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7. 15. 16:33ㆍ주역·육임·육효
육임학(六壬學)
육임은 오천여전에 중국 황제시대에 처음 시작하여 서주(西周)시대의 강자아(姜子牙)에 의해 보완이 되었으며 주(周)나라 문왕때에 일반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육임을 다른 말로는 지지학(地支學)이라고도 하며 오직 천간의 한 글자만 이용하기 때문에 춘추전국시대에는 전쟁의 혼란속에 각 나라들은 육임을 이용하여 전쟁에 응용하기도 하였다. 그 이후에는 제갈공명과 유백온등이 육임을 이용하여 미래를 예측하였으며 특히 병서인 손자병법에는 육임을 응용한 기록들이 많이 있다.
육임에는 육십갑자에서 임자, 임인, 임진, 임오, 임신, 임술의 여섯 간지가 있으며, 임(壬)이라는 것은 수(水)로써 하도(河圖)의 생수 천일(天一)이 성수인 지육(地六) 생(生)한 것이며, 그 체(體)의 외부는 음(陰)이고 내부는 양(陽)으로 수(數)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모든 일들은 움직이면 발생하게 되는데, 육임에서는 점시(占時)가 발동되면 화복(禍福)의 근원이 되어 모든 일체의 화와 복이 점시로부터 발견되어 이를 선봉문(先鋒門)이라 부르기도 한다.
시간(時間)이라는 것은 사람의 신기(神機)로 신(神)은 자연적으로 부합되는 것이고, 기(機)는 우연히 만나는 것으로서 자연과 부합하여 화복(禍福)을 일으키는 근원이며 길흉 판단에 가장 중요하다.
육임(六壬)에서 모든 일을 예측할 때 예측시간에 따라 월장(月將)을 지반(地盤)에 차례대로 배열하여 천반(天盤)을 만들고, 천반(天盤)을 기준으로 사과(四課)를 만들며, 사과(四課)를 기준으로 삼전(三傳)이 만들어지는데, 이 모두는 신(神)인 12지지와 월장(月將)에 의하여 길흉이 결정되므로 그것에 의하여 길흉을 판단한다.
월장(月將)이라는 것은 태양과 월령(月令)이 만나는 곳으로 이를 천심(天心)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월장(月將)은 당월(當月)의 월령(月令)과 합(合)이 되면 그 힘이 더욱 강하여 가는 곳마다 재앙을 해결한다.
1. 천반법(天盤法)
천반을 월장(月將)이라고 한다. 월장은 월마다 변화하여 주로 움직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태양과 하늘을 상징하고, 한 달의 일을 관할하므로 신장(神將)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태양이 어느 월에 어느 위치에 있느냐에 따라 월장을 정하게 되는데, 월의 기준은 절(節)이 기준이 되며 다음과 같다.
① 1월의 월건(月建)은 인(寅)으로 절기(節氣)로는 입춘(立春)과 우수(雨水)가 된다. 이때는 태양이 해(亥)방향에 위치하여 인월(寅月)의 월장은 해(亥)가 된다.
② 2월의 월건(月建)은 묘(卯)로 절기(節氣)로는 경칩(憬蟄)과 춘분(春分이 된다. 이때는 태양이 미(未)방향에 위치하여 묘월(卯月)의 월장은 미(未)가 된다.
③ 3월의 월건(月建)은 진(辰)으로 절기(節氣)로는 청명(淸明)과 곡우(谷雨)가 된다. 이때는 태양이 술(酉)방향에 위치하여 진월(辰月)의 월장은 유(酉)가 된다.
④ 4월의 월건(月建)은 사(巳)로 절기(節氣)로는 입하(入夏)와 소만(小滿)이 된다. 이때는 태양이 신(申)방향에 위치하여 사월(巳月)의 월장은 신(申)이 된다.
⑤ 5월의 월건(月建)은 오(午)로 절기(節氣)로는 망종(芒種)과 하지(夏至)가 된다. 이때는 태양이 미(未)방향에 위치하여 오월(午月)의 월장은 미(未)가 된다.
⑥ 6월의 월건(月建)은 미(未)로 절기(節氣)로는 소서(小暑)와 대서(大暑)가 된다. 이때는 태양이 오(午)방향에 위치하여 미월(未月)의 월장은 오(午)가 된다.
⑦ 7월의 월건(月建)은 신(申)으로 절기(節氣)로는 입추(立秋)와 처서(處暑)가 된다. 이때는 태양이 사(巳)방향에 위치하여 신월(申月)의 월장은 사(巳)가 된다.
⑧ 8월의 월건(月建)은 유(酉)로 절기(節氣)로는 백로(白露)와 추분(秋分)이 된다. 이때는 태양이 진(辰)방향에 위치하여 유월(酉月)의 월장은 진(辰)이 된다.
⑨ 9월의 월건(月建)은 술(戌)로 절기(節氣)로는 한로(寒露)와 상강(霜降)이 된다. 이때는 태양이 묘(卯)방향에 위치하여 술월(戌月)의 월장은 묘(卯)가 된다.
⑩ 10월의 월건(月建)은 해(亥)로 절기(節氣)로는 입동(立冬)과 소설(小雪)이 된다. 이때는 태양이 인(寅)방향에 위치하여 해월(亥月)의 월장은 인(寅)이 된다.
⑪ 11월의 월건(月建)은 자(子)로 절기(節氣)로는 대설(大雪)과 동지(冬至)가 된다. 이때는 태양이 축(丑)방향에 위치하여 자월(子月)의 월장은 축(丑)이 된다.
⑫ 12월의 월건(月建)은 축(丑)으로 절기(節氣)로는 소한(小寒)과 대한(大寒)이 된다. 이때는 태양이 자(子)방향에 위치하여 축월(丑月)의 월장은 자(子)가 된다.
월장이 정해졌으면 월장을 반드시 점시(占時)위에 놓고 순서대로 배열하면 천반(天盤)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1월 입춘 이후와 경칩사이라면 해장(亥將)이 되는데 인(寅)시에 점을 칠 경우에는 지반(地盤) 인(寅)위에 월장을 시계도는 방향으로 배열하면 다음과 같다.
寅 卯 辰 巳
丑 午
子 未
亥 戌 酉 申
2. 지반법(地盤法)
지반이란 지지(地支)로 움직이지 않는 정지 상태를 나타내는 것임으로 점치는 시간으로 지반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1월 축(丑)시에 점을 쳤을 경우는 해장(亥將)이 되니 지반 축(丑)위에 해(亥)를 놓고 시계도는 방향으로 배열하면 다음과 같다.
지반식(地盤式) 천반을 지반위에 배열한 경우
巳 午 未 申 卯 辰 巳 午
辰 酉 寅 未
卯 戌 丑 申
寅 丑 子 亥 子 亥 戌 酉
'주역·육임·육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十二神 (0) | 2009.07.15 |
---|---|
사과법(四課法) (0) | 2009.07.15 |
日辰 (0) | 2009.07.15 |
다음으로 둔간을 정합니다 (0) | 2009.07.15 |
四課의 작성의 마지막 단계는 天將붙이기 (0) | 2009.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