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7. 15. 16:34ㆍ주역·육임·육효
사과법(四課法)
사과(四課)는 처음으로 점사를 예측하는 과식(課式)으로 점을 치는 사람의 일간(日干)과 천반 그리고 지반을 참조하여 형성되므로 아주 중요하다. 따라서 사과의 형성에는 다섯 가지의 법칙이 있다.
사과식(四課式)
子 戌 午 辰
甲 子 申 午
천반식(天盤式)
卯 辰 巳 午
寅 未
丑 申
子 亥 戌 酉
1) 십간이 의지하는 지지를 알아야 된다.
사과(四課)에서는 일간(日干)을 제외하고 나머지 일곱 글자는 지지의 오행을 사용하는데, 일간이 의지하는 지지는 다음과 같다.
천간의 甲은 지지 寅에 의지하고,
천간의 乙은 지지 辰에 의지하며,
천간의 丙戊는 지지 巳에 의지하고,
천간의 丁己는 지지 未에 의지하며,
천간의 庚은 지지 申에 의지하며,
천간의 辛은 지지 戌에 의지하고,
천간의 壬은 지지 亥에 의지하며,
천간의 癸는 지지 丑에 의지한다.
2) 일과(一課)를 정하는 방법.
일과를 정하는 방법은 일간(日干)이 지반의 어느 지지에 의지하는가를 보고, 그 의지하는 지지 위의 천반에 어떤 오행이 있느냐에 따라 일과가 정해진다.
예를 들어 甲子일, 戌시, 午將에 점을 친 경우는 아래와 같다.
사과식(四課式)
戌
甲
천반식(天盤式)
丑 寅 卯 辰
子 巳
亥 午
戌 酉 申 未
위의 천반은 점을 치는 시간이 술시이니 지반 술토에 오장(午將)이 배열된 것이다. 그리고 점을 치는 날이 갑일인데 갑목은 인목에 의지하고, 그 의지하는 지반 인목위에 술토가 있으니 제일과의 하과(下課)는 갑목이 되고 상과(上課)는 술토가 된다.
3) 이과(二課)를 정하는 방법
이과에서 하과를 정하는 방법은 앞에서 일과의 상과가 술토인데, 이 술토는 자연히 이과의 하과로 된다. 그리고 상과를 정하는 방법은 하과인 술토를 지반에 놓고 그 지반위에 있는 천반 오화가 상과로 되어 최종적으로 이과는 술오(戌午)가 된다.
사과식(四課式)
戌 午
甲 戌
천반식(天盤式)
丑 寅 卯 辰
子 巳
亥 午
戌 酉 申 未
4) 삼과(三課)를 정하는 방법.
삼과를 정하는 방법은 일지(日支)를 위주로 하는데, 일지는 움직이지 않는 것이므로 일지의 오행인 자수를 삼과의 하과로 정하고, 상과를 정하는 방법은 하과인 자수를 지반에 놓고 그 지반위에 있는 천반 신금이 상과로 되어 최종적으로 삼과는 자신(子申)이 된다.
사과식(四課式)
戌 午 申
甲 戌 子
천반식(天盤式)
丑 寅 卯 辰
子 巳
亥 午
戌 酉 申 未
4) 사과(四課)를 정하는 방법.
사과에서 하과를 정하는 방법은 앞에서 삼과의 상과는 신금인데, 이 신금은 자연히 사과의 하과가 된다. 그리고 상과를 정하는 방법은 하과인 신금을 지반에 놓고 그 지반위에 있는 천반 진토가 상과로 되어 최종적으로 사과는 신진(申辰)이 된다.
사과식(四課式)
戌 午 申 辰
甲 戌 子 申
천반식(天盤式)
丑 寅 卯 辰
子 巳
亥 午
戌 酉 申 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