
풀이 : 역마. 음양착차. 녹마동주. 女: 小室 姦婦, 老郞이나 再娶 身旺이면 幼郞,
戊(정관)癸合火.
인품 바르고 총명 계산이 빠르고 실속 있고, 치밀한 장부정리 잘하고 내부관리와 살림을 잘한다. 남자는 처덕 많고 가정적이며 내성적이 많다.
여성은 부부운이 평탄치 못해 일찍 이별의 슬픔.
지장간에 戊(정관)癸合火하니 貪官에 정신없다.
高阜長流之水, 自絶水. 바다로 흘러가는 물로 亥子를 좋아한다.
(4)癸未日柱 癸水(외약 정인, 내강 상관) 未土(丁火편재9 乙木식신3 己土편관18)
상관이 편관을 보았다는 면에서는 癸丑日柱와 대동소이하다.
未土에 丁火편재 乙木식신.
이 구조는 癸丑日柱보다 더 여건이 不良하다. 전혀 뿌리를 내릴 상황이 아니다.
상관은 감정이 풍부하지만, 편관이 억압하니, 뭔가 앞뒤가 잘 맞지 않는다.
재주는 많지만 결실을 보는 데는 많은 장애가 있다.
식신도 편재도 있으므로 일을 추진하기만 하면 특별한 것을 만들 수도 있는데, 문제는 처음의 시작을 망설이기만 하고 돌진을 하기가 만만치 않아 보인다.
그것은 상관이 시작을 하지만, 편관은 제동을 걸기 때문.(편관은 나를 무정하게 剋하기에)
한참 탄력 받은 후에는 제동을 걸어도 그냥 달려가는 힘이 있지만, 이렇게 출발하자마자 제동을 거는 것은 만사를 참으로 더디게만 한다.
그러기에 癸未日柱는 과감하게 밀어붙이는 힘이 요구된다.
멈칫거리다 보면 또 신호대기에 들어가야 하니, 과감하게 돌진해야 한다.
일단 잘 시작해놓기만 하면 뒷일은 술술 풀려나간다.
항상 의욕과 용기가 필요하기에 이런 편관의 극기성을 발휘해서 체력단련을 하는 운동을 해보는 것도 좋을 것으로 생각해본다.
건강하면 자신 있게 할 수 있는 일도 건강이 약하면 엄두가 나지 않는다.
풀이 : 女 :老郞이나 再娶 身旺이면 幼郞,
양친과 이별. 거처 不定으로 下賤생활. 건강은 나약하고 실패 많고 마음이 약해 남에게 이용 잘 당한다.
남자는 복록이 약해 가정을 지키기 어렵다.
여성은 부부운이 순탄치 않아 재취로 가면 무난.
楊柳枝曲之木,自庫木.꾸불꾸불한 버드나무가지의 나무로 겨울과 물과 봄을 좋아한다.
(5)癸酉日柱 癸水(외약 정인, 내강 상관) 酉金(庚金정인10 辛金편인20)
癸酉日柱는 상관이 편인을 본 형태. 아래에서 생기운이 솔솔 올라오는 분위기.
상관은 자기능력을 백분 발휘해서 재능 있는 사람이 될 수 있다.
상관이 밀려오는 生氣運을 감당하지 못하고 흔들리면 오히려 일관성이 없을 수도 있다.
상관은 윗사람보다는 아랫사람에게 더 잘 한다.
상관이 편인을 본 것이기에 집중력이 상당히 뛰어나다.
직감력이 범인을 초월하는 것도 탁월한 편인의 덕분이다.
이러한 정황으로 인해서 癸酉日柱는 찬스에 강하다.
조용하게 기다리다 언제든 기회가 오면 자기목소리를 낸다.
가만히 앉아 있으면서 생각은 동서남북으로 분주하게 움직이며 그러다 글을 쓴다면 틀림없이 대단한 문장이 나온다. 두보나 이백처럼 日支에 편인이 있는 까닭이다.
풀이 : 裸體桃花. 女 :老郞이나 再娶 身旺이면 幼郞,女:일지桃花이니 幼郞,
好酒에 공상 많고 남을 의심.
여성은 첩살이, 사랑과 귀여움을 받으며 조용히 혼자 살기를 좋아하고, 매사 몰두, 어릴 때 큰病, 남편과 생사이별, 柱中 戊寅이 있으면 만사가 吉하지 못하기도 한다.
石孔流泉之金, 堅成金. 물이 솟아 나오는 金石의 金으로 나무와 寅卯를 좋아한다.
(6)癸亥日柱 癸水(외약 정인, 내강 상관) 亥水(戊土정관7 甲木상관7 壬水겁재16)
상관이 겁재를 보고 있는 형상. 상관과 겁재는 서로 인연이 친밀해 보인다.
겁재인 亥水에도 상관이 있다.
주체성인 겁재에 생동감 넘치는 상관이 들어있으니 자기 멋대로 인생을 살아가며, 총명하다.
癸水에서 甲木으로 흐르는 것은 생동감으로 느껴진다.
그리고 하나의 끝에서 또 다른 시작을 암시하는 통과다리의 몫을 하고있는 甲木이다.
癸亥日柱로써 소동파와 왕양명(陽明)이 있다.
왕양명(陽明)은 대단한 자존심으로 자신의 길(陽明學)을 갔다.
주자의 학설조차도 따르기를 거부했다.
풀이 : 역마. 음양착차. 女: 小室 生死離別, 老郞이나 再娶 身旺이면 幼郞,
戊(정관)癸合火
매사 침착, 외모 얌전 독립단행으로 자력개발, 간혹 손재수, 속은 개방적․활발․유능하고 최종이익을 기다림. 부부운이 순탄치 못하여 苦情.
女命 : 지장간에 戊(정관)癸合火하니 貪官에 정신없다.
遠出大海之水, 臨官水. 작은 물이 모여 대해를 이룬 물로 金土火를 좋아한다.
출처 http://blog.naver.com/deckerd7
---------------------------------------------------------------------------------------
완벽 해설! 60가지 사주체질
생일로 풀어보는 나의 운세·성격·건강
사람은 태어난 생일에 따라 60가지 사주 유형 중 하나에 속한다.
‘나’의 본 모습을 가장 잘 나타내는 생일의 60갑자로 성격·혼인·질병·운세 등을 살펴보는 비법을 공개한다.
참고로 이 글을 보다 쉽게 이해하려면 본 권말부록중 ‘역대대통령·재벌총수의 사주와 운명’편을 먼저 읽어보는 것이 좋다.
정경대 < 철학박사 >
사주는 개인의 운세뿐 아니라 타고난 오장육부의 허실을 따져 건강을 살펴볼 수 있으므로 예방의학 측면에서 매우 유용하다.
그런데 모든 사람의 사주팔자를 하나하나 풀이할 수는 없으므로 일주(日柱), 즉 태어난 생일을 기준으로
성격·혼인·질병·운세 등을 설명해보고자 한다.
독자 여러분은 무엇보다 태어난 날짜의 간지를 만세력에서 찾아보고 분명하게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
가족의 운세도 살펴보고 싶으면 마찬가지로 가족의 음력 생일의 간지(日柱)를 기억해두자.
물론 가장 바람직한 것은 사주팔자를 전부 아는 것이다.
그러나 생일의 간지만 알고 있어도 어느 정도 자신의 운세와 질병 원인에 대해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오장육부 중 기가 약한 부위를 사주에서 찾아내 음식으로 치유하면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아래의 오행 음식요법을 익히면 크게 도움이 되므로 미리 기술해두고자 한다.
-火氣(심장·소장)가 허약한 경우는 쓴맛 나는 음식이 좋다: 냉이, 쑥, 쑥갓, 취나물, 익모초, 해바라기 씨, 은행, 커피, 소주, 인삼, 더덕, 도라지, 조, 다시마, 두릅나무, 솔잎, 양고기, 칠면조, 메뚜기, 불개미, 옥수수, 수수, 녹두, 도토리묵, 토마토, 오이, 가지, 콩나물, 고사리.
-土氣(비장·위장)가 허약한 경우는 단맛 나는 음식이 좋다: 기장, 피, 호박, 대추, 고구마 줄기, 미나리, 시금치, 연, 단감, 꿀, 양배추, 홍당무, 감자, 설탕, 쇠고기, 토끼고기.
-金氣(폐·대장)가 허약한 경우는 매운맛 나는 음식이 좋다: 율무, 현미, 마늘, 풋고추, 양파, 파, 무, 표고버섯, 배추, 생강, 구정과, 복숭아, 배, 겨자, 고추냉이, 어패류, 동물의 허파.
-水氣(신장·방광)가 허약한 경우는 짠맛 나는 음식이 좋다: 검은콩, 미역, 메밀, 다시마, 간장, 된장, 파래, 수박, 가지, 돼지고기, 해삼, 개구리, 지렁이, 젓갈류.
-木氣(간·담)가 허약한 경우는 신맛 나는 음식이 좋다: 보리, 팥, 밀, 깨, 감자, 땅콩, 오미자, 사과, 귤, 완두콩, 강낭콩, 딸기, 잣, 호두, 오렌지, 부추, 김치, 칡, 모과, 민들레, 닭고기, 개고기, 메추리, 동물의 간.
甲子日(갑자일): 갑은 木, 자는 水
갑목(甲木)이 쥐띠 자(子)날에 태어났다. 子는 음에서 양기를 잉태하는 기의 부호다. 즉 만물을 잉태하는 부호로서 자식을 의미하는 문자를 쓴 것이다.
그래서 자(子)는 여성의 생식기인 자궁에 해당하며 신장(腎臟) 기능을 의미한다. 만약 사주의 월과 시에 토끼띠(卯)나 닭띠(酉)가 있으면 성병에 걸리거나 생식기, 자궁, 유방에 병이 생기기 쉽다.
갑자(甲子)는 만물을 잉태시키는 기질이어서 늘 마음이 바쁘고 남의 일에 신경 쓰는 일도 많다. 그러나 어둠 속의 양기이기 때문에 속마음을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인정이 많은 듯하지만 계산이 분명할 뿐만 아니라 그 속은 냉정하다. 사주 지지에서 묘(卯)가 있으면 다재다능하고 예술적인 기질이 뛰어나다.
그런데 자(子)는 양기가 방금 싹터 나온 것이므로 몹시 인색하고, 급히 자라고 싶은 욕망에 우쭐대기 좋아하고, 재물욕도 강하다. 그래서 일찍 고향을 떠나 객지에서 동분서주하지만 과욕을 버리지 않으면 반드시 실패한다.
만약 사주에 수(水)나 목(木)이 둘이나 셋이 더 있다면 낭비가 심해서 허랑방탕해지고 이해타산에 따라서 사람을 사귀는 경향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타인을 심하게 미워하기도 한다. 하지만 자신의 결점을 잘 알고 적은 것에 만족하며 마음을 잘 다스리면 천부적인 복을 누릴 수 있는 운명이다.
사주에 축(丑)이나 미(未)가 있으면 북두칠성의 기와 연결된 복된 팔자이므로 재앙에서 구원받을 뿐 아니라 늘 귀인의 도움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이웃과 하늘에 겸손하고, 타인에게 덕을 베풀 때 자신은 물론 자손도 귀하게 된다.
결혼은 기(己)나 축(丑)운에 하거나 신(申), 진(辰)에 하기도 한다. 기축(己丑) 일주를 가진 사람을 만나면 해로하고 경오(庚午) 일주의 배우자를 만나면 이별하기 쉽다. 병(丙)이나 오(午)가 하나만 있으면 싸우면서도 헤어지지 않는다.
乙丑日(을축일): 을은 木, 축은 土
을목(乙木)이 축(丑)에서 간신히 뿌리를 내리고 있다. 축(丑)은 소띠로서 자(子)에서 잉태한 양기가 가득해졌음을 의미하며 곧 고뇌 속에서 만물을 출산하려는 형상이다. 따라서 태어나 죽음에 이르기까지 고통스러운 삶을 살아야 하므로 감상적이고 눈물도 많다.
사주팔자에 미(未)나 오(午)가 하나 있고 금수(金水)가 강하면 저혈압 증세가 나타나고 대장과 위도 따라서 나빠진다. 만약 여성이라면 냉이 많고 물혹이 생길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런 사람은 화(火)가 약하므로 쓴 음식을 많이 먹고 몸을 따뜻하게 해야 한다.
반대로 미(未), 술(戌), 오(午)가 있으면 신장, 방광이 허약하고 생식기 병이 우려된다. 이럴 때는 맵고 짠 음식이 몸에 맞는다.
배우자의 생일이 경자(庚子)이면 궁합이 잘 맞아서 헤어지는 법이 없다. 단 신미(辛未) 일주와 만났다면 이혼할 확률이 매우 높은데 사주에 병화(丙火)나 오(午)가 있으면 구제받는다.
이 일주는 태아와 같기 때문에 풀잎처럼 연약한 마음이 있고 사물에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 그러나 결코 꺾이지 않는 의지력이 있어 이상을 향한 욕망을 굽히지 않는다. 다만 인덕이 없는데다 홀로 서려는 몸부림이 강하게 작용하므로 매사에 겁내고 작은 일에도 신경을 곤두세우고 고민한다. 인정에 여리고 감상적이어서 눈물도 많다. 그리고 남의 신세를 안 지고 스스로 일어나서 타인에게 인정을 베푼다. 즉 소처럼 부지런히 일해서 덕을 베푸는 것이다. 그래야 인정을 받고 비로소 복을 누리게 된다.
丙寅日(병인일): 병은 火, 인은 木
병화(丙火)는 타오르는 불꽃이며 만물을 환히 드러내게 하며, 범띠 인목(寅木)은 축(丑)에서 잉태된 만물이 터져나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엄숙한 이상과 위풍이 엿보이며 불꽃처럼 대단한 욕망으로 나타난다.
사주에 경(庚), 신(辛), 유(酉), 신(申)의 금기(金氣)가 하나나 둘이 있고 목(木)이나 화(火)가 많으면 폐와 대장에 큰 병이 올 수 있다. 또 임신(壬申)이 월이나 시에 있고 금수(金水)가 많으면 심장과 소장에 병이 오기 쉽다. 단 화토(火土)가 많으면 폐와 위장에 큰 병이 오고 여성은 자궁에 근종이 생기기 쉽다. 따라서 몸이 더우면 맵고 짠 음식, 몸이 냉하면 쓰고 신 음식을 많이 먹고 위가 나쁘면 단맛 나는 음식을 섭취해야 한다.
본래 병인일의 성격은 빛을 밝히고 만물을 태어나게 하므로 지모가 출중하고 성격도 저돌적이며 솔직담백한 면이 있다. 화를 잘 내기도 하지만 돌아서면 곧 잊어버린다. 의리를 내세우고 능수능란하게 젊은 날을 보내며 한때 성공하지만 늙어서 고독해질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하고 수행지심으로 자신의 마음을 절제해야 한다.
재물은 보통 넉넉하겠지만 지출이 많다. 특히 목(木)과 화(火)가 많으면 더욱 그렇다. 신(申)이나 사(巳)가 있으면 형벌을 받거나 구설수에 오른다. 이때 해(亥)와 유(酉)가 있으면 구원받는다.
부모형제 운이 미약해서 자수성가해야 하며, 남성은 여성편력을 절제해야 한다. 그런데 병인(丙寅) 일주는 여성편력이 많으면서도 교묘한 지혜로 타인이 눈치채지 못하며 가정을 소중하게 여기므로 불행을 면한다. 그러나 스스로 색에 이끌리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을 절감하고 절제하면서 성미만 고치면 늙어서도 편안한 여생을 보낼 수 있을 것이다.
신해(辛亥) 일주의 배우자는 궁합이 잘 맞는데 만약 병인(丙寅)일에 신(申)이 있고 임수(壬水)가 있으면 헤어지기 쉽다. 단 병화(丙火)에 임(壬)이 있고 인(寅) 옆에 해(亥)가 있으면 싸우면서도 헤어지지 못한다.
丁卯日(정묘일): 정은 火, 묘는 木
정화(丁火)는 따뜻하고 은근하게 타는 불빛이며 불씨에 해당한다. 그리고 묘목(卯木)은 토끼띠로서 여린 새싹과 같아서 유약한 듯하면서도 솟구치는 뜨거운 욕망을 나타낸다. 월이나 시에 쥐띠 자(子)나 닭띠 유(酉)가 있으면 성병에 걸리거나 여성은 유방이나 자궁에 병이 올 수 있다. 특히 색에 대한 욕망이 뜨겁게 달아오르므로 가정을 등한시할 수도 있으므로 조심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나 다른 지지에 해(亥)가 있으면 이성에게 눈을 돌리지 않는다.
묘(卯)는 토끼로서 색을 즐기는 동물이다. 따라서 이런 사람은 육신을 관리하면서 절제하는 수행심을 가지면 천부적인 두뇌로 크게 성공할 수 있다. 특히 관광업이나 인기직종에서 거액을 모으기도 한다.
성격은 내성적이어서 속으로 애태우는데 스트레스를 풀지 못해 동분서주한다. 그리고 늘 마음이 바쁘고 어부지리를 얻으려는 성정이 있으며 먼 피안의 세계를 동경하기도 한다.
이 사람은 총명하면서도 선견지명이 있고 용모도 아름다운 편에 속하는데 위로만 뻗어나가려는 기질과 색을 그리워하는 마음으로 인해 중년까지는 편안해도 이후에 불행해질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부모 형제 덕이 없어서 초년부터 외롭게 분주한 인생을 보내는데 자신의 결점을 잘 인식하고 세상의 풍파에 대처해야 한다. 특히 여성의 경우 수(水)가 많으면 많은 남성으로 인해 해를 입을 수 있다.
사주팔자로 자신의 결점을 파악하고 미래가 좋은지 나쁜지를 알았으면 능히 바꿀 수 있는 지혜가 필요하다. 그러면 무엇으로 자신의 운명을 바꿀 수 있는가? 바로 마음이다. 결점을 알았으면 고치려 하고 나쁜 습관을 버리고 좋은 습관으로 길들이는 것이 중요하며, 끊임없이 꿈을 키우되 그릇된 생각은 버리고 오직 한 생각으로 매진하면 이루지 못할 것이 없다.
결혼은 임술(壬戌)의 배우자를 만나면 해로하고 계유(癸酉) 일주를 만나면 이별하기 쉽다. 그러나 임(壬)이나 술(戌)이 있으면 싸우면서도 헤어지지 않는다. 결혼은 해(亥), 미(未), 임(壬)운에 한다.
戊辰日(무진일): 무는 土, 진은 土
남녀 모두 무진(戊辰)일에 태어났으면 본인, 배우자 혹은 형제의 위장병을 조심해야 한다. 특히 위암의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명심하라. 그러나 축(丑)이나 미(未)가 있으면 구원받는데 운에서 축(丑)과 미(未)가 충하면 무서운 병을 앓을 수 있다.
대체로 무진(戊辰)은 위가 크고 습하며 기가 헝클어져 있으며 좋지 못한 균이 서식하기 쉽다. 만약 목(木)이 강하면 더욱 분명해진다. 실례로 戊辰월에 목이 강한 사주를 보자. 심한 위장병을 앓고 있는 환자의 사주(甲寅년 戊辰월 己卯일 乙丑시)를 보면 일간 기토(己土)가 무(戊), 진(辰), 축(丑)에 뿌리를 내리고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 그런데 인(寅), 무(戊), 진(辰)이 합되어 목(木)으로 변하고 갑목(甲木)이 무토(戊土)를 극하고 묘목(卯木)이 축토(丑土)를 극한다. 따라서 목기(木氣)가 더욱 강하다. 목기(木氣)가 강하면 어진 성품이 병들어서 목소리가 크고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며 쉽게 흥분을 한다. 이러한 성격 때문에 간을 상하기 쉽고, 또 허약한 토기(土氣)를 심하게 극하므로 평생 위장병에 시달리게 된다. 또한 부모 형제 중에 위나 간 때문에 위험한 병을 앓고 비명횡사할 수 있는 사주팔자다. 이 사람은 쓰고 단맛 나는 음식을 계속 섭취하고 시고 짠맛은 피해야 한다.
대체로 무진(戊辰)년에 태어난 사람들은 피부가 검고 거칠며 피부병을 앓기 쉬운 체질이다. 그러므로 섭생을 바르게 해야 한다.
이 일주는 본래 준수한 용모에 무게가 있고 믿음도 있다. 만약 수행심으로 편안한 마음을 가진다면 재물을 크게 얻을 것이다. 수행심이 없으면 하는 일마다 장애가 따르고 이루지 못할 이상에 조급해하다가 크게 실패한다.
또 남성은 두 여자를 거느릴 팔자이기 쉽고 여성은 남편과 시부모 혹은 친정 부모를 극해서 일찍 이별할 수도 있으며 자기 자신이 비운에 쓰러질 수도 있다. 따라서 이 사람은 정성을 다한 수행심이 요구된다. 부지런히 재산을 모았으면 부지런히 베풀어서 덕을 쌓아야 나중에 비운을 맞지 않는다.
결혼은 유(酉)나 신(申), 자(子)운에 하고 갑술(甲戌) 배우자를 만나면 이별하기 쉽고 술(戌)운에 크게 싸운다. 그러나 계(癸)가 있거나 유(酉)가 있으면 싸우면서도 헤어지지 않으며 계유(癸酉) 일주 배우자를 만나면 해로한다.
己巳日(기사일): 기는 土, 사는 火
기토(己土)는 만물의 형상을 갖추게 하고 뱀띠 사화(巳火)는 양기가 충만하여 용광로처럼 뜨거운 위력이 있다. 그런데 사화(巳火)에는 경금(庚金)이 내재되어 있어서 얼굴보다 몸이 맑다.
미(未), 술(戌)이 있고 수(水)와 금(金)이 하나씩 있으면 신장, 방광, 폐, 대장이 허약하고 또 오(午)가 있으면 몸에 열이 많아서 여성은 자궁에 근종이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신(申)이나 자(子)가 하나만 있어도 일생 동안 위험한 병을 앓지 않는다. 단 신(申)이 있을 때 인(寅)이 없어야 하고, 자(子)가 있을 때 오(午)가 없어야 한다. 특히 일주의 사(巳)는 해(亥)와 인(寅)을 두려워 한다. 사주팔자에 해(亥)와 인(寅)이 없어도 대운이나 연운에서 이를 만나면 기이한 사고를 당하거나 심하면 감옥에 가고 죽음에 이를 수도 있다.
배우자의 사주 일주에 을해(乙亥)가 있으면 이별하기 쉬운데 갑(甲)이나 신(申)이 있으면 위기를 넘길 수 있다. 결혼은 유(酉), 축(丑), 신(申)운에 하고 배우자의 일주가 갑신(甲申)이면 해로한다.
성격은 소극적이면서도 뛰어난 재주가 있고 타인의 충고를 듣지 않는 고집이 있다. 화도 잘 내고 때에 따라서는 극단적인 성격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반면에 감정이 풍부하여 기술이나 문학에 조예가 깊다. 용모도 좋고 목소리도 아름다워 매력적인 사람이 많다. 따라서 물질보다는 정신적인 일이 좋고 덕을 베푸는 일이 즐겁기도 하다.
천덕이 있어서 어려운 일에 봉착해도 무난히 벗어날 수가 있고 평생 먹을 복도 있다. 다만 사주에 인(寅)이나 해(亥)가 있으면 타인에게 욕을 많이 먹기도 하는데 시에 있으면 해외에 이주하거나 해외 나들이가 많아진다. 그리고 무역업으로 크게 성공하기도 한다.
아무튼 운명과 건강은 함께하는 것이기에 스스로 판단해서 허약한 기는 음식으로 다스려서 오장의 기능을 평등하게 해야 한다. 오장의 기가 평등하면 마음도 평화로워지고 그러면 운명의 파노라마도 없어진다.
庚午日(경오일): 경은 金, 오는 火
경오(庚午)는 단단한 금속처럼 응결시키는 정기가 있으므로 만물을 실하게 하고 말띠 오화(午火)는 따뜻한 불빛에 해당한다.
미(未)나 술(戌) 또는 인(寅)이나 사(巳)가 함께 있으면 화기(火氣)가 많아서 대장이 병들기 쉽고, 유(酉)와 신(申)이 있고 목(木)이 하나 있으면 간, 담이 허약하며, 신장, 방광도 허약하다. 만약 토(土)와 금(金)이 많고 목(木)이 하나나 둘이 있으면 소아마비에 걸리기 쉽다. 태어날 때도 금(金)운이라면 지체부자유자가 되는 사람이 허다하다. 이때 축(丑)이나 미(未)가 있으면 구원받는다.
이 사람의 성격은 언변에 조화가 있고 능수능란하게 처세도 잘하는데 음성에 힘이 있고 아름다워서 타인의 호감을 산다. 그리고 경우가 밝고 일을 반듯하게 잘 처리한다. 그러나 배우자의 일주가 병자(丙子)이면 이별하기 쉬운데 을목(乙木)과 미토(未土)가 있으면 구원받기도 한다.
결점은 오화(午火)는 양기를 밀어내고 음기를 받아들이려는 기질이 있기 때문에 사람을 심하게 미워하거나 이룰 수 없는 이상을 동경해서 방황하며 불로소득을 꿈꾸는 경우가 허다하다. 특히 수(水)가 강하면 예술성이 있는 반면에 그런 현상이 일어나기 더욱 쉽다. 무슨 일이든 꼼꼼하지 못하고 낭비가 심할 수 있으며 좋은 음식을 찾아 먹으면서 즐기고 놀고 싶은 욕망도 강하다. 더욱이 주색을 탐닉할 수 있으며 돈놀이나 계모임을 좋아하다가 크게 실패하는 사람도 많다.
그러나 오(午) 중에 기토(己土)가 있어서 자상하고 학문적이며 종교적인 일면도 있어서 타인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지 않으므로 자신의 장점을 살려서 초지일관하면 평생 복덕을 누릴 것이다.
결혼은 늦게 하는 것이 좋고 부모 유산을 받아도 잃기 쉬우니 미리 대비하는 것이 좋다. 혼인운은 을(乙), 미(未), 인(寅), 술(戌)에 있다.
辛未日(신미일) : 신은 金, 미는 土
신금(辛金)은 낙엽이 나무에서 분리되고 사람은 죽음에 이르는 것과 같다. 양띠 미(未)는 음기가 자라나서 장차 죽음으로 갈 준비를 하는 잡된 기의 뭉침이다. 그러므로 같은 토기(土氣)인 축(丑)과 술(戌)이 있고 수(水)가 취약하면 생식기에 병이 오고 여성은 자궁에 큰 병이 생길 수 있다.
신미일에 태어나 에이즈에 걸린 남성의 사주를 살펴보자(更子년, 丙戌월, 辛未일, 戊子시). 사주에 토기(천간의 戊, 지지의 戌과 未)가 큰 세력을 형성해 한 개의 경금(庚金)과 두 개의 자수(子水)가 극을 받아 기력을 상실하고 있다. 따라서 천성적으로 폐와 신장, 방광이 허약한 체질을 가지고 태어났으므로 유달리 색을 밝히는 사람이다. 즉 폐가 허하면 색을 그리워하므로 그 속성에서 벗어날 수 없었던 것이다. 또한 오장육부에 열이 많고 신장과 폐가 허약하니 혈액순환이 여의치 못하다. 이 사람은 29세부터 을축(乙丑)대운에 접어들어 축술미(丑戌未) 삼형(三形)에다 자축(子丑)이 합해 토(土)가 되니, 성욕을 억제하기 어렵다. 결국 이 때문에 에이즈 환자가 됐다.
축술미(丑戌未)는 잡기(雜氣)이고 신금(申金)이 건조해서 광적인 히스테리까지 있다. 동시에 폐가 허약하면 비통해하는 기질마저 있다. 따라서 폐기는 더욱 허약해지고 신장의 기는 점점 고갈되어 성병이나 당뇨에 걸리기 쉬운 것이다. 만약 신장과 폐에 이상이 없다 하더라도 이런 사주는 위암에 걸릴 확률도 대단히 높다. 왜냐하면 건조해서 혈액순환이 순조롭지 않는데다 병에 대한 저항력이 약하기 때문이다.
신미 일주의 배우자 궁합은 병오(丙午)가 좋은데 정축(丁丑)이 신미(辛未)와 붙어 있으면 이별하기 쉽다. 수(水)가 많은데 화(火)가 약하면 남성은 명예를 훼손하고 여성은 이별수가 있다. 금(金)이 많고 목(木)이 적으면 남성은 처를 잃기 쉽다. 보통 결혼은 병(丙)운이나 오(午)운 그리고 해(亥)나 묘(卯)운에 한다.
성격은 인정이 많으면서도 냉정하기 쉽고 한번 마음이 뒤틀리면 상대방을 심하게 미워한다. 특히 월에 유(酉)가 있으면 비애에 젖기 쉽고 감상적이어서 잘 울고 잘 웃는다. 그래서 신미(辛未)는 정도 많고 한도 많은 사람이다. 그리고 자신도 모르게 오기가 치솟아서 심하게 화를 내거나 폭력을 휘두르기도 한다. 단 무슨 일이든 마음의 결정을 내리면 막무가내로 고집을 부리는데 부모형제가 방해가 되면 냉정하게 등을 돌리는 기질이 있다. 그러면서도 내심 불안하고 초조해져서 근심에 싸인다. 그런데 더 큰 결점은 한가지 일을 끝맺기도 전에 또 다른 일에 손을 댐으로써 크게 손해 보고 구설수에 오르며, 그로 인해 늘 누군가를 원망하는 기질이 있다. 이런 현상은 나이가 들수록 심해져서 직업이나 주거 변동이 많고 부부 사이도 점차 냉랭해진다.
젊은 시절에 밖으로 나돌기를 좋아하고 주색을 가까이 하는 것도 이별의 기운이 흐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사람은 수행지심이 지극히 필요하며 자신의 결점을 고치는 데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불행한 일생을 보내지 않는다.
壬申日(임신일): 임은 水, 신은 金
임수(壬水)는 성질이 검고 흐르는 기질이 있으며 정력이 강한 특성이 있다. 원숭이띠 신(申)은 경금(庚金)의 응집력을 계승해서 부지런히 만물을 완성하는 구실을 한다. 그래서 임신(壬申)일에 태어난 사람은 정력가이자 피부가 검은 편에 속한다. 예술성과 임기응변의 재치가 뛰어나서 수단도 좋고 때에 따라서는 간교해지기도 한다. 그런데 수(水)와 금(金)은 본래 차가운 성품이 있어서 몸도 마음도 냉정해지기 쉽다.
대체로 몸이 찬 사람은 신(申), 유(酉), 해(亥), 자(子), 축(丑), 진(辰)월에 태어난 사람이다. 이런 사람은 인(寅), 술(戌), 사(巳)에 오(午), 미(未)가 두 개 있고 천간에 목(木)과 화(火)가 있으면 건강도 좋고 부귀를 함께 누린다.
그러나 목(木)이나 화(火)가 천간에 하나만 있고 지지에도 하나밖에 없으면 재물운도 없고 명예운도 없다. 즉 금수(金水)가 많으면 재물을 모으기 어렵고 부부관계도 냉랭하다. 심장과 소장도 허약하다.
임신(壬申)일에 태어났으나 토(土)가 많으면 출세욕에 명예를 손상할 수 있으며 허약증세로 자리에 눕기를 좋아하고 매사에 의욕이 없어진다. 금(金)이 많으면 간, 담도 나쁘고 식욕이 없어서 몸이 마른다.
성격은 간교한 지혜로 인해 운명을 해칠 수 있다. 그러므로 날카로운 지혜를 감추고 모자란 듯이 묵묵히 일만 차근차근 해나가면 크게 성공한다. 작은 것에 만족할 줄 알아야 하는 것이다.
신금(申金)은 임수(壬水)에서 맑아지므로 음성에 힘이 있고 낭랑하다. 그러므로 평소에 음성에 힘을 잃었거나 변질되면 금(金)이 수(水)에 가라앉은 것이므로 건강과 운명에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너무 큰 일에 도전했다가 이때를 당하여 실패의 징조가 나타나고 한 번 실패하면 아까운 재능을 썩이고 더부살이 인생으로 전락한다.
하지만 이 태생은 불 같은 내성이 있으면서도 겉으로는 태연한 모습을 보일 뿐만 아니라 학문에 대한 열정도 있고 지혜가 충만해서 다재다능한데다 용모도 아름다운 편에 속하고 말을 할 때 위엄도 있고 유머 감각도 뛰어나다.
이런 장점을 잘 살려서 가끔 일어나는 변덕심만 절제하고 한 가지 일에 초지일관하면 대성한다.
결혼은 정(丁), 사(巳)운과 자(子), 진(辰), 유(酉), 술(戌)운에 오고 배우자가 무인(戊寅) 일주면 이별하기 쉽다. 단 천간에 정(丁)이 있고 지지에 인(寅)이 있거나 지지에 인(寅)이 있고 천간에 무(戊)가 있으면 싸우면서도 헤어지지 못한다. 여성은 목(木)이 강하고 토(土)가 허약하면 남편과 이별하기 쉽고 남성은 명예를 손상한다. 그러나 사(巳)나 묘(卯)가 있으면 구원받을 수 있으며, 화(火)가 허약하지 않으면 밖으로 나돌기 좋아하고 특히 시에 있으면 해외에도 자주 나가고 이주할 수도 있다.
癸酉日(계유일): 계는 水, 유는 金
전두환 전대통령이 이 일주와 같은데, 계수(癸水)는 추운 겨울에 해당하여 봄을 그리워하고 닭띠 유금(酉金)은 열매를 맺게 하며 이별의 기운이 감도는 기질이 있다. 그러므로 고독한 심성으로 한적한 산중을 그리워하면서도 세속을 떠나지 못하는 팔자다.
신(申), 유(酉)월에 태어났으면 고독한 심성이 더욱 심한데 목화(木火)가 많으면 건강하고 부귀하나, 목화(木火)가 적으면 심장, 소장에 병이 온다. 술(戌), 미(未), 오(午), 사(巳), 인(寅)월에 태어나고 목화(木火)가 많으면 신장, 폐가 허약하고 토(土)가 많으면 신장이 허약하다.
성격은 한번 마음먹으면 끝까지 성취하고야 마는 욕망이 대단하다. 사람과 사귀되 이해타산을 따져서 덕이 되면 가깝게 지내고 덕이 되지 않으면 멀리하는 기질이 있다. 그리고 이 사람은 하나를 배우면 열 가지를 써먹는 재주가 있는데 타인이 보면 많이 아는 것 같지만 실은 속이 빈 사람이 많다.
예술적 재능도 뛰어나고 문학성도 있다. 손재주도 비상해서 한번 보면 잊지 않고 써먹을 수 있는 천재적인 두뇌가 있다. 그 명석함 때문에 무슨 일이든 타인에게 일을 맡겨도 안심하지 못하고 직접 확인해야 직성이 풀린다.
계수(癸水)는 어디든 스며드는 성질이 있다. 그래서 이익 되는 곳에 끼어들기를 좋아하고 빠지지는 않는다.
남녀 모두 이성을 그리워하는데 자(子)와 유(酉), 묘(卯), 오(午)가 있으면 더욱 분명해진다. 만약 여성이라면 화류계에 종사할 수 있으며 혼인 후에도 가정을 어지럽힐 수 있다. 남성은 난잡한 성관계 때문에 일신을 망칠 수도 있다. 그러나 사(巳)와 묘(卯)가 있으면 구원받는다. 대체적으로 처음 만난 사랑은 실패하기 쉽고 때로는 애인과 헤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혼인하는 수도 있다. 따라서 항상 측은지심으로 인정을 베풀고 조상의 음덕을 잊지 않아야 한다.
결혼은 사(巳), 축(丑), 진(辰), 신(申), 술(戌)운이나 무(戊)운에 오고 무(戊), 기(己)나 경(庚), 인(寅)에 연애하고 묘(卯)에 헤어진다. 배우자가 무진(戊辰)이나 병오(丙午)면 해로하고 기묘(己卯)면 이별하기 쉽다. 천간이 무(戊)고 지지가 사(巳), 진(辰)이거나 지지가 묘(卯)이고 천간이 무(戊)이면 싸우면서도 헤어지지 않는다.
甲戌日(갑술일): 갑은 木, 술은 土
갑술(甲戌)은 싹을 틔우기 위해 껍질을 터뜨리는 모습이며 하늘의 진리를 펴는 기운을 머금고 있고, 개띠 술토(戌土)는 화기(火氣)를 머금고 겨울을 대비하는 기질이 있고 동시에 만물을 죽음으로 끌고 가서 백(魄)을 내장하는 살기(殺氣)이기도 한다.
그러므로 술토(戌土)가 월에 있고 금수(金水)가 강하면 심장 수술과 같은 큰 사고를 입을 수가 있다. 실제로 심장 수술을 받고 현재 인공 심장으로 연명하는 남자의 사주(丁丑년 庚戌월 壬辰일 壬寅시)를 보자.
이 사주는 월주의 술토(戌土) 중에 정화(丁火)가 잠복해 있는데, 정화는 심장에 속한다. 그런데 지지의 축(丑)과 진(辰)이 술토에 숨어 있는 정화를 극파하고 있다. 그리고 술은 기본적으로 살기(殺氣)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 사람은 54세 이후 진(辰) 대운에 이르러 심장 대수술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이 사람의 경우 인삼이 가장 좋은 약이 된다.
또 갑술 일주는 미(未)와 축(丑)이 있으면 색난으로 인한 생식기 병과 여성의 자궁에 근종이 올 수 있으며 심하면 자궁암도 유발한다. 또 위가 건조해서 큰 병을 앓을 수 있으며 당뇨를 앓을 수도 있다.
사주에 토(土), 금(金)이 많으면 간, 담에 병이 온다. 간암으로 사망한 남자의 사주(乙酉년 乙酉월 甲戌일 癸酉시)를 보자. 팔자의 구성을 한눈에 보아도 목기(木氣)인 간이 얼마나 허약한지 알 수 있다. 갑목(甲木) 일간이 지지에 뿌리를 내릴 곳이 없고, 두 개의 을목(乙木)마저 유금(酉金)이 바로 밑에서 기를 꺾어버리는 형국이다. 이렇게 목기가 땅, 즉 지지에서 인연을 찾지 못하는 것은 태어날 때부터 이미 간이 폐기의 강한 기운에 억압을 받아 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1990년 경오년에 간암으로 사망했는데, 평소 간기를 보충해주는 신맛 음식을 집중적으로 섭취했더라면 생명을 더 연장할 수 있지 않았을까.
이 일주의 성격은 자유분방해서 한곳에 몰입하기 어렵고 번뇌도 심하다. 의욕이 넘치지만 성격이 과격해서 항상 난관이 뒤따른다. 그러면서도 갑목(甲木)의 기운은 풍부한 감정으로 낭만을 즐기는 성품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낭만적인 성품 때문에 처음에는 호감을 갖게 하지만 나중에 미움을 살 수도 있으므로 불끈 솟아오르는 기질을 잘 다스려야 한다. 의타심도 있다.
남성은 여색을 즐기려 하는데 인내하지 않으면 나중에 망신한다. 남녀 모두 불로소득의 횡재운을 꿈꾸기에 도박에 빠져들어 일생을 허망하게 보낼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그리고 이 일주는 남의 보증을 서거나 계놀이를 하면 크게 후회하게 된다. 황홀한 유혹에 빠지기 쉬워서 늘 실패가 따르는데 주관을 뚜렷이 하고 자기 분수만 지키면 반드시 크게 성공한다.
의로운 용기는 좋은데 지나친 면이 있고 이해심과 사려도 깊지만 덤벙거리는 기질 때문에 재난을 당할 수 있으며 말 속에는 가시가 섞여 있어서 타인의 마음을 상하게 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자신의 결점을 고치고 차근차근 살아가면 만년이 아름답다.
결혼운은 부부간에 고운 정보다 미운 정이 많아서 50대에 이별할 수 있고 자식과도 멀어질 수도 있으므로 미리 대처해야 한다. 미혼인 사람은 오(午), 묘(卯), 신(申), 인(寅)운이나 기(己)운에 결혼할 수 있고 경진(庚辰)일주의 배우자를 만나면 이별하기 쉽고 기(己)나 묘(卯)가 있으면 싸우면서 헤어지지 않는다.
乙亥日(을해일): 을은 木, 해는 水
을목(乙木)은 갑목(甲木)이 껍질을 떨어뜨린 다음 솟아나는 여린 싹에 해당한다. 돼지띠 해(亥)는 만물의 혼을 끌어안고 다음 생을 싹틔우려는 기질을 머금고 있다. 그러므로 음지와 추위를 싫어하고 따뜻한 인정과 양지를 그리워한다.
건강은 속이 냉하기 때문에 오장이 모두 좋지 않다. 특히 수(水)와 금(金)이 많으면 더욱 그렇다. 심장, 소장, 폐가 매우 허약하고 따라서 위도 나빠진다. 이런 경우 정력은 왕성해서 신장, 방광이 강한데, 많이 사용하여 오히려 신장이 나빠지고 폐도 따라서 나빠진다.
수목(水木)이 많으면 신경질이 많고 과격하며 심하게 괴로워하거나 타인을 미워한다. 그러나 화토(火土)가 있으면 평등해지고 건강도 좋다. 화(火)가 하나만 있고 금수(金水)가 강하면 저혈압에 시달린다.
성격은 겉보기에는 온화해 보여도 굽힐 줄 모르는 의지가 있다. 다만 사주에 인(寅), 사(巳)가 있으면 배신을 당하기 쉽고 형벌을 받기도 하고 사고로 수술도 하게 된다. 그래서 늘 타인을 원망하는 기가 상존한다.
그러나 천성이 학문을 좋아하고 어질기 때문에 구원받는다. 자(子)와 신(申)이 있거나 병(丙), 신(辛)이 있어도 구원받는다. 천성이 풍류를 즐기려 하는 을목(乙木) 새싹의 청순함 때문에 그릇된 일에 물들지 않고 정직하고 외곬 기질이 있다. 그런 한편 깨끗함을 좋아하고 결백하고 고지식해서 사회생활에 적응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또 존경받는 인품이지만 인정이 야박하고 인덕이 없어서 나중에 한탄한다. 강한 자존심을 굽히고 고개를 숙여 겸손하면 크게 명성을 얻을 것이다.
큰 결점은 내성이 조급한데다 빨리 싫증 내며 때에 따라서는 선악을 분별하지 않고 빠져들기 쉽다는 점이다. 그러나 천성이 착해서 악을 따르지 않아서 구원받고 나중에 타인을 구원하는 일에 종사한다.
만약 수(水)만 많고 화(火)가 적은데 진(辰), 축(丑)이 있으면 잇속을 챙기려 든다. 그리고 잔머리를 굴려서 천부적인 두뇌를 썩이고 이익에 광분하다가 일생을 그르친다. 고집과 반항기, 그리고 자유분방한 성품도 큰 해가 된다. 그러므로 온유하고 겸손하게 사람을 대하고 덕을 베풀면, 사물에 대한 정확한 판단력과 사람의 마음을 꿰뚫어보는 명석함, 그리고 어진 성품으로 대성할 것이다. 초년은 방황하며 고생을 사서 하다가 중년 이후 크게 이루고 늙어서 크게 복을 누린다.
결혼운은 인(寅), 자(子), 묘(卯), 미(未)에 하고 경(庚)도 가능성이 높다. 묘(卯)와 자(子)에 연애하는데 묘(卯)에 연애하되 운이 자(子)이거나 혹은 자(子)에 연애하되 운이 묘(卯)인 대운과 세운이면 성병에 걸리기 쉽다. 자(子)와 신(申)을 만나면 구원받는다. 축(丑)운에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데 사주천간에 금(金)이 있으면 더욱 분명해진다. 배우자가 경인(庚寅)이면 이별하지 않는데 사(巳)가 있으면 헤어지기 쉽다. 특히 신사(辛巳)를 만나면 이별하는데 경(庚)이 있거나 인(寅)이 있으면 싸우면서도 헤어지지 않는다.
丙子日(병자일): 병은 火, 자는 水
병화(丙火)는 만물을 밝히는 화려함과 뜨거운 열정이 있고, 쥐띠 자수(子水)는 만물을 잉태시킨 이상향의 기질이 있다. 그래서 화려하고 사치하기를 좋아하고 성적 욕망이 강하게 작용한다.
사주에 묘(卯)나 유(酉)가 있으면 남자는 두 집 살림을 차리고 여성은 재취로 갈 운세가 되기도 한다.
특히 남성은 생식기 병을 조심해야 하고 여성은 자궁병이 우려된다. 더욱이 축(丑)이 있으면 여성은 냉으로 고생하고 물혹이 생길 수도 있다. 금(金)이나 수(水)가 많고 거기에 미(未), 술(戌), 인(寅), 사(巳)가 하나만 있으면 저혈압이 심하고, 갑(甲), 을(乙), 인(寅), 묘(卯)가 하나만 있고 금(金)이 많으면 간, 담에 병이 온다.
해(亥)와 유(酉)가 있으면 악살이나 위험한 병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러나 해(亥)가 있는데 사(巳)가 있거나 대운이나 연운에서 사(巳)를 만나면 위험하다. 유(酉)가 있는데 묘(卯)가 있거나 대운이나 연운에서 묘(卯)를 만나도 위험하다. 화토(火土)가 많으면 신장, 방광이 병들기 쉬운데 특히 술(戌), 미(未), 축(丑)이 있으면 생식기나 위에 문제가 생길 수 있고 여성은 이혼하기 쉽고 남성은 재물도 잃고 명예도 손상할 수 있는데 금(金)이 있으면 구원받을 수 있다. 아무튼 병화(丙火)는 목화(木火)가 강하고 지지에 술(戌)이나 미(未)가 있으면 뇌졸중, 중풍 등을 조심하지 않으면 안 된다.
성격은 비밀이 없이 모든 것을 드러내고 매우 현실적이며 이익을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사람이 많다. 대개 기가 편협되었으면 그러한데 특히나 적은 것에 집착해서 타인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데 정작 큰 것에는 함부로 돈을 내버리고 실패한다. 이익에 대한 욕망이 앞을 가렸기 때문에 이성적으로 판단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작은 일은 단호한데 큰 일에는 정신이 흐려져서 우유부단한 면을 보이고 변덕이 심해서 갈피를 잡지 못한다.
언변이 뛰어나니 설득력이 대단한데 목화(木火)가 있고 금(金)이 두 개만 있으면 천하에 설복하지 못할 사람이 없고 거부가 된다. 다만 병화(丙火)의 기질처럼 시작은 불 같은데 슬그머니 꼬리를 감추는 용두사미가 되기 쉬우므로 인내심이 필요하다. 만약 욕심을 줄이고 적은 것에 만족하면서 한 가지 일에 몰두하면 대성을 의심하지 않아도 된다.
화기(火氣)가 강하면 여성은 장식품이나 보석 따위를 좋아하고 화려한 의상을 좋아해서 낭비가 심하고 남성은 여성을 극하고 재물도 극한다. 화기(火氣)가 허약하면 여성은 남편복이 미약하여 재취로 갈 수도 있으며 수(水)가 강하면 저혈압에 시달리고 또 금(金)이 있으면 신기(神氣)를 배제할 수 없다.
본래 병자(丙子)일에 태어난 사람은 남성은 목소리에 힘이 있고 언변이 좋아서 여성에게 인기가 있고, 여성은 애교와 언행이 화려해서 남성의 시선을 한몸에 모은다. 그러므로 이런 것에 이성을 잃고 우쭐대지 말고 냉정하게 자신을 돌아보면 천부의 복을 누린다.
결혼은 축(丑), 신(申), 진(辰)운이나 신(辛), 경(庚)운에 하는데 배우자의 일주가 신축(辛丑)면 해로하고 임오(壬午)이면 이별하기 쉽다. 단 오(午)운이 오면 자주 싸우는데, 신(辛)이 있으면 이별하지 않는다.
丁丑日(정축일): 정은 火, 축은 土
정화(丁火)는 은은한 불빛인데 소띠 축(丑)은 차고 습한 토(土)다. 그래서 인덕이 없는 사람이다. 베풀고도 욕먹는 팔자다. 신세 한탄하기 쉽다. 축(丑)은 살기(殺氣)인데, 이 사주에 금수(金水)가 많거나 미(未)가 하나 있으면 여성은 자궁에 문제가 있고 수술을 받는 경우가 있으며 저혈압으로 고생한다.
다음 여자의 사주(庚申년 壬午월 丁丑일 甲子시)를 보자. 이 여성은 정화(丁火) 일주가 오(午)월에 태어나 화기가 강한 듯 보이나, 그 기운을 다른 오행에 다 빼앗겨 심장이 매우 허약하게 태어났다. 그래서 저혈압에 줄곧 시달려왔고, 결국 무당 기운도 생겼다. 무당 기운은 심장이 허약한 사람한테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다. 본래 심장은 사람의 혼이 자리하는 곳이라 하는데, 심장이 허약하면 혼이 허약하다는 말과 같다. 따라서 심약하고 겁이 많으며 머리가 아프게 되는데, 병원에 가도 병명을 알 수 없다. 이런 경우에는 심장을 보강해주는 인삼이 보약이다.
정축 일주는 미(未)나 술(戌)이 있거나 미(未)운이나 술(戌)운이 오면 사고가 나서 수술을 받거나 큰 병을 앓는데 심하면 죽을 수도 있다. 그리고 구설수로 법적인 문제도 생길 수 있다. 하지만 사주에 해(亥)와 유(酉)가 있으면 구원받는다.
성격은 이상을 동경하고 목표를 향한 도전의식이 강하며 꺾이지 않는 질긴 집념이 엿보인다. 그래서 아무리 어려운 일도 끝내는 해결해놓고 만다. 겉보기에 온순해도 속내는 조급하고 내성적이어서 번민이 심하다. 항상 마음이 어두우며 염세적으로 변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매사에 낙천적이고 긍정적인 마음을 갖되 열린 가슴으로 사람을 대하면 행복이 보장되어 있다.
결혼은 자(子), 유(酉), 임(壬)운에 하고 계(癸)나 미(未)운에 싸우거나 이별한다. 배우자가 임자(壬子) 일주면 해로하는데 임(壬)이 있고 미(未)가 있거나 자(子)가 있고 계(癸)가 있으면 싸워도 헤어지지 않는다. 계(癸), 임(壬), 자(子), 유(酉)운에 애인이 생기는데 묘(卯)나 유(酉)가 없으면 건전하다.
戊寅日(무인일) : 무는 土, 인은 木
무(戊)는 만물을 무성하게 성장시키는 위엄을 상징하고 범띠 인(寅)은 양기가 막 터져나와서 생명을 키우는 의욕이 대단하며 진리를 펴려는 형상이자 포악성의 의미도 내재되어 있다. 토금(土金)이 많으면 간, 담에 병이 오고 신(申)이나 사(巳)가 있으면 사고나 구설을 자주 듣고 배신당하기 쉽다. 수목(水木)이 많으면 위장이 병드는데 화(火)가 있으면 구제받는다. 금화(金火)가 많으면 위험한 일이 생기고 심장과 소장이 나빠진다. 화토(火土)가 많고 금수(金水)가 허약하면 폐, 대장, 신장, 방광이 나빠진다.
성격은 신경이 과민하고 정신적으로 혼란스러워서 마음의 안정을 찾지 못한다. 단 자신을 위장하는 음흉함이 있어서 약점을 보이지 않으며 위선적인 내성이 있다. 이것은 무토(戊土)의 중후함에 인목(寅木)의 극이 있어서인데, 용기가 대단해 보여도 사실은 소심하고 겁이 많다. 재물에 대한 욕심도 대단하다. 과욕을 부리고 명예심과 희생심에 들뜨기도 한다.
남성은 여색을 탐해서 가정 불화를 일으키기 쉽고 여성은 고집이 억센데다 진실성이 결여되어 아름다운 가정을 이루기 어렵다. 그러나 화(火)가 있으면 많이 해소된다. 아무튼 이 사주는 속마음을 감추지 말고 진실하면 대성한다.
결혼은 오(午), 술(戌), 계(癸), 해(亥)운에 하고 신(申), 사(巳), 해(亥)가 하나만 더 있어도 해외 나들이나 이주할 수가 있다. 배우자는 갑신(甲申)이면 이별하기 쉽고 계해(癸亥)면 해로한다. 그러나 신(申)이나 사(巳)가 있으면 헤어지기 쉬운데 계(癸)가 있으면 싸우면서도 헤어지지 않는다. 구원의 기운은 축(丑)과 미(未)인데 이것이 있으면 재앙에서 구원받는다.
己卯日(기묘일): 기는 土, 묘는 木
기토(己土)는 만물의 형상을 갖추게 하고 묘목(卯木) 토끼는 여린 싹이며 색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사람은 나만 잘났다는 자만심이 가득하고 위로 솟구치려는 기질이 대단하다. 그러나 여리기에 번민이 심하다.
비장, 위장에 병이 생기기 쉬운데 수목(水木)이 많으면 분명해진다. 금(金)이 하나 있고 화토(火土)가 강하면, 특히 지지에 미(未), 오(午), 술(戌)이 있으면 폐, 대장, 신장, 방광이 허약하고 생식기 병을 앓게 된다. 여성은 유산 등의 위험이 따르고 자궁에 병이 생긴다.
그러나 기묘 일주는 화(火)가 있고 금수(金水)가 적당히 있으면 부귀하며 건강하다. 그러나 금(金)이 많으면 여성은 이혼하기 쉽고 남성은 명예를 손상당한다. 그러나 수(水)가 있으면 해소된다. 수(水)가 많으면 남성은 다른 여성을 넘보고 타인에게는 후해도 집에서는 인색하며 처가 가정의 경제권을 행사한다. 여성은 바람기가 있는데, 자(子)와 유(酉), 오(午)가 하나씩만 더 있어도 남녀 모두 바람기를 배제할 수 없다.
성격은 맑고 구김살이 없으며 철없는 아이처럼 행동하기도 한다. 그리고 반항기가 심하고 지기도 싫어하는데 목(木)이 강하면 더욱 심하다. 화(火)가 많으면 피부가 건조하고 열이 많아서 폐, 위에 큰 병이 올 수 있고 재물을 쉽게 버린다.
평생 구설수가 따르는데 자존심을 숙이고 양보할 줄 알며 겸손하면 면한다. 그리고 객지에서 성공해서 부모형제를 돕는 사람이 된다. 그런데 큰 결점은 의처증이나 의부증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의심하는 버릇을 고치고 마음을 터놓고 이해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결혼은 갑(甲)운이나 해(亥), 술(戌), 미(未)운에 하고 갑술(甲戌) 일주가 배우자면 해로한다. 그러나 을유(乙酉)면 이별하고 갑(甲)이 있고 유(酉)가 있거나 술(戌)이 있고 을(乙)이 있으면 싸우면서도 헤어지지 못한다. 구설수와 여러 가지 재앙은 신(申)과 자(子) 중 하나만 있어도 구원받을 수 있다.
庚辰日(경진일): 경은 金, 진은 土
만물을 응집하는 경금(庚金)과 웅지를 펴는 용띠 진(辰)의 기질은 이상이 높고 움켜쥐려는 욕망이 대단한데, 작은 일은 가볍게 보고 큰 일만 생각한다. 그래서 자부심이 높지만 속은 허하고 가난한 사람이 많다.
자(子)와 신(申)이 있고 미(未)나 오(午), 혹은 사(巳)가 하나 있으면 심장과 소장이 허약하고 토금(土金)이 많고 목(木)이 하나 있으면 간, 담과 위장에 병이 생기기 쉽다. 술토(戌土)가 있고 또 화(火)가 있으면 고혈압으로 고생할 수 있고 목화(木火)가 많으면 폐, 대장에 병이 온다. 화토(火土)가 많으면 신장, 방광이 허약하다.
성격은 마음속에 타인을 이용하려는 심사가 있으며, 겉과 속이 다르다. 부드럽고 온화해 보여도 이익을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내성이 있다. 그 때문에 부귀가 왔다가는 금세 사라져 허망해지기도 한다.
만약 자신의 결점만 고친다면 기필코 유명인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언론인, 정치인, 군인으로 대성할 수 있다. 뛰어난 언변과 지혜와 어진 성품과 학문적 두뇌를 두루 갖추었기에 수행으로 자신을 가다듬으면 만인지상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수행지심이 없으면 그 자리에서 내려올 때 천하의 웃음거리가 될 것이다.
부부지간은 쓸쓸한 기운이 감도는데 여성은 가정을 책임 져야 한다. 모성애가 지극해서 나중에 자식덕이 있다.
결혼은 유(酉), 자(子), 신(申)이나 을(乙)운에 있고 을유(乙酉)를 만나면 해로하고 병술(丙戌)을 만나면 이별한다. 병(丙)이 있고 유(酉)가 있거나, 술(戌)이 있고 병(丙)이 있으면 싸우면서도 헤어지지 못한다. 을(乙), 병(丙), 정(丁), 묘(卯), 유(酉)운에 애인이 생길 수 있고, 술(戌)운에 재난이 닥칠 수 있으며 토금(土金)이 강하고 목(木)이 적으면 재산을 잃고 남성은 여성을 극한다. 또 수(水)가 많고 화(火)가 허약하면 여성은 이혼하고 남성은 명예를 손상하기 쉽다. 목(木)이 많으면 어질지 못해서 포악해질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辛巳日(신사일): 신은 金, 사는 火
쓸쓸하고 고독한 가을의 기운 신금(辛金)이 만물을 기르기 위해서 바쁜 뱀띠 사화(巳火)를 만났으므로 한가로운 듯 부지런히 움직여야 하는 사람이다.
축(丑)과 미(未)가 있으면 성격이 날카로워서 정신질환을 앓기 쉽다. 만약 술(戌)이 있으면 신장, 방광이 허해서 면역이 결핍돼 병을 앓거나 위암과 같은 큰 병을 얻을 수 있다. 여성은 자궁에 문제가 생긴다. 폐장이 허해서 색을 밝히는 기질이 나타난다. 그러나 해수(亥水)가 있으면 해소된다. 토금(土金)이 강하고 목(木)이 많으면 폐, 장, 비, 위에 병이 온다. 그러나 금(金)이나 토(土)가 하나 더 있고 수(水)와 목(木)이 있으면 건강하고 부귀하는데, 해(亥)와 사(巳)가 있으면 사고가 날 수 있고 구설을 듣기 쉽다. 운에서 해(亥)와 인(寅)을 만나도 같은 현상이 일어나는데 묘(卯)가 있으면 구원받는다. 금수(金水)나 수(水)가 많으면 여성은 이혼하기 쉽고 남성은 명예가 실추되는데 목(木)이 있으면 해소된다.
성격과 운명은 일찍 부모 곁을 떠나 부모형제의 덕을 못 보는 환경에서 외롭게 자수성가하는데, 나중에 넉넉한 인생을 맞이하게 되며 배우자 운이 좋다.
신금(辛金)은 해(亥)와 임(壬)이 없으면 그 날카로움 때문에 비판적이고 신경질적인데다, 타인의 가슴을 아프게 하는 기질이 있다. 여성은 생리통을 앓거나 생리시에 심한 스트레스로 광적인 행동이 나올 수 있으며 자신도 모르게 남의 물건을 훔칠 수도 있다.
의심이 지나쳐서 인덕이 없고 지혜가 교묘하여 타인을 모함할 수 있음을 염려해야 한다. 일을 저지르고 나중에 심하게 괴로워하지만 때가 늦은 뒤의 일이니 미리 자신을 다스려야 한다.
여성의 경우 남편 자랑을 많이 하는데 사실은 미운 감정이 더 많은데도 자존심 때문에 거짓으로 말하기도 한다. 근심, 걱정이 떠나지 않아서 신경이 더욱 예민해지는데 스스로 수행심이 모자람을 알아야 한다. 자식을 지나치게 아끼는데 애정 결핍 때문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나중에 자식으로부터 크게 실망할 수 있으므로 마음이야 어떻든 자식을 엄하게 다스려야 나이 들어서 효도를 받는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된다.
늘 자신을 내세우려는 심성도 외로움과 자격지심에 대한 보상심리라 할 수 있는데 훌훌 털어버리고 낙관적으로 화려하게 부닥치면 후한 복이 기다리고 있다.
결혼은 신(申), 유(酉), 축(丑), 병(丙)운에 하며 병신(丙申)이나 정유(丁酉) 일주 배우자를 만나면 해로하고 해(亥)와 인(寅)의 사주를 만나면 이별하기 쉽다. 병(丙), 정(丁), 유(酉), 묘(卯)에 애인이 생기고 묘(卯)가 있으면 재난과 재앙에서 구원받는다.
壬午日(임오일): 임은 水, 오는 火
임수(壬水)는 음이 지극한 상태에서 양기를 잉태하려는 음습한 기운이며, 말띠 오(午)는 음과 양이 교차하는 기질이다. 그래서 마음이 늘 바쁘게 움직이는데 내심은 정서적이고 싶지만 쉽지가 않다.
미(未)와 술(戌)이 있고 신(申), 자(子), 해(亥), 진(辰)이 없으면서 금(金)도 없으면 방광, 신장이 허약하다. 몸이 너무 덥기 때문인데 만약 금(金)이 하나라도 있으면 폐, 대장이 허약하고 금수(金水)가 많으면 심장, 소장이 허약해서 저혈압에 시달린다. 수목(水木)이 많고 토(土)가 있으면 비, 위에 문제가 있다.
수(水)가 강한데 토(土)가 있고 목(木)이 있으면 여성은 이혼하기 쉽고 남성은 명예가 손상된다. 그러나 화(火)가 하나만 더 있어도 구원받는다.
금수(金水)가 하나씩 더 있고 목(木)이 있으며 토(土)가 또 있으면 건강하고 부귀해진다. 그러나 신(申), 자(子), 진(辰)이 있으면 남녀 모두 배우자를 극하고 재물운도 없다. 또 금수(金水)가 있는데 화(火)가 많으면 여성이 경제권을 쥐고, 남성은 인색하면서도 다른 여성에게는 후하여 첩을 거느리기 쉽다.
성격은 남을 잘 미워하면서도 사랑을 독차지하고 싶은 욕망이 있다. 따라서 허영심에 빠지기 쉬우며 허세가 많고 의심하면 언행이 다르게 나타난다. 그리고 간교한 지혜로 약삭빠른 면이 있으며 말솜씨도 좋다. 만약 이 사주에 인(寅), 신(申), 해(亥)가 있으면 사기 행각을 벌일 수 있는데 남을 이용하려는 기질이 있고 은혜를 저버림으로써 나중에 크게 해를 입는다. 따라서 수행심이 지극히 필요하다.
본래 이 사주는 강한 자존심과 활달한 성품 그리고 지혜와 언변이 뛰어나기 때문에 복록이 예비되어 있다. 그러므로 자신의 결점만 고치면 크게 성공할 것이다. 남성은 초년에 방황하다가 나중에 복이 오는데 여자를 많이 거느릴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하고, 여성은 의처증이 있는 남성과 혼인할 수 있으므로 잘 판단해야 한다.
결혼운은 미(未), 인(寅), 술(戌), 정(丁)운에 있고 무자(戊子)를 만나면 이별한다. 무(戊)가 있고 미(未), 인(寅), 술(戌)이 있으면 싸우면서도 헤어지지 못한다. 미(未), 인(寅), 술(戌)이 지지에 있는데 무(戊)가 있어도 마찬가지다. 정(丁), 묘(卯), 유(酉), 미(未)에 애인 생기지만 오래가지 못한다. 구원의 기질은 사(巳)와 묘(卯)인데 이것이 있으면 여러 가지 재앙에서 벗어날 수 있다.
癸未日(계미일): 계는 水, 미는 土
계수(癸水)는 수기(水氣)가 범람하고 추위가 한창인 기질이 있으며 양띠 미토(未土)는 더위가 최고조에 달해 있을 때다. 그러므로 계수(癸水)는 양기를 맞이할 태세를 갖춘 음이며 미(未)는 음기를 맞이할 태세를 갖춘 양기가 기성을 부리는 의미가 있다. 따라서 위기에 대처할 수 있는 지혜가 있고 시련이 와도 굴복하지 않는다.
축(丑), 술(戌)이 있으면 생식기 병이 우려되고 여성은 자궁병이 올 수 있다. 그러나 화기(火氣)가 강하면 심장, 소장에 병이 오고 토(土)가 많으면 당뇨를 앓을 수 있다. 금(金)이 많고 미(未)가 하나만 있으면 간, 담이 허약하고 수목(水木)이 강하면 비, 위에 병이 오며 금(金)이 하나 있는데 화(火)가 강하고 목(木)도 있으면 폐, 대장, 신장, 방광이 허해서 색을 즐기거나 나쁜 병에 걸릴 수 있다.
그러나 지지에 금(金)이나 수(水)가 있거나 천간 지지에 금수(金水)가 하나씩 있으면서 목(木)이 있고 화(火)가 있으면 건강하고 부귀하다. 금수(金水)가 강한데 화(火)가 허약하고 목(木)도 없으면 남녀 모두 재물을 모으지 못한다.
토(土)가 많고 금수(金水)가 매우 허약하면 여성은 남성을 극해서 여러 남자와 관계를 맺을 수 있으며 유(酉)와 자(子)가 있으면 더욱 분명해진다. 그러나 묘(卯)와 사(巳)가 있으면 어진 성품으로 불륜을 저지르지 않고 곧게 인생을 살아간다. 계수(癸水)에 축(丑)은 매우 중요한데 특히 여성의 경우 화(火)가 약하고 금수(金水)만 강하다면 자궁에 큰 병이 오기 쉽고 몸이 냉해서 추위를 많이 타며 빈혈로 고생한다.
성격은 언변이 뛰어나고 설득력이 대단하며 왕성한 활동력이 있다. 그리고 고집대로 일을 하려는 독선이 있으며 무엇이든 한꺼번에 성취하려는 결점이 있다.
오직 추위에서 벗어나고 더위에서 벗어나려는 두 기질이 마주보고 있기에 한 가지 일에 몰입하는 습성이 있는데, 이런 사람은 도인이나 종교가로서 성공할 수 있다.
다만 반항심이 거세므로 하던 일도 뒤집어버릴 수 있으며 두뇌회전이 빠른 반면 너무 까다롭고 신경이 과민해서 일을 그르치기 쉽다. 혼자 잘나서 타인을 깔보는 경향이 있는데 겸손할 줄 알아야 대성한다. 그리고 너무 자신만 믿고 언변술로 타인을 거짓되게 사로잡아서 자신을 존경하게 하려는 기질도 버려야만 큰인물이 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결혼운은 무(戊), 오(午), 해(亥), 묘(卯)에 있고 무오(戊午) 일주 배우자와 만나면 해로하고 을축(乙丑) 일주를 만나면 이별하기 쉽다. 기(己)가 있고 오(午)가 있거나 오(午)가 있고 기(己)가 있으면 싸우면서도 헤어지지 않는다. 단 무(戊)가 있고 축(丑)이 있거나 오(午)가 있고 무(戊)가 있어도 싸우면서 해로한다. 오(午), 무(戊), 묘(卯), 해(亥), 을(乙)에 애인이 생겨도 금방 헤어진다.
甲申日(갑신일): 갑은 木, 신은 金
하늘의 진리를 펴며 터져 나오는 갑목(甲木)과 만물을 영글게 하는 잔나비띠 신금(申金)이 만났다. 변화와 개혁을 좋아하는데 재능이 무궁무진한 사람이다. 그러나 인(寅)이 있으면 불의의 사고와 온갖 구설수에 휘말리기 쉽다. 사(巳)가 또 있으면 더욱 분명해지는데 축(丑)이나 미(未)가 있으면 구원받는다.
유월(酉月)에 태어나고 금(金)이 많고 토(土)도 있는데 수(水)와 목(木)이 하나밖에 없고 화(火)가 없으면 지체부자유자가 되기 쉽다. 목(木)이 많고 화(火)가 강한데 토(土)가 없으면 폐, 대장이 허약하고 수목(水木)이 강한데 화(火)가 없고 토(土)가 있으면 비, 위에 병이 온다. 단 금수(金水)가 강한데 화(火)가 하나만 있으면 심장, 소장이 허약해서 저혈압으로 고생하며 수(水)가 있고 화토(火土)가 강하면 신장, 방광이 허약해서 쉽게 정력이 떨어진다.
그러나 해수(亥水)나 임수(壬水)가 있고 화토(火土)가 있으면 토(土)와 금(金)운에 부귀하고 건강하게 장수한다. 화(火)가 많고 토(土)가 없으면 남성은 명예를 손상하고 여성은 이별수가 있으며, 수목(水木)이 강한데 화(火)가 허약하거나 없고 토(土)가 있으면 남성은 아내를 극하고 재물도 모으지 못하며 여성은 바람나기 쉽다. 반대로 수(水)와 목(木)이 있어도 화(火)가 있고 토(土)가 셋이나 되면 남성은 인색한데 다른 여성에게는 후하고 두 여자를 거느리고, 여성은 가정의 주도권을 쥔다.
일을 꾸미는 것은 사람이나 뜻은 하늘이 성취시켜 준다는 말이 있듯이, 이 사람은 모사에 능하지만 제 꾀에 제가 넘어간다. 갑신(甲申)의 뜻이 이러하므로, 2004년 갑신(甲申)년에는 모사꾼들이 변화와 개혁을 도모해서 정변을 일으킬 수도 있을 것이다.
제 아무리 무궁무진한 지혜를 가진 사람일지라도 한계가 있는 법. 따라서 이 사람은 모사로 아까운 재능을 썩이지 말고 묵묵히 자신의 일에 전념하면 대성할 수 있다. 분수를 모르고 재능만 믿고 교만하게 처신하면 인생의 낙오자가 될 것이다.
갑목(甲木)이 어진 성품인데 신금(申金)은 파괴하는 기질이 있고 갑목(甲木)을 극한다. 그러므로 어질어야 하는데도 인정과 자비심이 모자라고 금(金)의 속성대로 의리와 명분만 내세우다가 좌절하게 된다.
일찍 고향은 떠나 객지에서 혼인하는데 여성은 남성으로 인해 신경과민에 시달릴 수 있다. 남녀 모두 인내심도 부족하고 무슨 일이든 꼼꼼한 것 같지만 경솔하여 대사를 그르치기 쉽다. 이 점을 유념하고 수행지심으로 천부적인 재능을 곧게 쓰면 성공을 의심하지 않아도 된다. 본래 이 일주는 목소리가 은근하고 매력적이어서 가수로도 성공할 수 있으며 타인으로부터 호감을 산다.
결혼운은 일주가 기사(己巳)인 배우자를 만나면 해로하고 경인(庚寅) 배우자를 만나면 이별하기 쉬운데, 기(己)운과 사(巳), 자(子) 진(辰)운에 결혼하고 경(庚)이 있고 기(己)가 있거나, 자(子)나 사(巳)가 있고 기(己)가 있으면 싸우면서도 해로한다. 축(丑)이나 미(未)가 있으면 어떤 위험에서도 구제받을 수 있는데 축(丑)과 미(未)가 나란히 있으면 여러 가지 재난이 있다.
乙酉日(을유일): 을은 木, 유는 金
을목(乙木)의 힘차게 솟아오르는 연약한 새싹과 몸체와 혼이 분리되어 죽음을 의미하는 닭띠 유금(酉金)이 만났다. 그러므로 이 사람은 풍파를 이기고 나온 노련한 지혜와 고집, 그리고 신념이 굳은 중후한 면모를 갖춘 인격자가 될 수 있다.
팔자에 오(午)나 묘(卯)가 또 있으면 색을 그리워하는 성품으로 나타나는데, 목화(木火)가 많으면 폐, 대장이 허약하고 수(水)가 있는데 화토(火土)가 강하면 신장, 방광이 좋지 않으며, 토금(土金)이 많으면 간, 담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토금이 많아 간이 허약해진 환자의 사주(辛酉년 乙未월 乙酉일 丁丑시)를 보자. 일간 을목(乙木)이 미(未)와 축(丑)에 뿌리가 있다. 그리고 월의 천간 을목(乙木)이 도와주니 약한 듯하지만 약하지 않다. 하지만 연의 신금(辛金)이 월의 을목(乙木)을 극하고 시의 축(丑)이 월의 미(未)를 충해서 을목(乙木)이 오히려 허약해졌다. 따라서 간과 담이 허약한 사람인데 대운이 금(金)으로 흐르는 유(酉)운에 목기를 꺾어버리므로 불치의 간병으로 사망하였다.
이 사람은 평소에 짜고 신맛 나는 음식을 집중적으로 섭취하고 맵고 단맛 나는 음식을 피했다면 무사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인간은 죽을 때가 되면 먹어서 좋지 않은 음식이 입에 맞아서 그것만 찾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무조건 맵고 짠 음식은 안 된다는 현대 의학의 논리에 맹종하는 사람들이 더 큰 병에 걸린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사주팔자에서 자신의 허약한 오장의 기를 찾아냈으면 맛에 따라 분류된 음식을 찾아 먹어야 건강을 유지한다.
을유 일주의 성격은 만약 금(金)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면 중후한 군자의 풍모는 사라지고 경솔하고 지조가 없으며 신념도 결핍되어 있다. 그리고 유금(酉金)은 순백의 순수함을 뜻하므로 선악에 물들기 쉬워서 이익을 위해 음흉한 꾀를 부리고 음탕해서 좋지 않은 정사를 즐기려 한다. 그래서 중년 이후에 이혼하거나 별거해서 고독한 인생을 보낼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재물과 명예와 섹스의 유혹을 이기지 못하는 심리적인 갈등, 간교한 마음과 은밀한 모사, 사리사욕에 서슴없이 불의와 타협하는 부도덕성 등 이런 자신을 분명하게 깨닫고 수행심으로 고치지 않으면 비극적인 인생의 종말을 맞이하게 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그리하면 본래 착하고 맑은 천성에 용모도 깨끗하고 지혜와 재능도 탁월한데다 치밀한 성격까지 있으니 부귀를 의심하지 않아도 된다.
혼인운은 경진(庚辰) 일주를 만나면 해로하고, 신묘(辛卯) 일주를 가진 배우자를 만나면 이별하기 쉽다. 경(庚), 사(巳), 축(丑), 진(辰)운에 혼인하며 배우자나 본인이 묘(卯)가 있고 경(庚)이 있거나 신(辛)이 있고 진(辰), 사(巳), 축(丑)이 있으면 싸우면서도 해로한다. 구원의 기질은 신(申)과 자(子)인데 이것이 있으면 재난을 면할 수 있다. 그러나 신(申)이 있는데 오(午)운이 오거나, 자(子)가 있는데 오(午)운이 오면 위험하다.
丙戌日(병술일): 병은 火, 술은 土
병화(丙火)는 활활 타오르는 불길이자 천하를 밝히는 기질이 있으며 개띠 술(戌)은 화기(火氣)를 내장한 폭발성이 있고 살기(殺氣)가 있다. 그래서 이 사람은 성질이 급해서 무슨 일이든 따지지 않고 즉석에서 해결해야 직성이 풀리고 평소에 호인다운데도 작은 일에 불같이 화를 내고 돌아서면 잊어버린다.
팔자에 진(辰)이 있거나 운에서 진(辰)을 만나면 본인과 배우자 혹은 부모형제, 자식에게 비극적인 일이 벌어질 수 있다. 미(未), 술(戌)이 있으면 위, 폐, 대장에 큰 병이 올 수 있으며 수(水)가 있으면 신장, 방광이 허약해서 당뇨에 걸리기 쉽다. 금수(金水)가 많으면 심장, 소장이 허약한데, 특히 심장에 큰 병이 올 수 있다. 단 목화(木火)가 많은데 금(金)이 있으면 고혈압으로 고생한다.
화토(火土)가 많고 수(水)가 있으면 남성은 명예를 손상하고, 여성은 이별하기 쉬운데 금(金)이 있으면 해소된다. 축(丑)과 미(未)가 있으면 생식기 병에 걸리기 쉽고 여성은 자궁 근종 등으로 고생한다.
금(金)만 많고 수(水)가 없으면 남성은 바람기가 있는데, 가정에서는 인색해도 다른 여성에게는 후하며 가정의 주도권을 처에게 빼앗긴다. 이런 사람의 처는 바람을 피우되 가정을 소중히 해서 불화를 일으키지 않는다. 반대로 목화(木火)가 많은데 금(金)이 하나나 둘이 있으면 남성은 처를 극하고 재물도 극하며 여색을 즐기고, 여성은 불륜을 맺기 쉽고 남편을 극하며 재물도 모으지 못한다. 단 수(水)가 많으면 남성은 흉포해지고 여성은 이혼하기 쉬우며 불륜을 저지른다. 목(木)이 두 개 있고 금수(金水)가 있으면 학문으로 성공한다.
성격은 단순해서 순수해 보이는데, 축(丑), 미(未) 또는 진(辰), 미(未) 등이 있으면 노기가 있고 얄팍하며 사려가 깊지 못할 뿐만 아니라 악의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중후하고 신뢰가 있으며 활달한 언변술이 있다. 그리고 의협심이 강해서 희생도 불사한다. 만약 수기(水氣)가 없으면 지나치게 고지식하고 고집스러워서 크게 성공하기 어렵다. 대체로 허세가 심하고 주색을 즐기는 풍류객이 많은데, 화려하고 있는 체하지만 속빈 사람이 많다.
부모덕이 없는 편인데 자수성가해야 하는 이 팔자는 작은 것에 만족할 줄 알고 결점을 고치면 나이가 들수록 유복해진다.
결혼은 신(辛), 인(寅), 오(午), 묘(卯)운에 하고, 배우자의 일주가 임진(壬辰)이면 이별하기 쉽고 신축(辛丑)이면 해로한다. 신(辛)이 있고 진(辰)이 있거나 묘(卯)가 있고 임(壬)이 있으면 싸우면서도 쉽게 헤어지지 않는다. 구원의 기질은 해(亥)와 유(酉)인데, 모두 재난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러나 해(亥)가 있는데 사(巳)운이 오거나 유(酉)가 있는데 묘(卯)운이 오면 위험한 일이 닥친다.
丁亥日(정해일): 정은 火, 해는 水
만물을 따뜻하게 길러주는 은근한 불꽃 정화(丁火)와 죽음의 곳이자 잉태의 원신 돼지띠 해(亥)가 만난 이 일주는 사려가 깊고 이상향에 젖어 있는 성격으로 나타나는데 화려해도 속이 빈 사람이 많다.
축(丑)이나 진(辰)이 있고 금수(金水)가 많거나, 금수(金水)만 많아도 심장, 소장이 허약해서 빈혈 증세가 있다. 화토(火土)가 많으면 신장, 방광이 허하며, 목화(木火)가 많고 금(金)이 하나만 있으면 폐, 대장이 좋지 않다.
목화(木火)가 있는데 토(土)가 셋이나 되면 남성은 명예를 훼손하고 여성은 이별하기 쉬우며, 목화(木火)가 많은데 금(金)이 하나만 있으면 남성은 처와 재물을 극하고, 여성은 색난을 일으키기 쉬우며 재물도 모으지 못한다. 반대로 목화(木火)가 허약한데 금(金)이 셋이나 되면 남성은 처를 등한시하고 인색하며 다른 여성에게는 후하고 첩을 두기 쉽다. 단 목화(木火)가 허약한데 수(水)가 셋이나 되면 여성은 불륜을 저지르거나 억센 인생을 보내게 되는데 목(木), 토(土)운에 해소된다.
성격은 자존심이 강해서 자신을 잘 추스르지만 인내심이 부족하다. 그리고 여성은 다른 이성과 불륜을 맺을 수 있는데, 묘(卯)나 유(酉)가 있으면 더욱 분명해진다.
정화(丁火)는 은근한 불빛이요 예의에 해당하기 때문에 온순하고 친절한데, 목화(木火)가 없는데 수(水)가 많으면 성질이 괴팍해지고 주체성을 잃게 된다.
보통 이 일주는 언변이 뛰어난데 용모도 곱고 목소리도 아름다워서 타인의 덕을 입을 수 있다. 그러므로 결점을 고치면 크게 성공한다. 더욱이 해(亥)는 천우신조의 기질이므로 어떤 고통에서도 벗어날 수 있음을 명심하고 늘 감사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
결혼은 임(壬), 묘(卯), 미(未), 인(寅)운에 하는데 배우자의 일주가 임인(壬寅)이면 해로하고, 계사(癸巳)면 이별하기 쉽다. 그러나 계(癸)가 있고 인(寅)이나 묘(卯)가 있거나, 사(巳)가 있고 임(壬)이 있으면 싸우면서도 해로한다. 구원의 기질은 해(亥)와 유(酉)인데, 하나만 있어도 재난에서 구원받는다. 다만 해(亥)가 있고 사(巳)운이 오거나 유(酉)가 있고 묘(卯)운이 오면 위험하다.
戊子日(무자일): 무는 土, 자는 水
무토(戊土)는 만물을 무성하게 하고 쥐띠 자수(子水)는 만물을 잉태하는 생산의 기질이 있다. 그러므로 욕심이 많고 욕망도 커서 가정보다 집밖의 일을 중요시한다. 그러나 부지런히 생명을 키우지만 결국 낙엽이 내리듯 좌절하고 마는데 허영과 허식에 들떠서 분에 넘치는 횡재만 노리기 때문이다.
축(丑)이나 미(未), 또는 진(辰)이나 술(戌)이 있는데 목(木) 화(火)가 많으면 신장, 방광이 병들고 수(水) 목(木)이 많은데 화(火)가 약하거나 없으면 비장과 위에 병이 들 것이다. 화(火), 토(土)가 많은데 금(金)이 하나만 있으면 폐, 장이 허약하다. 묘(卯)가 월이나 시에 있으면 생식기 병을 앓기 쉽고 색을 밝히며 유(酉)가 월이나 시에 있으면 여성은 자궁이나 유방에 병이 올 수 있다. 그러나 화(火)가 하나나 둘이 있고 금(金)이 있으며 수(水)와 목(木)이 적당히 있으면 건강하고 부귀하다.
화(火) 토(土)가 하나 더 있어도 수(水)가 셋이나 되고 금(金)이 있으면 재물복은 있되 남성은 두 여자를 거느릴 수 있고 처한테는 인색한데 다른 여성에게는 후하다. 이런 남성은 바람기 있는 여성을 만나기 쉽고, 여성이 그러하면 재물을 밝히고 불륜을 저지를 수 있다. 특히 묘(卯)나 유(酉)가 있으면 더욱 분명해진다.
화(火), 토(土)가 많고 수(水)가 허약하면 남녀 모두 배우자를 극하고, 바람기가 있으며 재물을 모으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화(火), 토(土)가 있고 금(金)과 수(水)가 또 있으면 거부가 될 수 있다.
성격은 자수(子水)의 기질대로 모성적 사랑을 그리워하는데 나이가 들어서 비로소 그런 사랑을 만날 수 있다. 따뜻한 인정이 흐르기에 매력적인 사람이라 할 수 있는데, 쓸데없는 고집 때문에 눈살을 찌푸리게도 한다. 하지만 이재에 밝고 천부적인 재복이 있으니 결점을 고치면 중 이상의 삶을 영위할 수 있다.
결혼은 계(癸), 축(丑), 신(申), 진(辰)운에 하고 배우자의 일주가 계축(癸丑)이면 해로하는데, 미오(未午)면 이별하기 쉽다. 구원의 기질은 축(丑)과 미(未)인데 하나만 있어도 재난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러나 축(丑)이 있을 때 운에서 미(未)를 만나거나 또는 미(未)가 있을 때 축(丑)을 만나 위험한 일이 생긴다. 미(未)가 있을 때 오(午)가 있으면 구원받는다.
己丑日(기축일): 기는 土, 축은 土
기토(己土)는 만물을 완성하는 흙의 속내이고 소띠 축토(丑土)는 기토(己土)와 같은 기질이지만 겨울의 토(土)이기 때문에 냉하고 습하다. 그러므로 이 사람은 피부가 검은 편인데 체질이 냉해서 피부병에 걸리기 쉽고 여성은 냉이 많거나 자궁에 물혹과 같은 병이 생길 수 있다. 그러나 미(未), 술(戌), 오(午) 등이 하나만 있어도 구원받는다.
술(戌)과 미(未) 둘 다 있으면 여색을 지나치게 밝히고 비만이나 위장병에 걸리기 쉽고 생식기 병이 우려된다. 미(未)나 술(戌)이 하나만 있거나, 오(午), 사(巳)가 각각 하나만 있고 금(金) 수(水)가 많으면 몸이 차고 심장 소장이 허약해서 저혈압 증세가 있다.
그러나 화(火)가 있고 금수(金水)가 있으면 목(木)이 강해도 부귀하고 건강하며 장수한다. 금(金)이 셋이 있는데 수(水) 없이 목(木)이 있으면 남성은 명예를 손상하고 여성은 이별한다. 화토(火土)가 또 있는데 수(水)가 하나만 있으면 남녀 모두 음탕하기 쉽고 배우자를 극한다.
수(水), 목(木)이 많은데 화(火)가 없으면 남성은 흉포해질 수 있고 여성은 남편을 극한다. 화(火)나 금(金)이 적당히 있으면 학문으로 성공한다. 그리고 화(火), 토(土)가 있고 금(金)이 하나쯤 있으면서 수(水)가 많아도 거부가 될 수 있다.
성격은 만물을 완성하는 기질이기 때문에 초지일관해서 좋은 열매를 맺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부모 덕이 없어서 일찍부터 고생하다가 중년이 넘어서 부유해지는데 이것저것 손대면 모두 실패한다. 화(火)가 부족하면 욱하는 성미가 있는데다 의타심이 있는가 하면 의심이 많다. 또 수동적이고 소극적이어서 자주 실패할 수 있다.
남녀 모두 악처 악부를 만날 수 있으므로 혼인을 가볍게 결정해서는 안 된다. 여성은 독수공방하기 쉬운데 의부증 환자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종교심도 있고 남다른 성실함도 겸비하였으므로 자신의 결점만 고치면 중년 이후에 복락을 누릴 것이다.
결혼운은 자(子), 유(酉), 기(己), 신(申)에 있는데, 갑자(甲子) 일주를 가진 배우자를 만나면 해로한다. 그러나 을미(乙未) 일주를 만나면 이별하기 쉽고, 을(乙)이 있고 자(子), 유(酉), 기(己)가 있거나 자(子)가 있고 을(乙)이 있으면 싸우면서도 해로한다. 구원의 기질은 신(申), 자(子)인데 하나만 있어도 여러 재앙에서 구원받는다.
庚寅日(경인일): 경은 金, 인은 木
경금(庚金)은 영글고 범띠 인목(寅木)은 틔어나옴을 의미한다. 그래서 이 사람은 용기가 있고 위세가 당당해 보인다. 하지만 경(庚)과 인(寅)이 서로 극하므로 내성은 무르고 겁이 많다.
신(申)이 인(寅) 옆에 있거나 사(巳)가 있으면 불의의 사고나 많은 구설을 듣는데, 축(丑)이나 미(未)가 있으면 구원받는다.
신(申), 유(酉)가 있고 화(火)가 없거나 약하면 간, 담에 병이 드는데, 토(土)가 또 있고 천간에 토(土)나 금(金)이 있으면 불구가 되기 쉽다. 수(水)가 셋이 있고 화(火)가 하나만 있으면 심장, 소장이 허약해서 겁이 많고 저혈압 증세가 있다. 그러나 토(土)가 있고 수(水)도 있으면서 화(火)도 있으면 부귀하고 건강장수한다. 금(金)이 많고 토(土)도 있는데 수(水)가 없으면 남녀 모두 음탕하고 재물도 모으지 못한다. 그리고 수(水)가 없는데 목(木)만 셋이 있으면 남성은 처를 극하고 인색하지만 첩을 둘 수 있고 다른 여성에게는 후하다. 이런 사주의 남편은 아내에게 경제권을 빼앗기는데, 처가 불륜을 저지를 수 있으나 가정을 소중히 여겨서 오히려 남편을 보필한다.
금(金)이 많아도 수(水)가 두 개 이상 있으면 예술에 뛰어난 재능이 있는데 큰 부자가 될 수 있으며 목(木)이 많아도 수(水)만 있다면 넉넉한 인생을 보내게 된다. 그러나 화(火)가 셋이나 있고 토(土)가 없으면, 그리고 목(木)도 하나밖에 없다면 여성은 여러 남성과 어울리고, 남성은 출세욕에 광분하다가 일신을 그르친다. 목(木)이 많으면 포악한 성미도 나타난다.
성격은 인목(寅木)이 이른 봄인데다 경금(庚金)이 차기 때문에 오직 양지만 찾는 습성이 있어서 덕이 되는 사람에게만 의탁하려 든다. 그리고 타향에서 자수성가하는데 재복이 천부적이어서 손윗사람으로부터 도움을 받지만 금(金)이 강하면 예사롭게 배신하고 나중에 원한을 사기 쉽다.
재물운이 강하므로 급히 성취하려는 조급함이 실패를 자초하는데 인내심이 부족한데다 변덕이 심해서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부모형제는 함께 있으면 미운 정이 많고 떨어져 있으면 정을 그리워한다. 부부운은 이기적이어서 관계가 냉랭해지기 쉽다. 특히 이 일주의 여성은 평생 남자 문제로 고민하는데 이기심 때문에 배신을 손바닥 뒤집듯 하고 혼전 임신 또는 애인을 둔 채로 결혼하기 쉽다. 이 점을 고치지 않으면 나이 들어 비극적인 인생의 낙오자가 될 수 있다.
결혼은 을(乙), 해(亥), 오(午), 술(戌)운에 하는데 이때가 되면 연애도 쉽게 한다. 배우자는 을해(乙亥) 일주를 만나면 해로하고, 병신(丙申) 일주를 만나면 이별하기 쉽다. 병(丙)이 있고 해(亥)가 있거나, 신(申)이 있고 을(乙)이 있으면 싸우면서 해로한다. 구원의 기질은 축(丑)과 미(未)인데 하나만 있어도 여러 재앙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러나 축(丑)과 미(未)가 함께 있거나 운에서 만나면 위험해진다. 사주에 축(丑)이 있을 때 오(午), 미(未)가 있을 때 자(子)가 있으면 구제받는다.
辛卯日(신묘일): 신은 金, 묘는 木
가을의 쓸쓸함과 이별의 기운인 신금(辛金)이 인(寅)에서 터져나온 여린 싹, 토끼띠 묘목(卯木)을 만난 이 사람은 경우가 밝고 자상하지만 소극적이고 융통성이 없는데다 경솔한 기질이 있다.
술(戌), 미(未)가 있거나 자(子)나 유(酉)가 있으면 색으로 인해 번민하는데 생식기 병에 걸리기 쉽고 여성은 자궁이나 유방이 나빠진다.
가을에 태어나고 토(土)와 금(金)이 많으면 간, 담에 병이 오고, 봄이나 여름에 태어나고 토(土)가 없이 금(金)이 약하면 폐, 대장이 허약하다. 그러나 여름에 태어났더라도 수(水)가 셋이나 있으면 심장, 소장이 허약해서 빈혈증세가 있다. 그러나 토(土)와 금(金)이 있고 수(水)와 화(火)가 있으면 건강장수하고 부귀해지는데 목(木)이 많으면 부, 화(火)가 많으면 귀하게 된다.
토(土)가 있고 수(水)가 두 개 정도 있으면 예능에 뛰어난 재질이 있는데 특히 가을에 태어났으면 슬퍼하고 고독하며 잘 울고 웃는데 감수성이 예민하여 문학에 소질이 있다.
토(土)와 금(金) 또는 금(金)이 많은데 수(水)가 없으면 남녀 모두 배우자를 극하고 재물도 모으지 못한다. 반대로 수(水)가 없이 목(木)이 셋이나 있으면 남성은 처를 극하고 인색한데 첩을 두고 다른 여성에게는 후한 성품으로 나타난다.
이런 사람의 처는 가정의 주도권을 쥐고 애인을 두되 가정은 소중하게 여겨서 불행해지지 않는다. 금(金)이 허약한데 토(土)가 셋이나 있으면 남성은 출세욕에 광분하다가 일신을 망치기 쉽고 여성은 여러 남자와 관계를 맺는다.
성격은 솔직담백한데 급하고 바쁜 성미 때문에 항상 한가롭지 못하다.
신의가 있는 반면 변덕이 자주 일어나서 본심과는 달리 타인으로부터 배신감을 느끼게 한다. 해(亥)나 축(丑)이 없으면 신경이 날카로워져서 신경과민에 시달리고 불안과 초조에 휩싸여 어쩔 줄을 모른다. 그러나 집념이 강하기 때문에 반드시 성공하는 기질이 있으며, 부모덕이 없어도 스스로 운명을 개척해서 화려한 인생을 맞이한다. 그러나 늙어서 모두 이별하고 쓸쓸한 인생을 보낼 것이므로 자신의 미래를 위해 재물을 모아두어야 한다. 남성은 첩을 더 사랑하는 기운이 있으며, 여성은 남편 외의 이성을 그리워한다. 늦게 결혼하면 딴마음 없이 해로한다.
혼인은 병(丙), 술(戌), 해(亥), 미(未)운에 하고 이때 애인도 생긴다. 배우자가 정유(丁酉)면 이별하기 쉽고 병술(丙戌)이면 해로한다. 정(丁)이 있고 술(戌), 해(亥), 미(未)가 하나 있거나 술(戌)이 있는데 정(丁)이 있으면 싸우면서 해로한다. 구원의 기질은 사(巳)와 묘(卯)인데 하나만 있어도 위기에서 벗어난다. 그러나 사(巳)는 해(亥), 묘(卯)는 유(酉)운에 위험이 따른다. 이 때는 사주에 사(巳)일 때 인(寅), 묘(卯)일 때 술(戌)이 있으면 해소된다.
壬辰日(임진일): 임은 水, 진은 土
아직 양기를 잉태하지 않은 임수(壬水)가 만물의 기개를 펼치게 하는 용띠 진토(辰土)를 만났으니 사람이 위엄이 있고 굳은 신념이 있어 보이고 고집도 강하며 언성이 높으나 곧 잊는다.
진(辰)은 습한 토(土)이고 여러 가지 기가 엉킨 살기이기 때문에 피부가 곱지 못하고 피부병에 걸리기 쉬우며 화(火)가 없거나 허약하면 비, 위에 병이 온다. 술토(戌土)가 있으면 기이한 사고가 본인 또는 가까운 사람들에게 일어나는데 사(巳)와 묘(卯)가 있으면 본인은 구제받는다.
금수(金水)가 많고 화(火)가 하나만 있으면 심장, 소장에 병이 오고 장도 나쁘고 위도 나쁘다. 봄에 태어나고 화(火)가 없으면 비, 위에 병이 오고 화토(火土)가 많으면 신장, 방광이 허약하다.
성격은 주장이 강한 반면 맡겨진 일은 충심을 다해 완수한다. 도량도 넓고 포부도 크며 인내심도 있다. 그리고 결단력과 지혜가 있기 때문에 크게 성공할 수 있는데, 자만심이 대단하고 타인을 무시하는 戀袖?있다. 또 술(戌), 미(未)가 있거나 화(火)가 많으면 빈궁하고 소인배가 될 수 있는 만큼 명심하고 천부적인 재능을 썩이지 않아야 한다.
결혼은 정(丁), 유(酉), 자(子), 신(申)운에 하고 정유(丁酉) 일주를 만나면 해로하지만 무술(戊戌) 일주를 만나면 이별하기 쉽다. 무(戊)가 있고 유(酉), 자(子)가 있거나 정(丁)이 있고 술(戌)이 있으면 싸우면서 해로한다. 구원의 기질은 사(巳)와 묘(卯)인데 하나만 있어도 재앙에서 벗어난다. 그러나 사(巳)가 있는데 해(亥), 묘(卯)가 있고 유(酉)운이 오면 위험하다.
癸巳日(계사일): 계는 水, 사는 火
계수(癸水)는 양기를 품은 차디찬 물인데 뱀띠 사화(巳火)는 계수(癸水)의 칠성줄이다. 따라서 조상의 음덕을 입었고 천상의 신이 도우니 전화위복의 운이 있다.
그러나 해(亥)를 두려워 하는데 만약 금수(金水)가 강하고 다시 수(水)의 운으로 흐른다면 심장과 소장이 허약하고 심장마비로 급사할 수 있다. 평소에 몸이 차고 빈혈도 심하다.
심장이 허약한 저혈압 환자의 사주(己亥년 癸酉월 癸巳일 辛酉시)를 보자. 일간 계수(癸水)가 수(水)와 금(金)으로 둘러싸여 있다. 그러므로 사화(巳火)가 혼자 외로운데 다행히 유(酉)와 합이 되어 금(金)으로 변하였다. 그러나 기토(己土)는 합을 찾을 수가 없어서 수(水)에 허물어지는 형국이다. 따라서 도도한 수기(水氣)를 거스르지 않고 따라가야 하는데 이 때는 목(木)이 제일 좋다. 그런데 사화(巳火)가 비록 유(酉)와 합해서 금(金)이 되었지만 타고난 기(氣)이기 때문에 천성적으로 심장과 소장이 허약하게 태어났다. 그러므로 이 사람은 저혈압 환자다. 만약 대운이 화기(火氣)로 흐르지 않고 금수(金水)운으로 흘렀다면 저혈압으로 많은 고통을 겪어야 했을 것이다. 이 사람은 쓰고 신맛 나는 음식을 섭취하면 오랜 음식 습관에 의해서 간과 심장의 기가 강화된다.
이 일주는 금수(金水)가 많고 목(木)이 없으면 남녀 모두 배우자를 극하고 재물도 모으지 못하며, 반대로 금수(金水)가 있다 하더라도 허약하고 화(火)가 셋이 있으면 남성은 여성을 극하고 처에게 인색하다. 화(火)가 강하고 토(土)마저 많으면 남성은 불량배가 될 수 있으며 여성은 여러 남성과 인연을 맺는다. 그러나 금(金)이 두 개만 있어도 해소되는데, 사화(巳火)가 있기 때문에 불행해지지 않는다. 오직 해(亥)만 두려울 뿐이다. 금(金)이 있고 목(木)도 있으면 학문으로 성공하고 재물운도 있다.
성격과 운명은 늘 귀인이 따르기에 인덕이 있어서 어떤 위험에서도 벗어나는데 부드럽고 지혜로우며 이해심도 있어서 존경받는다. 다만 조급하고 인색하며 변덕이 우려되는데 남녀 모두 혼전 임신을 경험할 수 있다. 사화(巳火)는 귀인이자 역마살에 해당되므로 자유롭게 연애하고 헤어지기도 잘하는데 중년이 지나면서 애정행각으로 크게 문제가 될 수 있다. 보통 이런 여성은 눈이 크고 쌍꺼풀이 졌으며 눈동자가 젖은 듯이 보인다. 시에 인(寅)이나 신(申), 해(亥)가 있으면 해외 나들이가 많고 이주할 수도 있으며 무역업으로 크게 재물을 모으기도 한다.
남성은 천덕이 있는데 나돌아다니는 것을 좋아하는 여성과 혼인할 수 있으며 애인이 있는 여성과 결혼할 수도 있으므로 유념해야 한다. 여성은 의처증이 있는 남성과 혼인하기 쉽다. 그럼에도 이 일주는 배우자로부터 덕을 입는데 모두 칠성줄의 덕분이므로 늘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고 자신의 결점을 고치면 부귀는 의심할 바 없겠다.
결혼은 무(戊), 신(申), 유(酉)운에 하는데 무신(戊申) 일주 배우자를 만나면 해로하고 기해(己亥) 일주를 만나면 이별하기 쉽다. 기(己)가 있고 신(申)이 있거나 해(亥)가 있고 무(戊)가 있으면 싸우면서도 이별하지 않는 사람이 많다. 구원의 기질은 기(己)와 묘(卯)인데 두 개 다 있으면 부귀를 의심하지 않는다.
甲午日(갑오일): 갑은 木, 오는 火
양기를 터뜨리고 하늘의 진리를 펴는 갑목(甲木)과 음, 양이 교차하는 말띠 오(午)의 만남은 이상이 높고 창조적이며 개척 정신이 뛰어나다.
자(子)가 있고 금수(金水)가 많으면 심장과 소장이 허약해서 저혈압증세가 있고, 자(子)가 있다 하더라도 미(未), 술(戌), 기(己)와 같은 화토(火土)가 많으면 신장, 방광이 허약하다. 수(水)가 하나만 있고 토(土)가 있는데 금(金)이 많으면 간, 담에 병이 오기 쉽고 화(火)가 많은데 목(木)도 있고, 금(金)이 허약하면 폐, 대장에 병이 온다.
토(土), 금(金)이 과다하면 불구자가 될 수 있으며 수(水)와 목(木)이 많은데 토(土)가 하나만 있으면 남녀 모두 배우자를 극하고 재물을 잃기 쉬우며 음탕해질 수 있다. 반대로 토(土)가 셋이 있고 수(水)가 있다. 남성은 부잣집 가난뱅이가 될 수 있으며 다른 여성에게는 후하고 첩을 둘 수 있으며 정작 처한테는 인색하다. 화(火)가 두 개나 더 있고 토(土)가 없이 금(金)이 하나만 있으면 남성은 구설수에 자주 오르고 사기성을 발동할 수 있으며 여성은 이별하는 수가 많다.
성격과 운명은 대체로 호기심이 많은데다 활달한 성품에 바쁘게 움직이지만 때를 늦게 만난다. 식복이 있고 재물복도 있어서 사회적 명성을 얻을 수 있는데 만약 목(木)이 많으면 명예를 손상시키고 고지식하며 융통성이 없는데다 허영심이 많아서 일생동안 모은 돈을 한꺼번에 버리게 된다.
사람이 눈치가 빠르고 재치가 있는데 화(火)가 하나 더 있으면 겉보기는 의젓해도 급하고 심성이 얄팍하여 구설수에 자주 오른다. 처음은 말을 더듬다가 나중에는 달변으로 변하는데 청산유수와 같다. 묘(卯)나 유(酉)가 있으면 색으로 번민하고 이 사주는 묘하게도 기토(己土)가 없으면 평생 두통에 시달리거나 뇌에 이상이 생길 수 있다. 다만 축(丑)과 미(未)가 구원한다.
혼인은 기(己), 미(未), 인(寅), 술(戌)운에 하는데, 기미(己未) 일주 배우자와는 해로하지만 경자(庚子) 일주거나 미(未)가 있고 경(庚)이 있으면 잘 싸우되 쉽게 헤어지지 않는다. 구원의 기질은 축(丑)과 미(未)인데 하나만 있어도 재앙에서 벗어난다. 그러나 축(丑)과 미(未)가 다 있거나 축(丑)일 때 미(未), 미(未)일 때 자(子)가 있으면 구원받는다.
乙未日(을미일): 을은 木, 미는 土
을목(乙木)은 새싹이다. 위로 솟구치려 하는데 양띠 미토(未土)는 양이 물러가고 음이 창궐하기 시작하니 을목(乙木)으로 하여금 거목이 될 때까지 기다리게 한다. 따라서 이 일주는 무슨 일이든 기회를 충분히 엿본 뒤에 행해야만 성사시킬 수 있다. 그런데도 결실을 기다리는 마음이 초조해져서 경거망동하기 쉬운데 행동보다 말이 앞서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지나치게 계산적이어서 결단력이 부족한 기질이 있다.
미(未)는 을목(乙木)의 살기(殺氣)이다. 그러므로 일찍 아버지를 여읠 수 있으며 형제와 배우자에게 기이한 사고가 있을 수 있다.
특히 본인은 간암과 같은 위험한 병이 오기도 하는데 자(子)와 묘(卯)가 있으면 대단히 가능성이 높다. 술(戌)과 축(丑)이 있으면 비, 위에 큰 병이 올 수 있으며 신장과 방광, 폐도 병들기 쉬워서 화(火)운으로 향하면 요절할 수 있다. 화토(火土)가 많은데 수(水)가 하나 있으면 신장, 방광에 병이 와서 당뇨를 앓을 수 있다. 특히 술토(戌土)가 있으면 더욱 가능성이 높다. 수(水)가 허약한데 토금(土金)이 많으면 간, 담에 병이 오는데 미(未)가 살기(殺氣)이기 때문에 위험한 병에 걸릴 수 있다.
목화(木火)가 많고 금(金)이 하나 있으면 혀 끝에 재앙이 있고 남성은 명예를 실추시키고 여성은 이별하기 쉬우며, 수목(水木)이 많은데 화(火)가 없으면 남녀 모두 배우자를 극하고 음탕하며 한순간에 재물을 잃을 뿐만 아니라 성질 마저 난폭해진다. 그러나 화(火)가 또 있고 토(土)가 있으면 총명하고 재산이 풍부해진다. 수(水)가 둘이 있고 목(木)이 있으면서 화(火)도 있으면 학문으로 성공하고 화(火)가 많으면 예능에 소질이 있으나 허풍이 심해진다.
운명과 성격은 사주에 수(水)가 없으면 게으르고 이기적이며 고집불통이다. 남의 일에 더 신경을 쓰는 이 일주는 소견이 좁고 이룰 수 없는 화려한 세계만 동경하다가 인생을 그르칠 수 있다. 화기(火氣)가 많으면 몸에 화상을 입을 수 있으며 축(丑)을 만나면 부모 형제 처가와 본인중에서 기이한 사고를 당하는 사람이 있다. 본인 사주에 신(申)이나 자(子)가 있으면 본인은 구제된다. 아무튼 신(申), 자(子)가 없으면 수술, 화상 등으로 큰 상처를 지닐 팔자라 하겠다. 일찍 부모를 여의거나 부모가 무능해서 덕을 입을 수 없거나 어떤 사람은 친모의 슬하에서 성장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 사람은 본래 천성이 착한데다 사람을 잘 사귀고 창의력이 뛰어나므로 결점만 고치면 크게 성공할 수 있다. 큰 결점은 지출이 심한데 목(木)이 많으면 더욱 분명해진다. 그리고 보호 본능이 있으므로 개척정신으로 기회를 엿보면 반드시 횡재운이 온다.
혼인운은 경(庚), 오(午), 해(亥), 묘(卯)운에 오고, 경오(庚午) 일주 배우자와 만나면 해로하고 신축(辛丑) 일주를 만나면 이별하기 쉬운데, 신(辛)이 있고 오(午)가 있거나 축(丑)이 있고 경(庚)이 있으면 잘 싸우면서도 쉽게 헤어지지 않는다. 구원의 기질은 신(申)과 자(子)인데 하나만 있어도 재앙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다만 신(申)일 때 인(寅), 자(子)일 때 오(午)운은 위험하다. 그러나 신(申)일 때 오(午)나 해자(亥子)일 때 인(寅) 미(未)가 팔자에 있으면 구원받을 수 있다.
丙申日(병신일): 병은 火, 신은 金
정열적인 불꽃 병화(丙火)와 만물을 여물게하는 원숭이띠 신금(申金)이 서로 만났으나 어울리지 못하므로 심신이 불안정하며 괴로운 일을 견뎌내기 어려운데 사색적이면서도 신경질이 있겠다. 그러나 겉으로 나타나지 않는 무게와 예의가 있다. 김종필 자민련 명예총재가 이 일주다.
인(寅)이 월이나 시에 있으면 기이한 사고와 구설수에 자주 오르고 배신도 당하는데 사(巳)가 있으면 더욱 분명해진다. 그리고 목화(木火)가 많으면 폐, 대장이 허약해서 색을 밝히고 목(木)이 하나만 있고 토금(土金)이 많으면 간, 담에 병이 오기 쉽다. 금수(金水)가 많으면 심장 소장이 허약해서 빈혈증세가 있을 것이며 수(水)가 하나 있고 화토(火土)가 많으면 신장, 방광에 병이 온다. 특히 미(未), 술(戌)이 있으면 당뇨병을 염려해야 한다.
지지에 목(木)이 하나뿐이면 남성은 처를 극하고, 인색하며 다른 여인에게는 후하다. 남성의 처는 애인을 둘 수 있으나 경제권을 쥐고 가정을 지킨다. 반대로 여성이 이와 같으면 음탕하기 쉽고 욕심이 많다. 수(水)가 셋이 있는데 목(木)이 없으면 남성은 자만심과 명예욕에 가득차서 인생을 그르치기 쉬우며 여성은 남성과 많은 인연을 맺게 된다. 목(木)이 과다하면 성질이 불같고 언성이 높으며 욕도 잘하고 흉포해지기 쉽다.
병신(丙申) 일주는 운명이 극단적으로 나타나 성공하기도 쉽고 실패하기도 쉬운데 실패해도 빠른 회복세를 보인다. 여성은 화려한 것을 좋아하고 이성을 그리워하며 남성은 여색에 광적이 되며 목화(木火)가 많으면 색을 더욱 즐기지만 단명하기 쉽다. 따라서 재능이 넘치고 심성이 착한데다 자상하며 인정도 많아서 수행으로 결점을 보완하면 상류에 속하는 팔자이다.
어릴 때 아버지를 잃거나 무능해서 부모덕이 야박하지만 횡재운이 늘 따라다니므로 경거망동만 하지 않으면 크게 성공한다. 부부간 금슬이 좋지만 늦게 결혼하는 것이 좋겠다.
혼인은 신(辛), 사(巳), 자(子), 유(酉), 진(辰)운에 하는데 신사(辛巳) 일주의 배우자는 해로하고 임인(壬寅) 일주는 헤어지기 쉽다. 그러나 신(辛)이 있고 인(寅)이 있거나, 사(巳)가 있고 임(壬)이 있으면 마찰이 심해도 쉽게 헤어지지 않는다. 구원의 기질은 해(亥), 유(酉)인데 하나만 있어도 재난에서 구원받는다. 그러나 해(亥)일 때 사(巳)운, 유(酉)일 때 묘(卯)운은 위험해질 것이다.
丁酉日(정유일): 정은 火, 유는 金
꺼지지 않는 영원한 불씨 정화(丁火)와 쓸쓸한 이별의 기운 닭띠 유(酉)가 만났으므로 사람이 온순하고 섬세한데다 아름다운 용모, 그리고 예술적 재능과 미적 감각을 지녔다.
보통 정유(丁酉)일에 태어난 사람은 좋은 배우자를 만난다. 그런데 금수(金水)가 많으면 심장, 소장이 허약해서 사람이 겁이 많고 소심하며 잘 웃고 잘 우는데 저혈압에 시달린다. 그리고 여성은 많은 남성과 인연을 맺을 수 있으며 남성은 출세욕과 재물욕에 일생을 그르칠 수가 있다.
반대로 목화(木火)가 많은데 토(土)도 없거나 허약하면 남녀모두 음탕하고 재물복도 없으며 폐, 대장에 병이 든다. 보통 이런 남성은 애인을 두거나 처한테는 인색하지만 다른 여성에게는 후하며 이런 남성의 처는 애인을 두되 가정을 책임지고 소중하게 여긴다. 여성이 이와 같으면 음난하기 쉽고 욕심이 많다.
목(木)이 셋이나 되고 토(土)가 하나나 둘이 있으면 학문을 좋아하지만 비, 위에 병이 들기 쉽다. 화토(火土)가 많은데 수(水)가 허약하면 신장, 방광이 허약하고 당뇨가 오기 쉽다. 당뇨는 수(水)가 많아도 쉽게 오는데 그것은 신장, 방광이 너무 실해서 빨리 허물어지기 때문이다.
성격은 지나치게 깨끗한 것을 좋아해서 결벽증이 있을 수 있으며 늘 아름다운 세계를 동경하면서 특히 색을 그리워한다. 지지에 오(午), 자(子), 유(酉), 묘(卯)가 하나만 더 있어도 색을 절제하기 어려워진다. 보통 이런 사람은 황홀한 정사를 동경하고 그런 분위기에서 육체적 욕망을 불태우려 한다. 그래서 여성은 대개 첫 남성과는 이별하고 나이 들어서 따뜻한 가정을 꾸미고 비로소 아름다운 인생을 보내게 된다.
아무튼 이 일주는 천복이 있는 사람이기에 수행지심으로 자신을 잘 다스리면 만인이 부러워할 재물과 명예를 얻게 된다.
성적으로 변태적인 기질이 있을 수 있으므로 유념할 것이며 권태를 쉽게 느끼는 결점을 깨닫고 사람을 오래 사귈 줄 아는 인내심이 있어야 한다. 수동적이고 수줍어하는 현재의 심성에서 과감하게 탈피해서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화려하게 일에 임하면 남녀 모두 대성할 것이다.
분위기에 약하고 모두 귀가 얇은 면이 있으므로 잘 속지 않도록 이성적이면 천성이 순수하므로 칠성의 신이 저절로 돕기에 횡재운을 기대해도 좋다. 여성은 금은 보석으로 치장하는 것을 좋아하는 심성을 버리고 집안 분위기를 고급스럽게 꾸미려드는 습성에서 벗어나 소박하면 오히려 더 멋스러운 사람으로 보이게 될 것이다.
혼인은 임(壬), 기(己), 진(辰)운에 하는데 임진(壬辰) 일주를 만나면 해로하고 이 때 연애도 한다. 계묘(癸卯) 일주를 만나면 헤어지기 쉬우며 계(癸)가 있고 기(己), 임(壬), 진(辰)이 있거나 묘(卯)가 있고 계(癸)가 있으면 자주 싸우면서도 쉽게 헤어지지 않는다. 구원의 기질은 해(亥), 유(酉)인데 하나만 있어도 여러 가지 재앙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러나 유(酉)는 묘(卯), 해(亥)는 사(巳)운이 두렵다.
戊戌日(무술일): 무는 土, 술은 土
무토(戊土)는 만물을 무성하게 기르려 하는데 개띠 술토(戌土)는 자라난 만물을 죽음으로 끌고가서 감추려 한다. 그러기에 부지런히 재물을 모으려 들고 물건 모으기를 좋아한다.
진(辰)이 있으면 본인과 부모형제 배우자의 신변에 기이한 사고가 벌어질 수 있다. 만약 미(未)가 또 있으면 위장에 큰 병이 올 수 있으며 수(水)가 허약하면 신장, 방광에 병이 든다. 수목(水木)이 많으면 비, 위가 상할 것이며 금수(金水)가 많으면 심장, 소장이 허약해서 꿈을 자주 꾸고 빈혈증세가 있다.
금(金)이 과다하게 많고 수(水)가 적거나 없는데 목(木)이 있으면 남성은 혀 끝에 재앙이 있고 사기성이 발동할 수 있으며, 여성은 이별하기 쉽다. 반대로 목(木)이 셋 이상 과다하게 많고 수(水)가 있으면서 화(火)가 없거나 허약하면 남성은 흉포해질수 있으며 여성은 남성을 더 많이 사귀게 된다. 단 화토(火土)가 많은데 금(金)이 하나만 있거나 없는데 수(水)가 약하면 남녀 모두 음탕하거나 배우자를 극하고 재물을 모으기 어렵다. 반대로 수(水)가 과다하게 많고 토(土)와 금(金)이 허약하면 남성은 여성을 극하고 인색하며 여성은 욕심이 많고 음란할 수 있다.
그러나 화(火)가 천간에 있고 금(金)과 수(水), 목(木)이 적당히 있으면 무병장수하고 부귀하며 화토(火土)가 있고 금(金)도 있으면 수(水)가 많아도 거부의 운이 된다. 단 목(木)이 있으면 귀한 팔자임이 분명하다.
성격은 이기심과 독선이 있으며 무엇이든 깨고 부수려는 투쟁성이 있다. 성질도 급해서 노기를 자주 머금고 예의를 모르고 거만해지기 쉽다. 특히 화토(火土)가 많으면 더욱 그러한데 금수(金水)가 있으면 해소된다. 그런데 팔자 전체가 화토(火土)로 이루어져 있으면 그 반대로 나타난다. 그러나 완고한 고집과 타협을 모르는 고지식함이 있다.
대개 이 일주는 영감이 뛰어나고 총명해서 크게 명성을 떨치고 성공할 수 있다. 초년보다 중년 이후에 복을 후하게 누린다. 다만 결점을 고치지 않으면, 초년이 좋으면 중년이 흉하고 중년이 좋으면 말년이 외롭다.
결혼운은 계(癸), 묘(卯), 오(午)에 하는데 이 때 애인이 생길 수 있으면 계묘(癸卯) 일주와 혼인하면 해로하고 갑진(甲辰) 일주와 만나면 이별하기 쉽다. 갑(甲)이 있고, 묘(卯)나 오(午)가 있거나 진(辰)이 있고 계(癸)가 있으면 자주 싸우되 쉽게 헤어지지 못한다. 구원의 기질은 축(丑)과 미(未)인데, 다 있으면 기이한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다만 미(未)일 때 자(子), 축(丑)일 때 수(水)가 있으면 해소 된다.
己亥日(기해일) : 기는 土, 해는 水
만물을 길러주는 영양질이라 할 기토(己土)와 양기를 그리워하는 돼지띠 해수(亥水)가 만난 이 사람은 호기심이 많고 진취적이며 보호 본능을 가지고 있다. 그런가 하면 의심증이 있어서 무슨 일을 하기도 전에 근심, 걱정이 앞서서 소심해진다.
임(壬), 술(戌), 미(未)가 다 있으면, 비, 위에 큰 병이 오기 쉽고 신장, 방광이 허약해서 당뇨에 걸리기 쉬운데 특히 생식기 병이 우려된다. 임(壬), 술(戌), 미(未), 오(午), 사(巳)가 하나만 있고 수(水) 목(木)이 과다하면 비, 위가 허약하여 평생 위장병에 시달릴 수 있다. 화토(火土)가 많으면 신장, 방광에 문제가 생긴다. 그러나 금수(金水)가 많고 화(火)가 허약하면 심장, 소장에 병이 오는데 특히 술토(戌土)가 있으면 심장에 큰 병이 올 수 있다. 토(土), 금(金)이 많은데 목(木)이 적으면 간, 담에 병이 오고 화(火)가 많거나 목화(木火)가 많으면 폐, 대장이 허약하다.
지지에 축(丑), 미(未), 술(戌)이나 오(午), 사(巳)가 하나라도 있고 금(金)이 있고 목(木)도 있으면 건강하고 부귀장수한다. 화토(火土)가 많은데 금(金)이 허약하거나 없으면 남녀 모두 음란할 수 있으며 재물을 잃으며, 반대로 수(水)가 셋 이상 과다하게 많은데 화토(火土)가 허약하면 남성은 처를 극하고 집에서는 인색해도 다른 여성에게는 아낌없이 돈을 쓸 수 있으며 첩을 두기도 한다. 이런 남성의 처는 애인이 있어도 경제권을 쥐고 가정을 소중하게 지킨다.
그러나 여성의 경우 수(水)가 과다하면 욕심이 많고 음란하거나 재물을 잃기 쉽다. 금(金)이 많고 목(木)이 허약하면 남성은 명예를 그르치고 여성은 남편을 극하며 목(木)이 과다하면 여성은 많은 남자와 인연을 맺을 수 있으며, 남성은 명예욕에 일신을 망칠 수 있다. 화(火)가 두 개 정도 있고 금(金)도 있으면 학문으로도 성공할 수 있다.
성격은 밝고 쾌할한 듯해도 현실을 기피하려는 습성이 있다. 그래서 여행을 자주 가고 싶고 산중에 은거하고 싶기도 하다. 그러므로 때때로 불안 우울증이 있으며 이성을 그리워하며 술잔을 기울이는 낭만적인 성품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하지만 길이 막히면 조급증에 신경질이 솟구치고 독선으로 흐르기 쉬우므로 이 점을 유념하고 수행으로 고치면 낙관적이고 미적 감각, 그리고 미래를 염원하는 동경심이 결실을 보아 대성할 수 있을 것이다. 부모 형제도 마음에 맞지 않으면 냉정하게 등을 돌리는 야멸찬 기질도 정화시켜야 한다.
구원의 기질은 신(申)과 자(子)인데 하나만 있어도 재앙에서 벗어난다. 그러나 신(申)이 있는데 운에서 인(寅)을 만나거나 자(子)가 있는데 오(午)를 만나면 불행한 일이 생길 수 있다.
혼인은 갑(甲), 인(寅), 묘(卯)운에 하는데, 갑인(甲寅)일 배우자를 만나면 해로하고 을사(乙巳)일을 만나면 이별하기 쉽다. 갑(甲)이 있고 사(巳)가 있거나 인묘(寅卯)가 있고 을(乙)이 있으면 성격차이가 심해도 쉽게 헤어지지 않는다.
庚子日(경자일): 경은 金, 자는 水
경금(庚金)은 단단하고 알차게 하며, 쥐띠 자(子)는 음습한 중에 양기를 잉태한 기질이 있으며 경금(庚金)의 기운을 받아서 맑고 금(金)을 깨끗하게 한다. 그래서 총기가 남다르며 문학, 예술, 음악에 재능이 있고 비판적 평론에 뛰어나다.
팔자에 화(火)가 하나나 둘이 있어도 금수(金水)가 많으면 심장, 소장이 허약해서 빈혈증세가 있을 것이며 화토(火土)가 많으면 신장, 방광이 허약해서 아침에 얼굴과 손발이 부어오를 수 있다. 단 목(木)이 허약한데 토금(土金)이 많으면 간, 담에 병이 오기 쉽다.
수(水)가 과다하게 많고 화(火)가 적고 목(木)이 없거나 허약하면 뛰어난 예술가가 될 수 있으나 남성은 구설수에 자꾸 오르고 여성은 이별하기 쉬우며, 토금(土金)이 과다하게 많고 수(水)가 적은데 목(木)이 하나만 있으면 남녀 모두 음란하거나 재물을 잃기 쉽다. 반대로 목(木)이 과다하게 많고 금(金)이 약하면 남성은 처를 극하고 인색하며 첩을 두거나 다른 여성에게는 후한 성품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런 남성의 처는 애인을 두되 가정을 소중히 여기고 경제를 책임지기도 한다. 만약 여성이 목(木)이 과다하게 많으면 욕심이 크고 음란할 수 있으며, 금(金)이 약하고 토(土)도 허약한데 화(火)가 과다하게 많으면 여성은 여러 남성과 인연을 맺을 수 있고 남성은 욕망에 광분하다가 늦게 일신을 망칠 수 있다. 그러나 토(土)가 적당히 있으면 학문으로도 성공한다.
성격은 대체로 아름답고 몸의 피부가 얼굴보다 더 고운데 외롭고 쓸쓸함을 견디지 못해 늘 고독하게 화려한 이상세계를 동경하는 기질이 있다. 맑고 깨끗하여 솔직담백하고 감상적이며 목소리도 아름답다. 그러나 진(辰), 술(戌) 따위가 있으면 몸도 마음도 반대로 나타난다. 아무튼 이 일주는 차가운 듯 인정이 흐르고 유순한데다 동정심도 많아서 사회에 큰 일을 할 수 있다. 자신도 이해하기 어려운 독선적인 성격, 그리고 이성에 대한 그리움을 수행으로 다스리면 큰 인물이 될 것이다. 특히 여성의 경우 이별의 기운이 감돌고 있으므로 유념해야 하며 남성은 천덕이 있겠다.
혼인은 을(乙), 축(丑), 신(申), 진(辰)운에 하고 이 때 애인도 생길 수 있는데, 을축(乙丑) 일주와 만나면 해로하고 병오(丙午) 일주를 만나면 이별하기 쉽다. 병(丙)이 있고 축(丑), 신(申), 진(辰)이 있거나, 오(午)가 있고 을(乙)이 있으면 잘 싸우면서도 쉽게 헤어지지 않는다. 구원의 기질은 축(丑)과 미(未)인데 하나만 있어도 구원받는다. 축미(丑未)가 다 있거나 축(丑)일 때 미(未), 미(未)일 때 축(丑)운을 만나면 여러 가지 재앙을 입을 수 있다. 그러나 축(丑)일 때 오(午)가 있고, 미(未)일 때 자(子)가 있으면 구제받는다.
辛丑日(신축일): 신은 金, 축은 土
칼날같은 신금(辛金)의 기질에 양기를 가득히 품은 습한 토축(土丑) 소띠가 어울린 이 일주는 이별과 슬픔, 배신의 의미가 짙게 드리워져 있다. 축(丑)은 차갑고 음습하기에 화(火)가 허약한 사람은 심장, 소장이 약해서 저혈압에 시달리게 되는데 여성은 자궁이 냉습해서 물혹이 생기거나 냉이 많이 흐르게 된다. 또 유산을 하기 쉬운 체질이기도 하다. 미(未)와 술(戌)이 있으면 생식기 병에 걸리기 쉽고 그 날카로운 성질 때문에 위도 위험하다. 미(未), 술(戌)이 모두 있으면 신장, 방광도 좋지 않고 폐, 대장도 좋지 않으니 성한 곳이 없겠다. 목(木)이 하나나 둘이 있고 목화(木火)가 많으면 폐, 대장에 병이 올 것이며, 수목(水木)이 많으면 비, 위에 병이 올 것이다.
토금(土金)이 많고 수(水)가 없거나 하나밖에 없는데 목(木)이 적으면 남녀 모두 음란할 수 있고 욕심이 많아도 가난하다. 목(木)이 없거나 약한데 화(火)가 적으면서 금수(金水)가 많으면 남성은 구설수에 자주 오르고 여성은 이별하기 쉽다. 또 수(水)가 적은데 목(木)이 셋 이상 과다하게 많으면 남성은 성질이 급하고 흉포해져서 여성을 극하고 인색하며 첩을 둘 수 있으며, 처는 애인을 두되 가정을 소중하게 여긴다. 여성은 재물욕이 많으면서 음란하기 쉽다. 목화(木火)가 과다하게 많은데 토(土)가 적으면 신금(辛金)이 허약해져서 남성은 이룰 수 없는 욕망에 광분하다가 일신을 그르칠 수 있으며, 여성은 동성보다 이성과 많은 관계를 맺는다. 토(土)가 있으면 학문으로도 성공하는데 이 때 목(木)이 많으면 거부가 될 수 있고, 화(火)가 강해도 귀하게 될 수 있다.
성격은 피안을 동경하는데 근심, 걱정이 떠날 날이 없다. 그리고 남의 속마음을 알고 싶은 호기심 때문에 쓸데없는 의심과 추측으로 마음 고생이 심하겠고 모사를 꾸며서 이익을 챙기려는 내성도 있다. 그러나 이 일 저 일에 함부로 관여해서 손해보기 쉽고 낭비벽이 순식간에 일어나서 재산을 탕진하기도 한다. 이 사람은 비판적인 두뇌를 학문적으로 쓰거나 감상적인 기질을 문학 예술 등에 쏟는다면 크게 명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며 수행으로 심신을 바르게 닦으면 밝은 인생을 의심하지 않아도 된다.
혼인은 병(丙), 자(子), 유(酉)에 하는데 이때 애인을 둘 수 있으며, 병자(丙子) 일주를 만나면 해로하고 정미(丁未) 일주를 만나면 헤어지기 쉽다. 병(丙)이 있는데 미(未)가 팔자에 있거나 정(丁)이 있는데 자(子), 유(酉)가 있으면 잘 싸우면서도 쉽게 헤어지지 않는다. 구원의 기질은 사(巳), 묘(卯)인데 하나만 있어도 여러 가지 재난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러나 사(巳)일 때 해(亥)운이 오거나, 묘(卯)일 때 유(酉)운이 오면 위험해진다. 다만 사(巳)가 있고 해(亥)운이 올 때, 팔자에 인(寅)이 있거나 묘(卯)가 있고 유(酉)운이 올 때 팔자에 진(辰)이 있으면 무난하다.
壬寅日(임인일): 임은 水, 인은 木
임수(壬水)는 만물을 잉태시키는 기질이 있고 범띠 인(寅)은 만물이 생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처세술이 뛰어나고 부귀할 수 있는 명운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지지에 사(巳), 신(申)을 두려워하는데 이것이 있으면 형벌이 가해지거나 기이한 사고가 자주 일어나며 쉽게 배신당한다.
신(申), 유(酉)가 있고 또 토금(土金)이 많으면 간, 담에 병이 들고, 토(土)가 적은데 목(木)이 셋이 있으면 비, 위에 병이 올 것이며, 금(金)이 적은데 화(火)가 과다하면 폐, 대장에 나쁜 병이 올 수 있다. 그리고 화토(火土)가 많으면 신장, 방광이 허약해질 것이며, 겨울에 태어나고 금수(金水)가 많으면 심장, 소장에 병이 온다. 그러나 지지에 해(亥), 자(子), 축(丑), 신(申), 유(酉), 진(辰) 중 하나라도 있고 금(金)이 있으면서 화토(火土)가 있으면 부귀하고 건강 장수한다.
다만 신(申)일 때는 사(巳)나 묘(卯)가 있으면 무난하고 없으면 사고를 당할 수 있다. 지지에 축(丑), 자(子), 신(申), 유(酉), 해(亥)가 하나 있는데 토(土)가 적게 있고 목(木)이 셋이 있으면 남성은 폭발적인 성격에 명예를 실추시키고 여성은 이별하기 쉽다. 이때 화(火)가 강하면 구원받고 화(火)운에 오히려 부귀한다.
금수(金水)가 과다하게 많은데 화(火)가 없거나 하나가 있으면 남녀 모두 음란하거나 재물을 모으기 어려워지며, 반대로 화(火)가 과다하게 많으면 남성은 여성을 극하고 처첩을 거느릴 수 있으며 인색하다. 애인을 둔 처와 혼인할 수도 있는데 가정을 아끼는 여성이다.
만약 여성이 화(火)가 과다하게 많으면 음란하거나 욕심이 많고 남편을 극한다. 또 화토(火土)가 많으면 남성은 욕망 때문에 일신을 그르칠 수 있고 여성은 동성보다 이성과 많은 인연을 맺는다.
성격은 힘차게 터져나오는 인목(寅木)의 기상답게 강한 것에 굴복하지 않으며 권력 앞에서도 태연히 처신하는 기질이 있다. 이상이 높고 영웅적 성품이 있는데다 처세가 능하고 군자의 위풍도 서려 있다. 다만 빠른 두뇌회전이 이기적으로 변할 수 있으며 포용하는 넓은 진실이 결핍되어 있다. 때에 따라서는 우유부단해져서 기회를 놓칠 수 있으며 조급증이 일어나면 실패한다.
인(寅)은 부지런히 산야로 돌아다니는 범의 기질이 있다. 그래서 목(木)이 많으면 흉포한 성격으로도 변하는데, 한 곳에 머물지 못하고 돌아다니기를 좋아한다. 해(亥), 신(申), 사(巳)가 또 있으면 해외 나들이도 많고 무역업, 외교관으로도 성공하며 이주할 수도 있다.
남녀 모두 이성이 많이 따르는데 지나치게 똑똑해서 가정 불화가 생길 수 있으므로 자제할 줄 알아야 한다. 제 아무리 똑똑한 사람도 알고보면 오십보 백보에 지나지 않는다. 겸양하고 어리석음을 버려야만 존경받게 될 것이다.
혼인은 정(丁), 해(亥), 오(午)운에 하는데 정해(丁亥) 일주를 만나면 사이좋게 해로하고 무신(戊申) 일주를 만나면 헤어지기 쉽다. 무(戊)가 있고 해(亥), 오(午)가 있거나 신(申)이 있고 정(丁)이 있으면 성격 차이로 싸울 일이 많아도 쉽게 헤어지는 일은 드물다. 구원의 신은 사(巳), 묘(卯)에 있는데 하나만 있어도 모든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러나 사(巳)는 해(亥)운, 묘(卯)는 유(酉)운을 두려워해야 한다.
癸卯日(계묘일): 계는 水, 묘는 木
만물을 잉태한 계수(癸水)의 지혜와 자라나는 새싹의 어진 성품인 토끼띠 묘(卯)가 만난 이 사람은 총명하고 진취적이며 무한한 능력의 소유자이다. 특히 묘(卯)는 뛰어난 잠재력을 지녔기 때문에 자신의 일에 총력을 기울이면 대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색을 밝히는 토끼처럼 이성에 잡착하면 그 방면에 탐닉해서 일생을 망칠 수가 있다. 특히 자(子)가 있으면 생식기 병을 앓을 수 있으며 유(酉)나 오(午)가 있어도 육욕을 견디기 어려워한다.
유(酉), 신(申)이 있고 토금(土金)이 많으면 간, 담에 병이 오고, 오(午), 미(未), 사(巳)가 있고 화(火)나 토(土)가 많으면 신장, 방광에 병이 올 수 있다. 화(火)가 있고 금수(金水)가 과다하게 많으면 심장, 소장이 허약해서 잘 놀랄 것이며, 금(金)이 있고 목화(木火)가 과다하면 폐, 대장이 허하며, 토(土)가 있고 수목(水木)이 많으면 비, 위에 병이 들 것이다.
지지에 해(亥), 자(子), 축(丑), 진(辰), 신(申), 유(酉)중 하나라도 있고 목(木)이 셋 이상 있는데 금(金)이 하나가 있으면 남성은 구설수에 휘말리기 쉽고, 여성은 이별하기 쉽다. 금수(金水)가 과다하게 많은데 화(火)가 하나만 있으면 남녀 모두 이성을 좋아하며 재물을 모으기 어렵다. 화기(火氣)가 셋이상 과다하게 많으면 남성은 주색을 밝히고 인색하며 처첩을 거느릴 수 있고 처는 애인을 두되 가정을 아끼는 사람이 될 것이다. 그러나 여성이 화기(火氣)가 많으면 음란하기 쉽고 욕심이 많은 반면 쉽게 재물을 낭비한다.
성격은 남녀 모두 이성으로부터 인기가 있는데 스스로 잘나서 그런 줄 알고 착각하지만 전혀 그렇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즉 무형의 색기가 흐르고 있기에 그것에 현혹된 사람들이 꽃을 찾는 벌처럼 따르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냉정하게 자신을 돌아보지 않으면 아까운 재능을 썩이고 추하게 된다. 스스로 돌아보아서 성미에 안 맞으면 광적으로 신경질을 부리는데, 대개 성적인 불만족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다. 따라서 귀한 칠성줄을 타고난 자신을 귀하게 생각하고 천도에 순응하면 부귀를 의심하지 않아도 된다.
혼인은 무(戊), 술(戌), 미(未), 해(亥)운에 할 수 있으며 이 때 애인이 생기기도 한다. 그러나 자(子)운에 함부로 연애하면 악질에 걸릴 수 있으므로 유념하여야 한다. 무술(戊戌)일주의 배우자를 만나면 해로하고 기유(己酉)일주를 만나면 헤어지기 쉬우며, 무(戊)가 있고 유(酉)가 있거나 술(戌)이 있고 기(己)가 있으면 성격차이로 잘 싸우지만 쉽게 헤어지지 않는다. 구원의 신은 묘(卯)와 사(巳)인데, 하나 있어도 재난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러나 사(巳)는 해(亥)운, 묘(卯)는 유(酉)를 두려워한다.
甲辰日(갑진일): 갑은 木, 진은 土
터져나오는 갑목(甲木)의 기질에다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용솟음치려는 용띠 진(辰)이 만났다. 그러므로 이 사람은 용기가 넘치고 독립성이 강하며 앞으로 나아갈 줄만 알았지 뒤로 물러서는 지혜가 부족하다.
만약 술(戌)이 있으면 본인을 포함해 부모형제 배우자에게 흉측한 일이 벌어질 수 있다. 봄에 태어나고 수목(水木)이 많으면 비, 위에 큰 병이 올 수 있으며, 여름에 태어나고 토(土)가 많은데 수(水)가 적으면 신장, 방광에 병이 올 것이며, 가을에 태어나고 토금(土金)이 많으면 간, 담에 병이 오는데 특히 금(金)이 강하면 불구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수목(水木)이 있고 화(火)가 강하면서 금(金)도 강하면 건강하고 부귀하다.
수목(水木)이 과다하게 많으면 남녀 모두 흉포한 성격에 색을 좋아하고 부유하기 어려우며, 토(土)가 과다하게 많으면 남성은 인색하고 처첩을 거느릴 수 있으며, 처는 애인을 두되 가정을 훌륭하게 지킨다. 그러나 여성이 토(土)가 많으면 음란하기 쉽고 재물 욕심이 대단하다. 금(金)이 과다하게 많으면 남성은 욕망에 광분하고 여성은 남편을 극하고 여러 남성과 이해관계를 맺는다. 수(水)도 없이 화(火)가 셋이나 되고 금(金)이 있으면 남성은 예술에 능한데 혀 끝에 재앙이 따르고 여성은 이별하기 쉬우며 수(水)가 과다하면 어리석어진다.
성격은 덤벙대기 쉽고 거만하며 이기심과 독선이 가득한데 때에 따라서는 몰염치하게 자신의 이익을 챙기려 든다. 단 풍류적 기질이 있어서 주색에 빠지기 쉬운데 묘(卯), 자(子)가 있으면 더욱 그러하다. 여성도 현모양처가 되기 어려운 팔자인데 원한, 질투, 시기, 폭력의 고통이 따를 수 있다. 비록 인덕은 없어도 수행으로 결점을 고치면 인정이 많은데다 횡재운도 있어서 대성은 의심하지 않아도 된다.
혼인은 기(己), 유(酉), 자(子)운에 있는데 이 때 애인도 생길 수 있으며, 기유(己酉) 일주를 만나면 해로하고, 경술(庚戌) 일주를 만나면 헤어지기 쉽다. 경(庚)이 있고 유(酉)가 있거나 술(戌)이 있고 기(己)가 있으면 성격차이로 잘 싸워도 쉽게 헤어지지 않는다. 구원의 신은 축(丑)과 미(未)에 있는데 하나만 있어도 구원받는다. 그러나 둘 다 있으면 어려운 일이 자주 벌어지는데 자(子)와 오(午)가 구제해준다.
乙巳日(을사일) : 을은 木, 사는 火
힘차게 솟아오르는 을목(乙木)의 기질과 활활 타오르는 불꽃 뱀띠 사화(巳火)가 어울려서 잘 웃고 잘 우는 성품으로 나타난다. 화려한 불꽃처럼 예술적 재능이 있으면서 정도 많고 한도 많은 사람이라 하겠다. 예의가 바르고 명랑하면서도 온순하여 타인의 사랑을 한몸에 받을 수 있는데 항상 바쁘고 심약한 기질이 있다. 그리고 인(寅)과 해(亥)가 두려운데 여러 가지 횡액을 당할 수 있으며 해외에 이주할 수 있다.
봄이나 여름에 태어나고 금(金)이 하나 있으면 폐, 대장이 허하고, 봄에 태어나고 수목(水木)이 많은데 토(土)가 적으면 비, 위가 상하게 될 것이며, 여름에 태어나고 화토(火土)가 많은데 수(水)가 있으면 신장, 방광에 힘이 없다. 단 가을에 태어나고 토금(土金)이 많으면 간, 담이 좋지 않고 가을이나 겨울에 태어났는데 금수(金水)가 많으면 심장, 소장이 좋지 않다. 그러나 수(水)와 목(木)이 하나씩 있고 토(土)와 금(金)이 적당히 있으면 부귀하고 건강장수한다.
지지에 축(丑), 진(辰)이나 수목(水木)이 있는데 화(火)가 셋이나 되고 금(金)이 있으면 남성은 횡액을 당하기 쉽고, 여성은 이별할 것이며, 수목(水木)이 과다하게 많은데 토(土)가 있으면 남녀 모두 배우자를 극하고 폭력적이며 불륜을 저지르기 쉽고 재물복이 없다. 반대로 토(土)가 과다하게 많으면 남성은 처첩을 둘 수 있다. 여성이 토(土)가 많으면 욕심이 많고 음란하기 쉽다. 수목(水木)이 있으나 토금(土金)이 과다하게 많으면 남성은 출세욕에 광분하지만 뜻을 이루기 어렵고 여성은 남성적 기질이 있으면서 남성과 많은 인연을 맺는다. 그리고 수(水)가 많으면 어리석은 사람이 되기 쉽다.
혼인은 경(庚), 신(申), 유(酉)운에 있는데 경신(庚申) 일주를 만나면 해로하고 신해(辛亥) 일주를 만나며 이혼하기 쉽다. 그러나 경(庚)이 있고 해(亥)가 있거나 신(申), 유(酉)가 있고 신(辛)이 있으면 성격차이로 자주 다투지만 쉽게 헤어지지 않는다. 구원의 신은 신(申)과 자(子)에 있으며 하나만 있어도 재난에서 구원받는다. 그러나 신(申)일 때 인(寅), 자(子)일 때 오(午)가 있거나 오(午)운에서 위험해지는데, 신(申)은 해(亥), 자(子)는 미(未), 진(辰)이 팔자에 있으면 구원받을 수 있다.
丙午日(병오일): 병은 火, 오는 火
활화산 같은 병화(丙火)에 음, 양이 교차되는 말띠 오화(午火)가 어울린 이 사람은 흥망성쇠가 다단하다. 높은 이상과 도전적인 열정은 거침없이 일을 성취하지만 한순간에 무너져내릴 수 있다.
봄이나 여름에 태어나고 화토(火土)가 있는데 수(水)가 있으면 신장, 방광이 병들고 금(金)이 있으면 폐, 대장이 허약해진다. 특히 금(金)의 기세가 있는 듯 하면 고혈압을 조심하지 않으면 안 된다. 가을이나 겨울에 태어나고 수(水)도 없이 금수(金水)만 과다하면 심장, 소장에 병이 오기 쉽고, 목(木)이 있고 금(金)이 셋 이상이면 간, 담에 병이 오기 쉽다.
목화(木火)가 많은데 금(金)이 있으면 남녀 모두 색난을 일으키기 쉽고 가난해질 수 있으며, 수(水)가 있고 금(金)이 과다하게 많으면 남성은 인색하고 처첩을 거느릴 수 있으며 처는 애인을 둘 수 있되 가정을 잘 이끌어준다. 그러나 여성이 금(金)이 과다하면 음난하거나 과욕 때문에 망신당할 수 있으며 재물을 쉽게 잃을 수 있다. 수(水)가 있고 금(金)이 없거나 적은데 토(土)가 과다하면 남성은 망신당하기 쉽고 여성은 이별할 수 있으며, 수(水)가 셋 이상 있으면 남성은 욕망이 대단하지만 이루기 어렵고 여성은 남성적 기질에다 남성과 많은 인연을 맺는다.
성격은 낭비가 심한 편인데 큰 사업보다 작은 사업에 만족할 줄 알아야 한다. 낭비벽을 조심하지 않으면 한순간에 재산을 탕진할 수 있다. 특히 주색과 도박, 투기를 즐기지만 한때 횡재하는 수가 있어도 오래 지키지 못한다.
남녀 모두 미남 미녀가 많은데 타고난 언변술에 교묘한 지혜가 있어서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 매력이 있으므로 분수에 맞게 처신하면 사회적 명사가 될 것이다. 수행심이 지극히 요구되므로 마음을 닦아서 결점을 고치면 문학, 예술, 음악 등에서도 큰 빛을 보게 된다.
혼인은 신(辛), 미(未), 인(寅), 술(戌)운에 있고 이 때 애인이 생긴다. 신미(辛未) 일주 배우자는 만나면 해로하고 임자(壬子) 일주를 만나면 헤어지기 쉽다. 그러나 임(壬)이 있고 미(未)가 있거나, 자(子)가 있고 임(壬)이 있으면 성격차이가 심해도 쉽게 헤어지지 않는다. 구원의 신은 해(亥), 유(酉)인데 팔자에 하나만 있어도 어려움에서 쉽게 벗어날 수 있다. 다만 해(亥)일 때 사(巳), 유(酉)일 때 묘(卯)를 운에서 만나면 위험한 일이 있다.
丁未日(정미일) : 정은 火, 미는 土
정화(丁火)의 은은한 불씨와 음기가 타오르는 양띠 미(未)의 만남은 조용한 성품에 높은 이상을 품고 내색하지 않으면서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사람이다.
그럼에도 술(戌), 축(丑)이 있으면 위에 큰 병이 올 수 있고 생식기에 악질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이 너무 더운 탓에 금(金)이 있으면 폐, 대장에 병이 오기 쉽다. 목(木)이 과다하면 비, 위가 약해서 고생하고 목(木)이 있고 토금(土金)이 과다하면 간, 담의 기가 허약하다. 그러나 금수(金水)가 많으면 심장, 소장이 약해서 저혈압에 시달린다.
목화(木火)가 많은데 금(金)이 적으면 남녀 모두 배우자를 극하고 쉽게 재물을 잃을 것이며, 금(金)이 셋 이상되면 인색하고 남성은 처첩을 거느리기 쉬우며 경제력이 있는 처를 둔다. 여성이 금(金)이 많으면 욕심이 대단하고 음란할 수 있으며 돈놀이 등으로 크게 손해볼 수 있다. 목(木)도 없이 수(水)가 많으면 남성은 심약하고 욕망은 있어도 뜻을 이루기 어렵고 여성은 남성을 극하고 많은 남성과 접촉하는 직업 등을 가질 수 있으며 토(土)가 과다하게 많고 수(水)가 적으면 남성은 구설수에 자주 오르고 여성은 이별하기 쉽다.
성격은 사람이 진실하여 거짓되지 않으며 인정을 베풀 줄 알고 사리와 분별이 밝은 사람이라 실패가 적다. 대개 예능과 특수한 기술에 재능이 있는데 손재주가 있으며 독립성이 강하여 자수성가하는 사람이 많다. 때때로 일어나는 반항기와 이기적인 속성만 버리면 대성한다. 나이들면 종교 학문에 크게 관심을 기울이게 될 것이므로 어릴 때 방황해도 결코 비뚤어지게 나가지 않는다. 정서적이고 자애로운 사랑이 요구되므로 그런 환경이 필요하다. 평생 화재를 조심하고 화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늘 유념해야 하겠다.
혼인운은 임(壬), 오(午), 묘(卯)운에 있는데 임오(壬午) 일주와 만나면 해로하고 계축(癸丑)일주와 만나면 이혼하기 쉽다. 임(壬)이 있고 축(丑)이 있거나 오(午), 묘(卯)가 있고 계(癸)가 있으면 성격 차이가 두드러져도 쉽게 헤어지지 않는다. 구원의 기질은 해(亥)와 유(酉)인데 하나만 팔자에 있어도 어떤 재앙에서도 벗어날 수 있다. 다만 해(亥)일 때 사(巳), 유(酉)일 때 묘(卯)운이 오면 위험하다. 그러나 술(戌)이 팔자에 있으면 위험이 적다.
戊申日(무신일): 무는 土, 신은 金
무토(戊土)는 만물을 길러주고 잔나비 띠 신금(申金)은 만물의 형상을 완성시키기에 예술적인 재능이 있으며 한 번 결심하면 어떤 충고도 듣지 않고 초지일관하는 기질이 있다.
인(寅), 사(巳)가 두려운데 형액, 사고 등을 당할 수 있으며 해(亥)와 함께 하나만 더 있어도 나돌아다니기를 좋아하고 해외에 이주할 수도 있으며 외교관이나 무역업으로 성공하기도 한다.
봄이나 여름에 태어나고 화(火)가 많으면 폐, 대장이 허약하고, 가을에 태어나고 토금(土金)이 많은데 목(木)이 있으면 간, 담에 병이 올 것이며, 겨울이나 봄에 태어나고 수목(水木)이 많으면 비, 위에 문제가 생길 수 있고 화토(火土)가 많고 수(水)가 있으면 신장, 방광에 문제가 생긴다. 특히 미(未)와 술(戌)이 있으면 당뇨병을 앓기 쉽다. 여름에 태어났더라도 금수(金水)가 많으면 심장, 소장이 나빠져서 저혈압에 시달리며 화기(火氣)가 많으면 고혈압을 염려해야 한다. 그러나 지지에 술(戌), 축(丑), 진(辰), 미(未), 오(午), 사(巳), 인(寅)등이 하나라도 있고 수목(水木)이 적당히 있으면 부귀하고 건강장수한다.
지지에 화토(火土)가 하나라도 있고 금(金)이 셋이나 되는데 목(木)을 보면 남성은 기이한 일을 많이 당하고 여성은 이별하기 쉬우며, 화토(火土)가 많고 수(水)가 적으면 남녀 모두 배우자를 극하고 재물을 모으기 어려워진다. 그러나 화토(火土)가 지지에 하나씩 있는데 수(水)가 셋 이상 있으면 남성은 주색을 밝히기 쉽고 인색하며 처가 경제권을 쥐고 가정을 이끌어간다. 역시 지지에 화토(火土)가 하나씩 있는데 미(未)가 셋 이상 있으면 포악한 성미가 나타나고 남성은 욕망이 강하지만 때를 만나지 못하고 여성은 남성을 극하는데 남성과 많은 인연을 맺게된다.
성격은 노파심이 많아서 필요 이상으로 조심성이 있으며 동정심이 있어서 나중에 복을 되돌려 받는다. 사람이 의롭고 많은 사람을 거느릴 수 있는 그릇이라 할 수 있는데 남녀 모두 배우자와 이별하거나 떨어져 살아야 할 기운이 내재되어 있다. 음식 솜씨가 뛰어나서 요리가로서도 대성할 수 있는데 한 곳에 머물지 못하는 기질 때문에 변화 많은 인생이 될 수 있으므로 자신의 특징을 잘 살펴서 한 곳에 머물면 아름다운 인생이 보장되어 있다.
혼인은 계(癸), 사(巳), 자(子)운에 있고 계사(癸巳) 일주와 만나면 해로하는데 갑인(甲寅)과 만나면 이별하기 쉽다. 갑(甲)이 있고 오(午), 해(亥)가 있거나 인(寅)이 있고 계(癸)가 있으면 성격 차이가 심해도 헤어지지 않는다. 구원의 신은 임(壬)과 미(未)에 있는데 하나만 있어도 재앙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둘다 있거나 운에서 만나면 두려운 일이 생긴다.
己酉日(기유일): 기는 土, 유는 金
기유(己酉)는 만물을 자양해서 형상을 갖추게 하는데 닭띠 유금(酉金)은 열매를 맺어 몸체와 분리되는 기질이다. 형상을 만들어 낸다는 것은 예술성이며 그 열매를 맺게 하는 것은 완성이자 아름다움의 극치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사람은 용모가 수려하고 익은 열매가 떨어짐이니 쓸쓸한 기운이 감도는 가운데 사후 세계를 생각할 줄 아는 종교심이 깊을 것이다.
우선 건강을 체크해보면 가을에 태어나고 토금(土金)이 많은데 목(木)이 적으면 간, 담에 병이 들기 쉽고, 봄이나 여름에 태어나고 화(火)가 많으면 폐, 대장이 허약하며, 겨울에 태어나고 화토(火土)가 많으면 심장, 방광이 병들 것이며, 여름에 태어나고 금수(金水)가 많으면 심장, 소장이 허약해서 저혈압 증세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자(子)나 묘(卯), 오(午)가 하나라도 더 있으면 색을 즐기는데 특히 자(子), 묘(卯)가 있으면 생식기 또는 유방에 병이 올 수 있다. 그러나 여름에 태어나고 토(土)가 또 있고 수(水)와 목(木)이 적당히 있다면 부귀하고 건강장수 하게 된다.
지지에 화(火)나 토(土)가 하나 있는데 금(金)이 셋이나 있고 목(木)이 하나 있으면 남성은 명예를 더럽히기 쉽고 여성은 이별하기 쉽다. 화(火) 토(土)가 과다하게 많은데 수(水)가 하나 있으면 남녀 모두 음란하기 쉽고 재물을 모으기 어려워진다. 단 화(火), 토(土)가 하나 있는데 목(木)이 셋 이상 과다하게 많으면 남성은 욕망이 대단하나 기력이 쇠약해서 뜻을 이루기 어려우며 성격만 난폭해질 수 있다. 여성은 남편을 극하며 남성적인 기질이 있겠다.
화(火)가 많으면 우매한데 두 개 정도 있으면 학문으로 성공할 수 있다. 여기에 금(金)이 또 있으면 예술가 종교가로 명성을 얻고 다시 수(水)가 있어주면 거부가 될 것이며 목(木)까지 있다면 귀한 신분에 오를 수 있다.
성격은 우수에 젖은 듯 위엄이 있고 온순하고 정직하며 예의 발라서 인덕이 있다. 다만 여기에 묘(卯), 술(戌), 자(子), 인(寅) 등이 몰려 있으면 성격과 외모가 정반대로 나타난다. 즉 심술이 그득하고 버릇이 없으며 무지하고 추하다. 이런 경우 어릴 때는 예쁜데 나이가 들어갈수록 변화된다. 그러므로 어릴 때부터 마음을 곱게 쓰면 본래의 순수한 기유(己酉)의 성품과 용모대로 변하는 만큼 교육을 잘 시켜야 한다. 그리고 이 일주는 특별히 음식을 탐하는데 미식가이며 음식 만드는 솜씨가 뛰어나다.
혼인은 갑(甲), 진(辰), 사(巳), 축(丑)운에 하는데 을묘(乙卯) 일주와 만나면 해로한다. 신(申)이 있고 묘(卯)가 있거나 진(辰), 사(巳), 축(丑)이 있고 을(乙)이 있으면 성격차이가 크지만 쉽게 헤어지지 않는다. 귀한 신은 신(申)과 자(子)인데 팔자에 하나만 있어도 재난에서 구원받는다. 그러나 갑(甲)이 있는데 인(寅)운, 자(子)가 있는데 오(午)운은 위험한 일이 닥칠 수 있으며 이때 팔자에 사(巳), 축(丑)이 있으면 구제된다.
庚戌日(경술일): 경은 金, 술은 土
이 일주는 노태우 전 대통령의 일주와 같다. 경금(庚金)은 만물을 여물게 하고 개띠 술토(戌土)는 만물을 죽음으로 끌고가서 수장시킨다. 그러므로 고독한 심성에 감정도 풍부하다. 문장력도 뛰어나며 용감한 기질이 있다.
건강을 보면 봄이나 여름에 태어나고 목(木)이나 화(火)가 셋 이상 있으면 폐, 대장이 병들기 쉽고, 봄에 태어났더라도 토금(土金)이 많으면 간, 담이 허약하며 봄에 태어나고 수목(水木)이 많으면 비, 위에 병이 들어 고생할 수 있다. 여름에 태어났더라도 금수(金水)가 많으면 신장, 방광에 병이 온다. 특히 목화(木火)가 많으면 고혈압을 조심해야 한다.
목(木)이 있는데 토금(土金)이 과다하면 남녀 모두 배우자를 극하고 재물운도 없다. 그러나 수(水)가 없거나 하나 뿐인데 목(木)이 셋 이상 있으면 남성은 처를 극하고 첩을 둘 수 있으나 처는 가정을 소중하게 지킨다. 그러나 여성이 목(木)이 과다하면 재물욕이 많은 데다 음란할 수 있으며 남편의 권위를 빼앗을 수 있다.
목(木)이 없거나 하나뿐인데 수(水)가 과다하면서 화(火)가 하나뿐이면 남성은 출세욕이 강하지만 뜻을 이루기 어렵고 여성은 남성적인 기질이 있으며 남성과 많은 인연을 맺는다. 토(土)가 과다하면 우매하기 쉬운데, 하나만 있으면 학문적이다. 또 지지에 화(火)와 수(水)가 과다해도 목(木)이 있으면 예능적 재질이 있고 거부가 될 수 있으며 화(火)도 있다면 건강하고 장수하며 귀한 신분이 될 수 있다.
성격은 괴팍하고 흉포한 기질을 동시에 지녔다. 남녀 모두 진(辰)이나 축(丑) 미(未)가 함께 있으면 고질병이 있으며 액을 당하기 쉽다. 여성은 총명하고 미인이 많다. 다만 고집불통이고 처세가 뛰어난데 질투심도 대단하면서 진실성이 결여되어 있다. 의지와 자존심 높은 이상, 그리고 열정은 큰 인물이 될 수 있는데 이기심이 가득차서 출세한 뒤에도 나중에 인생을 그르치는 사람들이 많다. 보통 군인, 검찰, 경찰 분야에서 대성하거나 운동 선수로도 명성을 얻는데 덕을 베풀고 욕심을 버려야만 후일 인생이 복될 것이다.
혼인은 을(乙), 묘(卯), 우(牛)운에 있는데 을묘(乙卯) 일주와 만나면 해로하고 병진(丙辰) 일주와 만나면 헤어지기 쉽다. 그러나 병(丙)이 있고 묘(卯)가 있거나 진(辰)이 있고 을(乙)이 있으면 싸우면서도 쉽게 헤어지지 못한다. 구원의 신은 축(丑)과 미(未)인데 하나만 있으면 재앙에서 구제되지만 둘 다 있으면 여러 가지 기이한 일을 만난다. 미(未)가 있는데 축(丑)운, 축(丑)이 있는데 미(未)운은 급작스럽게 어려운 일이 닥치는데 자(子), 오(午)가 있으면 구원받을 수 있다.
辛亥日(신해일): 신은 金, 해는 水
신금(申金)은 이별의 기운이며 돼지띠 해수(亥水)가 기운을 빠져나가게 하므로 맑고 깨끗하다. 따라서 이 사람은 맑은 마음에 항상 따뜻한 정을 그리워하며 때때로 고독한 심성을 이기지 못하는데 가을에 태어났으면 눈물도 많겠다. 팔자에 사(巳), 신(申), 인(寅)이 하나라도 더 있으면 나돌아다니기를 좋아하고 시에 있으면 해외에 이주할 수도 있다. 무역업이나 외교관으로도 성공하는데 사(巳)가 있으면 횡액이 불시에 미친다. 그러나 사(巳)옆에 토(土)가 있거나 신(申) 또는 유(酉)가 있으면 해소되는데 묘(卯)가 있어도 걱정 없다.
건강은 대체로 사(巳), 오(午), 미(未), 인(寅), 유(酉), 정(丁)이 적게 있고 금수(金水)가 많으면 심장, 소장이 약해서 빈혈에 시달릴 것이며, 화(火)가 있는데 토(土)가 많으면 신장, 방광이 허약하다. 특히 미(未), 술(戌), 오(午)가 있으면 당뇨에 시달릴 수 있으며, 목(木) 화(火)가 많은데 금(金)이 적으면 폐와 대장에 병이 온다.
수(水)가 많은데 목(木)이 없거나 하나 있고 화(火)가 있으면 남녀 모두 예능에 재능이 있는데 남성은 말끝에 재앙이 올 수 있으며 여성은 이별하기 쉽다. 특히 축(丑)이 있으면 여성은 자궁이 냉습해서 자궁병이 올 수 있다. 금(金)이 많고 토(土)도 있는데 목(木)이 하나 있으면 남녀 모두 음란하기 쉽고 가난을 면하기 어려워진다. 토(土)가 셋이나 되면 어리석기 쉬우나 목(木)이 있으면 학문으로 성공한다. 여기에 토(土)나 금(金)이 하나라도 있고, 화(火)도 있으면 귀하게 된다. 그리고 건강하고 장수할 것이다.
성격은 신금(辛金)의 냉하고 쓸쓸한 이별의 기질 때문에 누군가 원망하거나 작은 일에도 마음을 상하기 쉽다. 성격이 소심해서 근심 걱정을 만들어서 괴로워하며 가끔 신경과민으로 히스테리가 일어날 수 있다. 여성의 경우 심하면 정신착란을 일으킬 수 있으며 속단하고 오해하는 기질이 심해서 우울증에 빠지거나 염세적으로 변하기도 한다.
종교적인 심성과 예술, 문학 그리고 철학에 재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총명하고 다재다능하기에 수행으로 마음을 닦으면 크게 명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결점을 고치지 않으면 초라한 범부로 일생을 마감하게 된다.
혼인은 병(丙), 인(寅), 묘(卯)운에 하는데 병인(丙寅) 일주를 만나면 백년해로 할 수 있으나 정사(丁巳)운을 만나면 이별하기 쉽다. 그러나 정(丁)이 있고, 인(寅)이 있거나 사(巳)가 있고 병(丙)이 있으면 마찰은 심해도 쉽게 헤어지지 않는다. 구원의 신은 사(巳), 묘(卯)인데 사(巳) 보다는 묘(卯)가 좋다. 운에서 유(酉)를 만나면 두려워할 일이 생기지만 팔자에 사(巳), 유(酉), 진(辰)이 있으면 해소된다.
壬子日(임자일): 임은 水, 자는 水
임수(壬水)는 순음의 기질이며 쥐띠 자수(子水)는 양기를 잉태한 차가운 물이다. 물의 기질은 한 곳에 머무르지 않고 흐르기에 지혜와 재능이 가득하고 능동적이며 의욕적일 뿐만 아니라 정복욕도 강해서 마음가는 일이 있으면 다 하고 싶어한다.
건강은 축(丑)이 있고 금(金)이나 수(水)가 많으면 여성은 자궁질환을 앓기 쉽고 냉습한데, 화(火)가 하나라도 있으면 남녀모두 손발이 차고 혈압이 낮다. 그러나 화(火)가 많고 토(土)도 많으면 신장, 방광이 허하고 목(木)이 많고 토(土)가 적으면 비, 위가 나빠서 고생한다. 그러나 토(土)가 많고 금(金)도 많은데 목(木)이 적으면 간, 담에 병이 오고 목(木), 화(火)가 많은데 금(金)이 적으면 폐나 대장에 병이 오기 쉽다.
성격은 풍파가 많은 기질에 남성은 주색과 도박에 빠져들 수 있으며 유흥을 즐기는 기질이 있다. 시기심과 질투심도 있고 조급한 성미가 있으며 팔방미인격으로 모르는 것이 없는 사람이다. 하지만 분수에 맞게 초지일관하는 마음으로 대처하지 않으면 일생을 망칠 수 있으며 결점을 고치면 부와 명예를 한 몸에 받을 수 있다.
대체로 이 일주를 타고난 사람은 혼전 임신, 또는 두 번 혼인할 수 있는데 묘(卯), 유(酉), 오(午) 중 하나만 있어도 그런 현상이 두드러진다. 목(木)이 많은데 토(土)가 하나 뿐이면 여성은 반드시 이혼할 수 있고 남성은 재앙을 자초하게 될 것이다. 금수(金水)가 많은데 화(火)가 적으면 남녀 모두 음란하거나 재산을 잃고 방황한다. 그러나 화(火)가 셋 이상 있는데다 토(土)까지 있으면 부잣집 가난뱅이가 되기 쉬우며 금(金)도 없고 목(木)도 없이 화토(火土)만 많으면 남녀 모두 욕심이 대단하고 그로 인해 일신을 망칠 수가 있다.
혼인은 정(丁), 축(丑), 신(申), 진(辰)운에 하는데 정축(丁丑) 일주를 만나면 해로할 수 있으며 무오(戊午) 일주를 만나면 헤어지기 쉽다. 그러나 무(戊)가 있고 축(丑), 오(午)가 있고 정(丁)이 있으면 성격차이가 심해도 쉽게 헤어지지 않는다. 구원의 신은 사(巳), 묘(卯)인데 하나만 있어도 재난에서 벗어날 수 있으나 묘(卯)는 색으로 인해 해를 입는다.
癸丑日(계축일) : 계는 水, 축은 土
양기를 품었으되 음습한 기질의 계수(癸水)와 만물을 곧 생출시키려 하는 축토(丑土)가 만나 이 일주는 종교적인 심성이 깊기에 따뜻한 인정과 굳은 의지만 있으면 높은 직위에서 존경받을 수 있다. 그러나 축(丑)은 전생의 업이 깊은 기질이라 흉폭성이 발동하면 타인을 크게 해치거나 스스로도 큰 상처를 입어야 한다.
여성인 경우 특히 겨울에 태어나고 화(火)가 적으면 자궁병을 앓을 수 있으며 남녀 모두 심장과 소장이 약해서 저혈압에 시달리기도 한다. 또 금(金) 있으면 오히려 고혈압이 올 수도 있다.
다음의 여자 사주(丁丑년 辛亥월 癸丑일 癸丑시)를 보자. 이 여성은 여러 차례 자궁수술을 받은 사람이다. 특히 유산의 경험이 다섯 차례나 있는데, 그 이유는 축토(丑土)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축은 여성의 자궁에 속하고 가장 냉한 토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 사람은 선천적으로 자궁이 매우 냉습한 데다 정화(丁火)가 하나 있기 때문에 평생 빈혈에 시달리면서 무기(巫氣, 무당 기운)도 있었다. 지금도 이에서 벗어나지 못해 정신질환까지 않고 있다. 이 여성은 지금부터라도 오행상 쓰고 단맛 나는 음식을 집중적으로 섭취하고 짜고 매운 음식을 줄이는 식이요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 일주는 또 금수(金水)가 많은데 목(木)이 없거나 하나만 있고 화(火)가 하나만 있으면 남녀 모두 음란하기 쉽고 배우자를 극하며 재물을 잘 잃는다. 목(木)이 많은데 화(火)가 없거나 하나만 있으면 남성은 재앙을 자초하고 여성은 이별하기 쉬우며 목(木)이 없거나 하나 뿐인데 화(火)가 셋 이상이면 남성은 인색하고 처첩을 거느릴 수 있으며 여성은 남편을 누르고 음란하기 쉽다.
성격은 계산에 능하고 의심이 많으며 급한데다 배타적인 고집이 있어서 눈살을 찌푸리게 할 수 있으며, 마음은 산중에 가 있되 몸은 세속을 떠나지 못한다. 그것은 축제의 욕망이 강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이 팔자는 비명횡사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하고 그 대상은 형제, 어머니, 처가 될 수도 있다. 그리고 타향에서 자수성가 할 것이지만 허영심을 버리고 수행으로 마음을 닦아야만 액운을 면할 수 있다.
혼인은 무(戊), 자(子), 유(酉)운에 할 수 있으며 이 때 애인도 생긴다. 배우자의 일주가 무자(戊子)이면 오래 해로할 수 있으나 정미(丁未)면 이별하기 쉽고, 정(丁)이 있는데 자(子)나 유(酉)가 있거나 미(未)가 있는데 무(戊)가 있으면 쉽게 헤어지지 못한다. 구원의 신은 사(巳)와 묘(卯)인데 하나만 있어도 재앙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러나 사(巳)는 해(亥), 묘(卯)는 유(酉)를 두려워해야 한다.
甲寅日(갑인일): 갑은 木, 인은 木
갑(甲)과 범띠 인(寅)은 만물이 터져나옴이며 진리를 펴려는 기상이 엿보인다. 그래서 위풍이 당당해 보이는데 그런 만큼 세속에서 풍파도 많이 겪어야 한다. 지지에 사(巳)나 신(申)이 하나만 있어도 횡액, 배신을 면치 못할 것이나 축(丑)이나 미(未)가 있으면 구원받는다.
갑인(甲寅)은 대체로 성질이 급하고 목소리가 크며 스트레스를 잘 받는데 기가 성해서이다. 따라서 위와 폐를 잘 다스려야 하는데 수(水)가 있고 화(火)가 약한데 토(土)가 적게 있으면 비, 위가 약해서 고생하게 될 것이다. 화(火)가 많고 토(土)가 적으면서 금(金)이 있으면 폐, 대장이 상하게 된다. 미(未), 술(戌)이 있고 화(火)가 있으면 위장에 큰 병이 올 수 있고 금(金)이 있으면 고혈압, 수(水)가 있으면 당뇨를 염려해야 한다.
수(水)가 많고 토(土)가 적으면 남녀 모두 음란할 수 있으며 성격도 포악하고 배우자를 극하면서 가난한 인생을 보낼 수 있다. 화(火)도 많고 토(土)도 많으면 부자가 되고 여기에 금(金)이 있어 준다면 귀한 명이 된다. 그러나 토(土)만 많으면 부부 갈등이 심하고 인색하기 쉬우며 수(水)가 많고 금(金)도 많으면 남녀 모두 욕심이 과해서 일신을 그르칠 수 있다.
성격과 운세는 생존을 위한 몸부림이 대단해서 강한 것에 대처하는 능력이 있다. 그래서 난세의 영웅이 될 수 있는데 파란이 많다. 그래서 어진 성품이 때때로 흉포하게 나타나기도 하는데 그리하면 때를 만나기 어려워서 고독한 운명이 될 수 밖에 없다.
남녀 모두 부모와 인연이 멀고 배우자와도 운이 좋지 않아서 자주 바뀔 수도 있다. 이런 자신을 수행으로 마음을 닦으면 군자로서의 위풍스러운 인생을 개척할 수 있을 것이며 작아도 항상 우두머리가 될 것이다.
혼인은 기(己), 해(亥), 오(午)운에 하는데 이 때 애인이 생길 수 있으며, 기해(己亥) 일주를 만나면 해로하고 경신(庚申) 일주를 만나면 이별하기 쉽다. 그러나 기(己)가 있고 신(申)이 있거나 해(亥), 오(午)가 있고 경(庚)이 있으면 자주 다투면서도 쉽게 헤어지지 않는다. 구원의 신은 축(丑), 미(未)인데 하나만 있으면 어떤 재앙도 피해갈 수 있으나 둘 다 있거나 하나가 있는데 운에서 충을 만나면 두려운 일이 있게 된다.
乙卯日(을묘일): 을은 木, 묘는 木
을목(乙木)과 토끼띠 묘목(卯木)은 인(寅)에서 터져나온 만물의 여린 새싹이다. 그래서 성숙해지려는 기질이 강하게 작용하기에 이상이 높고 미래에 대한 욕망이 크며 아름다운 무지개빛 세계를 그리워하며 상상의 나래를 펴는 습성이 있다. 그리고 아직 여리므로 순진하고 동심에 젖어 천진난만한 순수함이 있으며 보호본능이 내재되어 있다. 하지만 여린 싹이 꽃샘 추위를 이겨내듯 풍파를 극복하는데 특히 초년의 어려운 난관을 슬기롭게 헤쳐나간다.
미모에다 재능이 남다르고 인정에 약해서 평생 피해를 입는데 특히 여성은 남성의 유혹을 이기지 못해 고독한 인생을 보낼 수 있다. 자(子)가 있으면 더욱 그렇고 남성은 생식기 병을 앓을 수 있으며 유(酉)가 있으면 여성은 생식기나 유방에 큰 병이 올 수 있다.
가을에 태어나고 토금(土金)이 많으면 간, 담에 큰 병이 올 수 있으며, 봄이나 여름에 태어나고 토(土)가 적으면 성격이 폭발적이며 비, 위가 약해서 저혈압으로 고생하며 미(未), 술(戌)이 있으면 생식기 또는 위에 큰 병이 올 수 있다. 그러나 수(水)가 있고 화(火)가 두 개 정도 있으면서 토(土)와 금(金)이 있으면 건강하고 부귀 장수한다.
수(水)가 많고 토(土)가 있으면 남녀 모두 음란하고 가산을 탕진할 수 있다. 화(火)가 많고 금(金)이 적으면 남성은 예능에 능하나 능숙한 말솜씨 때문에 재앙을 자초할 수 있으며 여성은 이별하기 쉽다. 또 수(水)도 없고 화(火)도 없이 토(土)가 셋이나 있고 금(金)도 있으면 남성은 인색하고 처첩을 거느릴 수 있으며 처가 가정을 이끌어간다. 토(土)가 있고 금(金)이 셋이나 되면 남녀 모두 배우자를 극하고 심약하면서도 욕망은 강하다. 그러나 때를 만나기 어렵고 여성은 남성적인 기질로 나타난다. 아무튼 이 일주는 팔자의 구성에 따라서 변화가 있으나 대체로 색난을 일으키기 쉽고 재산이 흩어지기 쉽다. 그러므로 수행으로 마음을 닦으면 무한한 성장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믿어도 좋다.
혼인은 경(庚), 술(戌), 해(亥), 미(未)운에 있고 이 때 애인도 생길 수 있으며 경술(庚戌) 일주를 만나면 해로할 수 있고 신유(辛酉) 일주를 만나면 이별하기 쉽다. 그러나 신(辛)이 있고 술(戌), 해(亥), 미(未)가 있거나 유(酉)가 있고 경(庚)이 있으면 쉽게 다투지만 헤어지지도 않는다. 구원의 신은 신(申)과 자(子)인데 하나만 있어도 재난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러나 자(子)는 위험한 일이 생길 수 있으며 오(午)가 두렵다. 단 신(申)이 팔자에 있을 때 인(寅), 묘(卯)가 있을 때는 유(酉)가 두려우니 운에서 만날 때 조심해야 한다.
丙辰日(병진일): 병은 火, 진은 土
병화(丙火)는 활활 타오르는 불꽃이며 용띠 진(辰)은 욱일승천하는 용의 기질이 있다. 그러므로 이 일주를 가지고 태어난 사람은 위세가 당당하고 뒤어난 화술로 사람을 압도하는 데다 어려운 일도 능숙하게 처리하는 솜씨가 있다. 하지만 술(戌)이 월이나 시에 있으면 부모, 형제, 처가 기이한 사고를 당할 수 있으며 본인도 급사하거나 몸에 큰 상처를 입을 수 있다. 다만, 해(亥), 유(酉), 묘(卯)가 하나라도 있으면 본인은 구제된다.
겨울이나 가을에 태어나고 금수(金水)가 많으면 심장, 소장이 병들기 쉬운데 술(戌)이 있으면 큰 수술을 받을 수 있다. 술(戌), 미(未)가 있으면 음탕할 수 있으며 화(火)가 많으면 신장, 방광이 허약하고 생식기 병에 걸릴 수 있으며, 당뇨도 우려된다. 여기에 금(金)이 있으면 고혈압 증세가 있다. 또 여성이 월이나 시에 축(丑)이 있으면 자궁병이 우려되고 유산하기 쉬운 체질이다.
목화(木火)가 많은데 금(金)이 적으면 남녀 모두 음란할 수 있으며 재산을 탕진하기 쉬우며, 반대로 금(金)이 셋이나 있으면 남성은 처를 극하고 처는 가정을 소중하게 이끌어갈 것이다. 여성이 금(金)이 많으면 음란하거나 남편을 극하고 과다한 욕심으로 크게 손해를 입을 수 있다. 또 화토(火土)가 많고 수(水)가 하나 있으면 남성은 재앙을 자초하고 여성은 이별할 수 있다. 목(木)이 두 개 정도 있으면 학문으로 성공할 수 있으며 여기에 금(金)이 많아도 부자가 될 수 있고 수(水)도 있으면 명성을 얻는다.
성격과 운명은 만물을 밝히는 병화(丙火)의 기질대로 종교가, 철학가, 법관, 의사 등으로 크게 성공할 수 있으며 금(金)이 많으면 사업가로 성공한다.
다만 이 일주는 날카롭고 신경질적으로 돌변할 수 있으며 괴팍해지기 쉬움을 유념해야 한다. 또 시기와 질투심이 솟아오를 수가 있다. 그러므로 이럴 때 즉시 자신을 돌이켜보고 마음을 고요히 하면 국가의 동량이 될 수 있는 사람이다. 아니면 늙어서 고독함을 면할 수 없다.
혼인은 신(辛), 유(酉), 자(子)운에 하는데, 신유(辛酉) 일주를 만나면 해로하고 임술(壬戌) 일주를 만나면 이별하기 쉽다. 그러나 임(壬)이 있고 유(酉)나 자(子)가 있거나, 술(戌)이 있고 신(辛)이 있으면 심하게 싸우면서도 쉽게 헤어지지 않는다. 구원의 신은 해(亥)와 유(酉)인데 하나만 있어도 재앙에서 벗어날 수 있다. 다만, 해(亥)가 있는데 묘(卯)를 만나면 두려운 일이 생길 수 있다.
丁巳日(정사일) : 정은 火, 사는 火
정화(丁火)의 불씨와 뱀띠 사화(巳火)의 불꽃이 만났으므로 내성이 불같고 꺼질 줄 모르는 정력가다. 따뜻한 성미에 예의도 바른 사람인데 때를 만나면 맹렬하게 솟구쳐오른다. 그런데 타오르는 불꽃 뒤에는 어두운 그림자가 있기에 사람이 밝으면서도 우울하고 의심을 잘 한다.
그리고 평생 바쁘게 나돌아 다녀야 하는데, 인(寅)이나 해(亥)중 하나만 있어도 방랑기가 있고 형액을 당할 수 있다. 그리고 나들이도 잦으며 무역업이나 외교관으로 성공하기도 한다.
또 사(巳)를 뱀띠라 한 것은 간특한 지혜가 있기 때문인데 뱀이 물 ,나무, 구멍 어디든 끼어들 수 있기에 그 성정대로 활동적이고 무슨 일이든 해내고야 만다.
여하간 정사(丁巳)는 화려함의 극치를 나타내므로 예술, 디자인, 보석 등에 특출한 재능을 발휘한다. 그러나 화(火)가 많으면 정반대의 현상이 일어나서 재산을 강탈당하고 배우자와 이별하기도 하고 아버지를 일찍 여의기도 한다. 또한 여성은 일찍 정조를 잃어버리기도 하고 혼인 후에도 독수공방할 수 있으며 자칫하면 위선자와 결혼하기 쉽다. 그리고 좋은 사람 만나도 의부증이 심하게 일어날 수 있다. 이 점을 명심하고 마음을 다스릴 줄 알아야 한다.
건강은 여름이나 봄에 태어났는데 금(金)이 적으면 폐, 대장에 병이 오기 쉽고, 수(水)가 적으면 신장, 방광이 병들 것이다. 특히 미(未), 술(戌)이 있고 수(水)가 있으면 당뇨병이 위험할 뿐만 아니라 위에도 큰 병이 올 수 있다. 화토(火土)가 전부 있는데 금(金)이 하나라도 있으면 폐병을 우려해야 하고 수(水)가 하나라도 있으면 여성은 임신하기 어려워진다. 반대로 겨울이나 가을에 태어나고 금수(金水)가 많으면 심장, 소장이 허약할 것이며, 토(土)가 많고 수(水)가 있으면 아둔하거나 남성은 형액을 자초하기 쉽고 여성은 이별한다. 봄이나 여름에 태어나고 금(金)이 적으면 남녀 모두 음란하거나 배우자를 극하고 재물을 모두 잃게 된다. 토(土)가 없이 금수(金水)가 과다하면 남녀 모두 명예욕이 대단한데 여성은 남성적인 기질이 있고, 토(土)가 있고 금(金)이 많으면 남녀 모두 거부가 될 수 있으며 수(水)가 또 있으면 부귀를 함께 누린다.
혼인은 임(壬), 신(申), 유(酉)운에 하는데 임신(壬申) 일주를 만나면 해로하고 계해(癸亥)일주를 만나면 이별하기 쉽다. 그러나 계(癸)가 있고 신(申)이나 유(酉)가 있고, 해(亥)가 있는데 임(壬)이 있으면 성격차이가 심해도 쉽게 헤어지지 않는다. 구원의 신은 해(亥)와 유(酉)인데 하나만 있어도 고통에서 기적적으로 살아난다. 다만 해(亥)는 사(巳)와 충하기 때문에 위험하고 또 해(亥)나 사(巳)를 만나도 두려워해야 한다. 유(酉)는 묘(卯)가 두려운데 이 때도 악운이 올 수 있다. 다만 해(亥)가 있을 때 팔자에 신(申)이나 유(酉)가 있고, 유(酉)가 있을 때 술(戌)이나 해(亥), 미(未)가 있으면 구제받을 수 있다.
戊午日(무오일) : 무는 土, 오는 火
무토(戊土)는 만물을 무성하게 길러주고 말띠 오화(午火)는 양기를 밀어내고 음기가 시생하는 때다. 그러나 열기가 한창일 때이므로 건조해서 사람이 인색하고 야박하여 색을 밝히는 기질이 있는데 남녀 모두 상처 상부하고 재혼하는 사람이 많다.
무토(戊土)의 중후한 풍모에 반해 소심하고 의심이 많은 오화(午火)는 이기적인데다 타인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팔자에 다시 오(午)가 있으면 수염에 해당하는 수(水), 자(子)를 충해 와서 수염이 거칠고 성질이 급하며 안하무인격이 될 수 있다. 그래서 형액을 당할 수 있으며 큰 수술을 받거나 중년후에 이별하고 재혼하는 수가 많다. 남성은 여성한테 아낌없이 재물을 쓰는데 가까운 친구들에게는 인색한 면이 있으며 변덕이 자주 일어나서 갈피를 잡을 수 없는 사람이 된다. 따라서 수행심으로 결점을 고치면 큰 인물이 될 수 있다.
이 일주는 금(金)이 적으면 폐, 대장이 병들기 쉽다. 폐암으로 사망한 여자 사주(丁卯년 乙酉월 戊午일 甲寅시)를 살펴보자. 한 눈에 팔자를 보아도 유금(酉金) 폐가 천성적으로 약함을 알 수 있다. 유금이 을목(乙木)과 묘목(卯木)에 둘러싸여 있고, 인(寅)과 오(午)도 유금을 극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젊은 시절부터 폐가 허약해진 상태에서 41세 되던 경술운에 사망하고 말았다.
혼인은 계(癸), 미(未), 인(寅), 술(戌)운에 하는데 이때 애인이 생길 수 있으며 계미(癸未) 일주를 만나면 해로하고 갑자(甲子) 일주를 만나면 헤어지기 쉽다. 그러나 갑(甲)이 있고 미(未), 인(寅), 술(戌)이 있거나 자(子)가 있고 계(癸)가 있으면 쉽게 헤어지지 못한다. 구원의 신은 축(丑)과 미(未)인데 두 개 다 있으면 기이한 일이 많이 벌어지고 하나만 있으면 재앙에서 쉽게 벗어난다. 그러나 운에서 축미(丑未)가 만나면 위험한 일이 따르는데, 축(丑)이 팔자에 있을 때 구제받는다.
己未日(기미일): 기는 土, 미는 土
기토(己土)는 만물을 자양(滋養)하니 만인에게 덕을 베풀어줌이며 양띠 미(未)도 기토(己土)와 같은 기질이어서 만물을 무르익게 한다. 따라서 이 일주를 가진 사람은 매사에 논리적이고 항시 바쁘고 부지런함이 특색이다. 또 타인에게 봉사하는 기질이 있으며, 수기(水氣)가 적으면 고집불통인데다 반항적인 기질로 나타나며 가볍고 변덕심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리고 반대를 위한 반대를 일삼아서 화를 자초하기도 하는데 나이가 들수록 분별력과 심미안이 능슥해지고 무슨 일이든 한 가지 일에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능력이 있다. 남녀 모두 돈을 잘 쓰는 기질이 있고 부모중 한 분을 일찍 잃기 쉽다.
건강에서 보면 토(土)나 화(火)가 많으면서 진(辰)이나 축(丑)이 있거나 수(水)가 하나만 있으면 신장, 방광이 허약해서 생식기 계통에 병이 올 수 있다. 또 금(金)이 많고 목(木)이 많은데 간, 담에 병이 오기 쉽고 수목(水木)이 많은데 화(火)가 적거나 없으면 비, 위에 병이들고, 금(金)이 적은데 목화(木火)가 많으면 폐, 대장에 병이 올 것이며, 금수(金水)가 많으면 심장, 소장이 허약하다.
여름에 태어나거나 지지에 축(丑), 술(戌)이 있고 화토(火土)가 있는데 수(水)가 있으면 남녀 모두 배우자를 극하고 재산을 잃게 되며, 금(金)이 셋이 있는데 목(木)이 적으면 남성은 재앙을 자초하고 여성은 이별할 수 있다. 목(木)이 과다하게 많고 수(水)도 있으면 남녀 모두 욕망이 크지만 때를 얻기 어렵고 여성은 남성적이다. 화(火)가 있고 금(金)도 있으면 학문적인데 이 때는 수(水)가 많아도 부자가 될 수 있으며, 목(木)이 또 있으면 건강하고 장수하는 데다 귀하게 된다.
혼인은 갑(甲), 오(午), 묘(卯)운에 하는데 갑오(甲午) 일주와 만나면 해로하고 을축(乙丑)운을 만나면 이별하기 쉽다. 그러나 갑(甲)이 있고 축(丑)이 있거나 , 축(丑)이 있고 을(乙)이 있으면 쉽게 헤어지지 않는다. 구원의 신은 신(申)과 자(子)인데 하나만 있어도 어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러나 신(申)은 인(寅)운에, 자(子)는 오(午)운에 위험이 따른다.
庚申日(경신일): 경은 金, 신은 金
이 일주는 고(故) 박정희 전대통령과 고 정주영 현대그룹명예회장의 일주이기도 하다. 기질을 분석해 보면 경금(庚金)과 잔나비띠 신금(申金)은 모두 만물을 여물게하는 가을의 기운이 묻어나는 쓸쓸함이 있다. 그래서 매우 외로움을 잘 타는 심성이다. 그러나 계책을 세우는 재질이 뛰어나며 기술이나 예능에도 재능이 있다. 다만 자신이 가장 잘난 체하는 교만함이 있고 오만하고 고집스러우며 괴팍한 성미로도 나타난다.
신금(申金)은 역마살이므로 방랑기가 있는데 인(寅)이 있으면 재앙이 미칠 수 있으며 사(巳), 해(亥) 등이 하나만 있어도 해외 나들이나 이주할 수 있다. 그리고 외교관이나 무역업으로 성공하기도 한다. 대개 조실부모하기 쉽고 재산을 잃고 방황하거나 부부 인연이 멀어질 기미가 엿보인다. 용모가 단정하고 목소리가 아름다우며 고결한 인품을 지닐 수도 있기에 결점을 수행으로 닦으면 대성할 수 있다.
건강과 운세는 이러하다. 가을에 태어나고 토(土)가 있는데 목(木)이 적으면 간, 담에 병이 오고 남녀 모두 음란할 수 있으며 재물을 모으기 어렵다. 그러나 수(水)가 있고 목(木)이 많으면 거부가 될 수 있으며, 수(水)도 없고 토(土)도 없는데 목화(木火)만 많으면 폐, 대장이 병들게 된다. 이 때 토(土)가 있으면 명성을 얻는다. 또 수(水)가 많은데 목(木)이 없이 화(火)가 있으면 심장, 소장이 허약하며 예능에 재능이 있으나 빈혈 증세가 있고 남성은 구설수를 자초하며 여성은 이별하기 쉽다.
그리고 수(水)도 없고 토(土)가 없거나 하나만 있는데 목(木)이 있고 화(火)가 많으면 남성은 명예욕이 크지만 때를 만나기 어렵고 여성은 남성적이며, 화토(火土)가 과다하게 많고 수(水)가 있으면 신장, 방광에 병이 들고 아둔해진다.
혼인은 을(乙), 사(巳), 자(子)운에 하는데 을사(乙巳) 일주를 만나면 해로하고 병인(丙寅)일주를 만나면 이별하기 쉽다. 그러나 병(丙)이 있고 사(巳)나 자(子)가 있고 인(寅)이 있는데 을(乙)이 있으면 쉽게 이별하지 않는다.
구원의 신은 축(丑)과 미(未)인데 둘 다 있으면 기이한 일을 당하기 쉽고 어느 하나가 있는데 운에서 다른 것을 만나면 두려워할 일이 생긴다.
이 때 미(未)가 팔자에 있는데 운이 축(丑)일 때는 자(子)나 유(酉)가 있고, 축(丑)이 있는데 운에서 미(未)를 만날 때 오(午)나 묘(卯)가 있으면 무난해진다.
辛酉日(신유일) : 신은 金, 유는 金
신금(辛金)과 닭띠 유금(酉金)은 둘 다 깊은 가을의 기질이며 이별의 기운이 감도는 속성이 있다. 그래서 정도 많고 한도 많은데 한 번 미워하면 증오심이 끓어오를 만큼 심하다. 그리고 불행한 일이 닥치거나 사랑하는 사람과 이별할 때는 가슴을 도려내는 아픔을 느끼며 비애에 사무치는데, 이별의 원인에 따라서 분노와 슬픔을 억제하지 못한다.
만약 수(水)가 두 개 이하로 있거나 없다면 신경이 칼날처럼 날카롭고 신경질이 있는데 한편으로는 의협심이 있으니 불의에는 과감하게 맞서 싸우는 정의로움도 있다. 그것은 오염되지 않은 깨끗함이 있기 때문이며 뜻대로 되지 않으면 세상을 비판하고 한탄하는 성격으로 나타나서 좌절할 수 있다. 하지만 남의 이익을 가로채려는 모사도 서슴없이 꾸밀 수 있으며 출세욕에 광분하는 사람도 많다.
수(水)가 있으면 더욱 맑아서 피부가 아름답고 목소리도 아름다워서 이성의 인기를 독차지할 수 있다. 그러나 부부운은 자주 바뀔 수 있으며, 아버지와도 인연이 멀고 색으로 인해 타락할 수가 있다. 묘(卯)나 유(酉), 자(子)가 있으면 색에 탐닉해서 일신을 그르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일주는 수행심이 지극히 필요한 사람이라 하겠다. 수행이란 마음을 닦는 것이다. 마음을 닦으면 명운도 바뀐다는 사실을 유념하고 자신의 불행을 한탄만 해서는 안 된다.
건강은 가을에 태어나고 토(土)가 있고 목(木)이 있으면 간, 담에 병이 오고 역시 가을이나 겨울에 태어났는데 수(水)가 많고 화(火)가 있으면 심장, 소장에 병이 올 것이다. 수(水)도 없이 토금(土金)이 강하고 목(木)이 하나 있으면 신체불구가 되기 쉽고 간, 담이 허약하다. 단 봄이나 여름에 태어나고 화(火)가 많으면 폐, 대장이 허약하여 폐질환을 앓기 쉽고 토(土)가 하나 있는데 목(木)이 많으면 비, 위에 병이 온다.
지난해 위암으로 사망한 환자(丁丑년 丁未월 辛酉일 壬辰시)의 사주를 보자. 이 사주를 보면 비, 위에 해당하는 토기(丑, 未, 辰)가 과다하게 많고 두 개의 정화(丁火)가 천간에서 토를 생조해주고 있어 더 세력이 커졌다. 그러므로 비,위가 지나치게 큰 사람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지나치게 크고 기가 성하면 그것을 많이 사용하는 속성이 있으므로 이 사람은 식탐과 주량이 대단했다. 결국 위를 너무 믿고 혹사한 데다 근본적으로 위가 냉습하고 혈액유통이 잘 되지 않았던 것이 문제가 돼 위 수술을 받았고, 위가 강하게 냉습해지는 시기에 사망한 것이다. 이 사람은 평소에 마늘이나 양파, 현미 율미 등 폐기를 강화하는 식생활을 계속해왔다면 결코 비명횡사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신유(辛酉) 일주는 가을에 태어나고 토금(土金)이 많은데 목(木)이 적으면 남녀 모두 음란하기 쉽고 배우자를 극하며 파산하기 쉽다. 수(水)가 많은데 목(木)이 없거나 적은데 화(火)가 허약하면 남녀 모두 예술적 재능이 탁월하지만 남성은 구설수에 오르기 쉽고 여성은 이별하기 쉽다. 그러나 수(水)가 많아도 토(土)가 있고 목(木)이 적당히 있으면 거부가 될 수 있으며 여기에 화(火)가 있으면 귀하게 될 뿐만 아니라 건강하고 장수한다.
혼인은 병(丙), 사(巳), 축(丑), 진(辰)운에 하는데 병진(丙辰) 일주와 만나면 해로하고 정묘(丁卯) 일주와 만나면 이별하기 쉽다. 그러나 정(丁)이 있고 기(己), 축(丑), 진(辰)이 있거나, 묘(卯)가 있는데 병(丙)이 있으면 성격 차이가 심해도 쉽게 이별하지 않는다. 구원의 신은 묘(卯)와 사(巳)인데 묘(卯)는 흉하고 사(巳)가 있으면 재앙이 와도 구제되는데 해(亥)운이 오면 위험한 일이 생긴다. 이때는 팔자에 인(寅), 미(未)가 있으면 해소될 수 있다.
壬戌日(임술일): 임은 水, 술은 土
만물을 잉태시키려는 임수(壬水)의 지혜와 만물을 수장하고 있는 개띠 술토(戌土)의 만남은 솔직하고 호기심이 많은 성품이다. 사람이 인정스럽고 학문과 종교에 관심을 가지고 처세에도 능하며 영감이 뛰어나서 상대방의 마음을 꿰뚫어보는 탁월함이 있다. 그리고 덕을 베풀기도 잘하기에 거부가 될 수 있는 덕목도 갖추었다.
하지만 결점 또한 없지 않으니 괴팍하고 이기적인 심성이 발동하면 독기를 머금고 폭력도 불사한다. 남녀 모두 이별의 쓰디쓴 경험을 한 뒤에야 안정을 찾는 사람이 많다.
수행으로 마음을 닦으면 군인, 법관, 경찰 또는 특수한 기술이나 운동 선수로도 크게 명성을 얻을 수 있다. 마음을 닦지 않으면 몸도 온전하게 보존하기 어려워진다. 비명횡사 또는 큰 수술을 받아야 할 운명도 배제할 수 없으며 배우자를 비명에 잃을 수도 있다.
사주에 진(辰)이 있거나 진(辰) 운이 오면 더욱 위험해진다. 다만 사(巳)나 묘(卯)가 있으면 재앙을 피할 수 있다. 지지에 수(水)나 금(金) 또는 진(辰), 축(丑)이 있고 금수(金水)가 많으면 심장, 소장이 허약해서 저혈압에 시달린다. 여기에 목(木)이 많으면 비, 위가 병들기 쉬우며, 화토(火土)가 많으면 신장, 방광이 허약한데 미(未), 축(丑)이 있으면 당뇨병을 앓기 쉽다. 화(火)가 적은데 목(木)이 셋 이상 있으면 비, 위가 병들 것이며 금(金)이 하나 있는데 화토(火土)가 많으면 폐 대장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금(金)이 많으면서 목(木)이 적으면 간, 담에 병이 온다.
가을이나 겨울에 태어나고 금수(金水)가 많은데 화(火)가 하나 있으면 남녀 모두 배우자를 극하고 파산하기 쉬우며, 목(木)이 셋이나 있고 화(火)가 없으면 남성은 구설수에 자주 오르며 여성은 이별하기 쉽다. 단 금(金)이나 수(水)가 지지에 있으나 화(火)가 있고 토(土)가 많으면 욕망이 대단하지만 때를 만나기 어렵고 여성은 남성적인 기질이 있다. 그러나 지지에 금(金)이나 수(水) 또는 축(丑)이나 진(辰)이 있고 금(金)이 있으면서 목(木)이 있으면 화(火)가 많아도 거부가 될 수 있으며 명예도 얻고 건강하다.
혼인은 정(丁), 묘(卯), 오(午)운에 하는데 정묘(丁卯) 일주를 만나면 해로할 수 있지만 무진(戊辰) 일주를 만나면 이별하기 쉽다. 구원의 신은 사(巳)와 묘(卯)인데 하나만 있어도 재앙에서 벗어난다. 그러나 사(巳)가 있고 해(亥)운을 맞이하거나 묘(卯)가 있고 유(酉)운을 맞이하면 위험한 일이 생긴다. 다만 사(巳)일 때 해(亥)운이 와도 팔자에 인(寅), 묘(卯)가 있거나, 묘(卯)가 있는데 유(酉)운이 와도 사(巳), 축(丑)이 있으면 구제될 수 있다.
癸亥日(계해일): 계는 水, 해는 水
천간의 계수(癸水)는 양기(陽氣)를 머금은 깊은 겨울이며, 돼지띠 해수(亥水)는 초겨울의 잉태의 원신에 해당한다. 둘 다 유유히 흐르는 물이라서 고요한 것 같아도 천재적인 지혜가 가득 차 있고 생각도 쉼없이 흐르는 사람이다. 물이란 부드러운 강 줄기에서는 고요하지만 가로막는 장애물이 있거나 폭포를 만나면 거세게 소리를 낸다. 따라서 계해일에 태어난 사람은 고요히 있다가도 때를 만나면 사나운 본심을 드러내고 과격해지고 단번에 끝장을 보려 한다.
그러나 차가운 물이기에 그 마음속은 언제나 양기를 그리워하며, 현실보다는 미래에 장밋빛 이상을 두고 있으며, 어떤 어려움이 와도 극복하고야 마는 기질이 있다.
남녀 모두 초혼에 실패하기 쉬우며 초년에는 재물을 잃고 방황하기도 한다. 여성은 독수공방의 외로움이 있겠다. 하지만 무한한 지혜를 가졌으므로 차근차근 겸손하게 일하되 주위에 덕을 베풀어나가면 나이가 들어갈수록 멋있는 인생을 보내게 된다.
건강은 여름에 태어나고 금(金)이 많으면 심장, 소장에 병이 들 것이며, 가을이나 겨울에 태어나고 화(火)가 적어도 마찬가지다. 특히 축(丑)이 있으면 여성은 자궁에 병이 있을 것이며 유산이 우려된다. 여름에 태어나고 화(火)와 토(土)가 많으면 신장, 방광이 취약하고 목(木)이 많은데 화(火)도 없이 토(土)가 있으면 비, 위에 병이 든다.
이 일주는 사(巳)가 위험한 기질이다. 여러 가지 재난이 미칠 수 있는데, 묘(卯)나 미(未)가 있으면 해소된다. 팔자에 해(亥), 인(寅), 신(申), 사(巳)가 하나만 있어도 나돌아 다니기를 좋아하고 해외에 이주할 수도 있으며 무역업, 외교관으로도 성공할 수 있다.
금(金)이 있고 목(木)이 없는데 화(火)가 하나라도 있으면 남녀 모두 음란하고 배우자와 인연이 멀다. 그러나 토(土)가 있으면 문제가 없으며, 목(木)이 두 개만 있어도 역시 문제되지 않는다. 오히려 부귀하고 건강하며 오래 산다.
혼인은 술(戌), 묘(卯), 진(辰)운에 할 수 있다. 무인(戊寅) 일주와 혼인하면 해로하고 기사(己巳) 일주를 만나면 이별하기 쉽다. 그러나 기(己)가 있고 인(寅)이나 묘(卯)가 있거나, 사(巳)가 있고 무(戊)가 있으면 잘 다투어도 쉽게 헤어지지 않는다. 구원의 신은 사(巳), 묘(卯)인데 사(巳)는 위험하고 묘(卯)가 있으면 어떤 재앙도 피해갈 수 있다. 그러나 유(酉)운은 두려운 일이 벌어질 수 있으며 사(巳)사, 진(辰) 축(丑)이 팔자에 있으면 구제해준다.
글을 맺으며
이상으로 사주 팔자에 대해서 대략 살펴보았다.
태어난 일주(日柱) 별로 성격과 건강과 운세를 설명하였는데, 이는 원칙을 말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정확히 살펴보려면 개인의 사주 팔자 전체를 입체적으로 분석해보아야 한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것만으로도 자신의 운명과 성격, 그리고 건강 문제는 어느 정도 판단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다시 한번 강조하거니와 사주팔자의 운명론에 너무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
좋고 나쁨을 분별해서 즐거워하거나 괴로워하기보다는 좋은 운일 때 악운을 대처하는 지혜가 있어야 하며,
나쁜 운일 때 변화시킬 수 있는 슬기가 필요한 것이다. 그래서 팔자를 깨우쳐 자신을 반영해 보아야 하는 것이다.
본래 기(氣)란 마음에 따라서 움직이는 물질이다.
따라서 팔자가 기를 표시한 부호이고 보면 수행심(修行心)으로 마음을 바꾸면 기도 따라서 바뀌며 그러므로 팔자도 바뀐다.
따라서 자신의 팔자가 좋다고 해서 기뻐할 것도 아니며 나쁘다고 해서 괴로워 할 것도 아니다.
오직 마음의 변화에 따라서 좋고 나쁨이 교차되기에 마음을 곧게 하고 처신을 바르게 하는 것이
바로 무위(無爲)의 천도에 응하는 것이라 하겠다.
-------------------------------------------------------------------------------------------------------------------------
육십갑자 심리분석
<기초>
표면적 심리 : 십신의 순서대로, 즉 갑목은 비견, 을목은 겁재, 병화는 식신…
내면적 심리 : 극하는 순서 즉 갑목은 편재, 을목은 정재, 병화는 편관…
양간은 표면적 심리구조가 우선 드러나고, 음간은 내면적 심리구조가 우선.
육십갑자에서는 심리가(내면적,외면적) 일지를 본다는 식으로 설명
예) 갑자 : 비견이 정인을 보다, 을축 : 정재가 편재를 보다.
<육십갑자 정리>
甲木 |
강한 성장력의 상징
표면(비견):라이벌 의식
내면(편재) : 물질적이지 못함, 강력한 집착이 없다. 바람둥이 |
甲子 |
종교가, 기토를 보면 직업이 자주 바뀔 수도 있다. 철학적 기질 |
甲寅 |
주체성이 강하다. 식신으로 발전. 궁리,연구, 고집스럽지만 다정. |
甲辰 |
주체성 독립적 사업, 낭만적 |
甲午 |
자신의 재능을 과신. 물질적 집착, 인색 |
甲申 |
살인상생, 봉사, 희생정신. |
甲戌 |
물질 통제력이 강하지만, 자신의 재능을 과신. 적당한 현실성과 물욕 |
乙木 |
사업가, 재물욕, 재물에 강한 집착
표면(겁재):합리적 경쟁, 주도면밀, 용의주도
내면(정재) : 합리적인 재물욕 |
乙丑 |
사업가. 인내심. 약간의 신비주의 |
乙卯 |
독보적 고집, 속으로는 재물욕 겉으로는 담담함 |
乙巳 |
소유욕과다. 동업을 통한 능력 확대. 은근한 실속파 |
乙未 |
물질이나 감각적인 면에 대한 궁리로서의 주체성. 연구하는 사업. 설계 |
乙酉 |
물질욕과 봉사정신의 충돌로서 정서불안, 언행불일치. 인성으로 해소 |
乙亥 |
편하게 자신의 몫을 챙기는 스타일. 고집과 인색함. 교육과 지도자가 필요함 |
丙火 |
교주, 시위대의 선봉, 편관이 식신으로 분출하다.
표면(식신) : 자신의 의견을 경쟁적으로 노출, 인정받고 싶어함
내면(편관) : 표현욕구가 공익을 위한 것이라는 마음. 합리적이지 못하고 강제적임 |
丙子 |
합리적 표현, 객관적인 감정표현, 활발하나 이성적임 |
丙寅 |
직관력. 직관적,감정적 일처리 |
丙辰 |
재능을 발휘. 깊은 궁리. 학자 |
丙午 |
독불장군. 강한 표현력 |
丙申 |
성취 욕구가 높으나 추진력이 떨어짐. 약간의 봉사정신 |
丙戌 |
감정대로 나아감. 고집스런 자기주장. 현실적인 이익 치중. 사업가 자질 |
丁火 |
냉정한 자기 자신의 표현. 치밀함
표면(상관) : 합리적 자기 현시, 집요. 치밀
내면(정관) : 냉정하게 현실직시 |
丁丑 |
열기를 빼는 느낌. 표현능력 탁월. 달변가. 소심. 약간 건방짐 |
丁卯 |
직관력 부정적 왜곡된 잠재의식 |
丁巳 |
자신의 욕구를 성취하는 집요함. 현실적 |
丁未 |
차분함. 신강할때 자신이 옳다는 믿음,고집. 신약할 경우 을목 인성의 작용력 강화 |
丁酉 |
기술적 재주꾼. |
丁亥 |
大忠之人, 정관의 성질. 내면적 직감력. 겉으로는 충실하지만 내면적 거부감 |
戊土 |
큰재물, 재물에 대한 집착, 내면적 고독감
표면(편재) : 재물에 대한 집착
내면(편인) : 어차피 혼자라는 고독감 |
戊子 |
재물에 대한 관심. 정재와 합 |
戊寅 |
자기이익과 사회대의에 대한 정신적 부조화. 공익사업가. |
戊辰 |
투기적인 사업. |
戊午 |
직관적인 사업. 종교사업. 고집스러움 |
戊申 |
궁리하는 사업. 아이디어 상품 생산. 투기성 |
戊戌 |
주체성. 괴강일주의 대단한 고집. |
己土 |
물질에 집착. 대가없는 베품. 모질지 못함
표면(정재) : 물질적, 재물욕심, 정당한 대가로서의 재물
내면(정인) : 겉보기엔 물질적이지만, 고독한 내면과 베품의 삶 |
己丑 |
주고싶은 마음. 교사체질 |
己卯 |
강제적으로 받아 들임. 일관성 부족. 성실함. 인성의 조절이 필요함 |
己巳 |
남에게 설명하기 좋아함. 베품. |
己未 |
천천히 베품. 체험적 지식 중시 |
己酉 |
자신의 연구를 공개하는 타입. 연구력 뛰어남 |
己亥 |
사업적 기질. 문방구점. 신약하다면 교육계통. 신비한 세계에 대한 막연한 믿음 |
庚金 |
깡패. 강제적. 난폭. 강제적 이타심
표면(편관) : 의협심. 가정에 소홀
내면(비견) : 의리 |
庚子 |
의협심을 합리적으로 표출. 공자 |
庚寅 |
위험한 사업가. 투기적 기질 |
庚辰 |
자신의 감정을 절제. 다수를 위한 희생. 괴강. 제갈공명 |
庚午 |
이타심의 절정. 봉사활동. 초인적인 자기 희생 |
庚申 |
이지적인 봉사. 한가지 방면으로 몰두. 박정희 |
庚戌 |
초인적인 영감. 잠재력 발휘. 괴강. |
辛金 |
고집스런 의협심. 보통때는 참을성
표면(정관) : 합당한 봉사정인
내면(겁재) : 의협심. 자존심. 단 반성하지 못하는 성격 |
辛丑 |
의협심. 내면을 칼을 갈아두는 타입. 방어하는 칼 |
辛卯 |
주위의 힘을 빌어 사업. 산체를 단련하는 재능 |
辛巳 |
합리적, 이성적 판단. 인내심을 가진 공무원 |
辛未 |
영감과 직관력의 낭만적 표현. 시인 두보. |
辛酉 |
고집. 주장. 주체성 덩어리. 주관적인 일처리. 타인의 조언을 듣지 않음. |
辛亥 |
남의 평판에 주의. 돋보이기 위한 적선. 멋쟁이. 신약하면 잘난척. 망신 |
壬水 |
골똘히 생각. 종교적. 학자
표면(편인) : 음흉. 고민하면서도 잘 드러내지 않음
내면(식신) : 내면의 노출 |
壬子 |
탁월한 직관력. 예술적 능력의 발휘. 고집. 식상이 필요. |
壬寅 |
학자. 무당. 참모. 뛰어난 영감. 직감. |
壬辰 |
비판력. 분석력. 이지적. 냉정한 객관적 판단력 |
壬午 |
부지런히 움직임. 水火旣濟, 끈질질 근성. 재물의 관리능력 탁월. |
壬申 |
폐쇄적 심리구조. 치우침. 감사기관. 검열직. 木火가 있으면 직관력 발휘 |
壬戌 |
지성적 직관력. 의존적. 백호살. 불평불만. 심성은 선량. 패물이 있어야 됨 |
癸水 |
비. 능소능대의 재능. 생동감
표면(정인) : 가뭄을 해소하는 비
내면(상관) : 자신의 의사를 활발하게 전개. |
癸丑 |
백호살. 인성이 필요. 활발한 기본심성 그러나, 스스로 억압하는 구조. 군인 |
癸卯 |
묘기백출. 탤런트. 재치 |
癸巳 |
세련된 감각과 깔끔한 매너의 사업가. 신약할때 문제. 내면적인 궁리 |
癸未 |
스스로 억압. 재주는 많지만 결실이 어렵다. 추진력이 약하다. |
癸酉 |
상관능력의 집중적 발휘. 지나치면 일관성이 없다. 아랫사람에게 잘함 |
癸亥 |
총명. 제멋대로 살아감. 소동파 |
'가인역학원·가인명품작명·가인풍수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전60갑자(일주론) (0) | 2009.07.05 |
---|---|
60갑자의 일간위주 설명 (0) | 2009.07.05 |
사주(四柱)의 구성(構成) (0) | 2009.07.05 |
사주감정(四柱鑑定)의 기본원리 | 사주 이야기 (0) | 2009.07.05 |
사주 상담을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0) | 2009.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