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7. 15. 18:38ㆍ주역·육임·육효
간지용신론(干支用神論)
일간(日干)은 자기 자신을 말하는데, 육임에서는 먼저 일간상신(日干上神)이 생(生), 비(比), 형(刑), 충(冲), 극(剋), 해(害), 공(空), 파(破)하는가의 상황을 살펴보아야 한다. 왜냐하면 일간상신이 일간을 도와주고 생하여 주면 좋기 때문이다.
일지(日支)는 주택을 말하는데, 가택점(家宅占)에서는 먼저 일지상신(日支上神)이 생(生), 비(比), 형(刑), 충(冲), 극(剋), 해(害), 공(空), 파(破)하는가의 상황을 살펴보아야 한다. 왜냐하면 일지상신이 일지를 도와주고 생하여 주면 좋기 때문이다.
길신(吉神)이란 일간과 일지를 생조(生助)하는 것이고, 흉신(凶神)이란 일간과 일지를 극하고, 일간과 일지의 기운을 설기하는 것을 말한다.
길장(吉將)이라는 것은 청룡(靑龍), 태상(太常), 귀인(貴人), 육합(六合), 태음(太陰), 천후(天后)를 말하고, 흉장(凶將)이라는 것은 백호(白虎), 현무(玄武), 천공(天空), 주작(朱雀), 구진(句陳), 등사(螣蛇)를 말한다.
◆ 길흉을 판단할 때는 신(神)을 위주로 보고, 장(將)은 보조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신이 길하고 장이 흉(凶)하다면 길(吉)로 판단하고, 장이 길하고 신이 흉하다면 흉한 것이 감소되지 않는다. 그리고 또한 길신(吉神)과 길장(吉將)이 생왕(生旺)지에 있다면 더욱 길(吉)하고, 흉신(凶神)과 흉장(凶將)이 휴쇠(休衰)지에 있거나 흉신과 흉장이 극을 받으면 흉이 되지 않는다.
예) 丙寅일, 卯시, 申將에 예측, 戌亥空亡.
六合 甲子 官鬼
太常 己巳 兄弟
螣蛇 空戌 子孫
騰 天 太 六
蛇 空 陰 合
戌 卯 未 子
丙 戌 寅 未
騰 朱 六 勾
蛇 雀 合 陳
戌 亥 子 丑
貴人 酉 寅 靑龍
天后 申 卯 天空
未 午 巳 辰
太 玄 太 白
陰 武 常 虎
이 과의 일간상신 술토가 묘(墓)이면서 공망을 만났는데 또 흉장인 등사가 임하였고, 일지상신 미토 역시 묘(墓)가 되어 집안에 있는 사람들은 불안하고, 공명은 실패하며, 재물손실이 발생하고, 건강이 악화되며, 소송에서는 패하고, 주택이 파손되는 등 모든 점사에 불길하다. 삼전에 비록 중전의 사화에 길장인 태상이 임하였지만 그 불길함을 해결할 수 없는 이유는 상신(上神)이 흉하기 때문이다.
예) 丁卯일, 卯시, 亥將에 예측, 戌亥空亡.
太常 辛未 子孫
句陳 丁卯 父母
貴人 空亥 官鬼
太 貴 貴 太
陰 人 人 常
卯 亥 亥 未
丁 卯 卯 亥
朱 六 勾 靑
雀 合 陳 龍
丑 寅 卯 辰
螣蛇 子 巳 天空
貴人 亥 午 白虎
戌 酉 申 未
天 太 玄 太
后 陰 武 常
이 과의 일간상신 묘목이 일간을 생하는데, 그곳에 비록 흉장인 구진이 임하였지만 상신이 길하므로 길로 논하고, 일지상신 해수에 관귀와 귀인이 임하여 일지를 생하는데 비록 해수는 공망이 되지만 길장인 귀인은 공망이 되지 않기 때문에 생으로 논한다. 그러므로 간지의 상신이 모두 길하고, 초전의 미토가 비록 일간의 기운을 설기하지만 묘(墓)가 되어 길하므로 재물은 쉽게 얻을 수 있고, 관직을 얻고자 하면 귀인이 도와주며, 집안에는 경사스런 일이 발생하고, 건강은 더욱 회복되며, 소송에서는 귀인이 나타나 해결해 주는 등 이렇게 모든 일이 길한 것은 신(神)이 길하기 때문이다.
◆ 점사(占事)의 화복과 길흉은 초전(初傳)에서 시작되니 이를 발용(發用), 혹은 발단문(發端門)이라 부르며, 육임에서 아주 중요한 위치에 있다. 그러므로 초전이 왕상하면 일의 시작이 매우 길하고, 초전이 충파극해(冲破剋害)를 당하거나 혹은 휴수사절(休囚死絶)에 있다면 일의 시작이 매우 불길하다.
◆ 육임에서 일간과 일간상신은 모든 일을 주재하기 때문에 사과에서 일과인 일간상신과 이과의 상신은 일간과 아주 가깝게 있으니 그의 생극(生剋)의 힘도 강하므로 그와 대응되는 일이 매우 빠르게 이루어진다. 반대로 일지(日支)와 일지상신은 일간과 멀리 떨어져 있어 그의 생극의 힘도 비교적 약하므로 그와 대응되는 일은 늦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가택점(家宅占)에서는 일지를 위주로 보기 때문에 일지의 상신과 사과의 상신은 일지와 매우 가깝게 있어 그의 생극의 힘도 강하여 그와 대응하는 일이 비교적 빨리 발생되게 되고, 일간상신과 이과의 상신은 일지와 멀리 떨어져 있으니 그의 생극의 힘이 약하여 그와 대응하는 일은 늦게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점사(占事)가 무엇인가에 따라 일의 발생이 빠르게 나타나는가 아니면 늦게 나타나는가를 판단해야 한다.
◆ 육임에서 12지지 즉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子丑)를 신(神)이라 하고, 12천장 즉 귀인(貴人), 등사(螣蛇), 주작(朱雀) 등을 장(將)이라 한다.
용신(用神)이라는 것은 12지지로서 신(神)을 이르는 말이다. 천반(天盤)의 신(神)을 지반(地盤)의 신(神)이 극을 하면 이것을 하극상(下剋上)이라 하고, 또한 천장(天將)이 천반(天盤)의 신(神)을 극하면 이것은 장(將)이 신(神)을 극한다고 한다.
그리고 용신이 지반의 신으로부터 극을 받고, 또한 천장으로부터 극을 받는다면 이것을 협극(夾克)이라고 하는데, 예를 들어 용신이 자수인데 자수가 지반의 술토위에 임하고 있다면 이 술토는 자수를 극하므로 하극상(下剋上)이 되고, 또한 자수에 태상(太常)인 토장(土將)이 있다면 자수를 극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일이 자신의 뜻대로 되지 않는다.
예) 辛未년, 壬辰월, 丁酉일, 卯시, 戌將, 승진점(昇進占), 辰巳空亡.
貴人 己亥 官鬼
白虎 甲午 兄弟
朱雀 辛丑 父母
六 太 靑 貴
合 陰 龍 人
寅 酉 辰 亥
丁 寅 酉 辰
騰 朱 六 勾
蛇 雀 合 陳
子 丑 寅 卯
貴人 亥 辰 靑龍
天后 戌 巳 天空
酉 申 未 午
太 玄 太 白
陰 武 常 虎
이 과는 승진이 되지 않고 퇴직을 해야 한다. 왜냐하면 해수 관성이 비록 역마이고 길장 귀인이 임하여 초전이 되었지만 해수가 임한 지반의 진토 묘(墓)와 귀인 토장이 동시에 해수를 협극(夾剋)하고, 거기다가 둔간인 기토까지 해수를 극하여 관성이 여러 곳에서 극을 받기 때문이다.
◆ 용신이 장생(長生)에 임하면 모든 일이 뜻대로 이루어지고, 용신이 사지(死地)에 임하면 일이 뜻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용신이 절지(絶地)에 임하면 일이 되살아나게 되고, 용신에 관귀(官鬼)가 임하면 움직이는 것이 불리하며, 용신이 묘(墓)에 임하면 모든 일이 침체되고, 용신인 묘(墓)가 장생(長生)에 임하면 일을 다시 시작해야 하며, 용신이 극해(剋害)를 당하면 일이 아주 곤란하다.
예) 戊辰년, 庚申월, 丙辰일, 寅시, 巳將, 구재점(求財占), 子丑空亡.
六合 庚申 妻財
貴人 癸亥 官鬼
玄武 甲寅 父母
六 貴 勾 騰
合 人 辰 蛇
申 亥 未 戌
丙 申 辰 未
六 朱 騰 貴
合 雀 蛇 人
申 酉 戌 亥
句陳 未 子 天后
靑龍 午 丑 太陰
巳 辰 卯 寅
天 白 太 玄
空 虎 常 武
용신이 장생에 임한 과로서, 길장 육합이 임한 재성 신금이 일간과 지반의 사화 장생에 임하였고, 또 삼전이 차례로 생하여 말전이 일간을 생하니 재물은 반드시 얻게 된다.
예) 戊辰년, 癸亥월, 戊辰일, 巳시, 卯將, 구재점(求財占), 戌亥空亡.
貴人 乙丑 兄弟
太陰 空亥 妻財
太常 癸酉 子孫
朱 貴 騰 天
雀 人 蛇 后
卯 丑 寅 子
戊 卯 辰 寅
朱 六 勾 靑
雀 合 陳 龍
卯 辰 巳 午
螣蛇 寅 未 天空
貴人 丑 申 白虎
子 亥 戌 酉
天 太 玄 太
后 陰 武 常
용신이 절지에 임한 과로서, 삼전에 길장인 귀인이 초전으로 되었지만 축토가 지반의 묘목 절지에 앉아 있고 둔간 을목까지 극하니 순조롭지 못하다. 거기다가 또 중전 해수가 공망이고 말전의 유금은 지반의 공망에 있으면서 또 일간상신을 충극하고, 흉장인 주작이 임한 묘목 관귀가 일간에 있으니 길한 것이 하나도 없어 재물을 얻지 못하는 형상이다. 그러나 묘하게도 중전의 해수 재성이 비록 공망을 만났지만 왕상한 월건에 임한 것은 공망이 아니기 때문에 아주 많은 재물은 얻지 못하더라도 적은 재물은 얻을 수 있다.
예) 12월, 乙酉일, 巳시, 子將占, 午未空亡.
六合 丁亥 父母
太陰 空午 子孫
靑龍 己丑 妻財
六 太 太 六
合 陰 常 合
亥 午 辰 亥
乙 亥 酉 辰
勾 靑 天 白
陳 龍 空 虎
子 丑 寅 卯
六合 亥 辰 太常
朱雀 戌 巳 玄武
酉 申 未 午
騰 貴 天 太
蛇 人 后 陰
용신이 묘(墓)에 임한 과로서, 길장 육합이 임한 해수가 일간을 생하면서 초전으로 되었다. 하지만 일간 을목은 원래 진토에 의지하는데, 해수가 지반의 진토 묘에 임하였고 중전은 공망이며 말전 역시 길장 청룡이 있으나 지반의 공망위에 앉아 있으니 유익한 것이 하나도 없다. 따라서 공명점, 재물점, 혼인점, 그리고 가택점 등 모두 불길하다.
◆ 용신이 형(刑)이 되면 은혜 속에 원한이 생기거나 원한 중에 기쁨이 발생하고, 용신이 파(破)가 되면 암암리에 재난이 발생되어 지체가 되고, 용신이 순공(旬空)되면 길흉이 모두 이루어지지 않고, 용신이 충(冲)을 당하면 일이 반복되고 안정되지 않는다.
예) 丁卯일, 巳시, 亥將占, 戌亥空亡.
太常 丁卯 父母
朱雀 癸酉 妻財
太常 丁卯 父母
太 勾 朱 太
陰 陳 雀 常
丑 未 酉 卯
丁 丑 卯 酉
貴 天 太 玄
人 后 陰 武
亥 子 丑 寅
螣蛇 戌 卯 太常
朱雀 酉 辰 白虎
申 未 午 巳
六 勾 靑 天
合 陳 龍 空
이 과는 반음과(反吟課)로서 초전이 충극을 만나고 천반과 지반의 오행들이 서로 충극을 하고 있어 일이 반복되고 불안정하므로 모든 점사에 불길하다. 다만 공명점에서는 태상이 임한 묘목이 일간을 생하고 주작이 임한 유금은 문장에 해당되니 과거시험에는 유리하다.
◆ 초전(初傳)이 태세(太歲)를 극하면 그 해에 재난이 발생되고, 초전이 일지(日支)를 극하면 집안이 편안하지 못하며, 초전이 시(時)를 극하면 마음에 근심걱정이 발생하고, 초전이 월(月)을 극하면 당월에 재난이 발생되며, 초전이 일간(日干)을 극하면 윗사람에게 재난이 발생되지 않으면 자신에게 재난이 발생된다.
말전(末傳)은 일의 결과인데 초전이 말전을 극하면 아무런 결과가 없게 된다. 그러나 중전(中傳)이 유통하여 준다면 괜찮다. 예를 들어 삼전에서 초전이 신금(申金), 중전이 해수(亥水), 말전이 인목(寅木)이 되는 경우이다.
예) 辛卯년, 辛卯월, 丁未일, 卯시, 戌將, 질병점(疾病占), 寅卯空亡.
太陰 己酉 妻財
靑龍 甲辰 子孫
貴人 辛亥 官鬼
六 太 六 太
合 陰 合 陰
寅 酉 寅 酉
丁 寅 未 寅
騰 朱 六 勾
蛇 雀 合 陳
子 丑 寅 卯
貴人 亥 辰 靑龍
天后 戌 巳 天空
酉 申 未 午
太 玄 太 白
陰 武 常 虎
초전의 유금이 태세와 월건 그리고 점시의 묘목을 충극하고, 중전의 진토는 말전의 해수 관성을 극하니 이달에 건강을 회복하지 못하여 후에 이 사람은 해일(亥日) 오시(五時)에 사망하였다.
◆ 초전이 재성(財星)이라면 사업을 경영하는 것이 좋고, 초전이 관성(官星)이라면 벼슬길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만일 재성이 역마(驛馬)라면 먼 길을 떠나서 재물을 구하고, 관성이 역마라면 멀리 떠나 관직에 종사해야 하며, 부모가 역마라면 멀리 떠나서 윗사람을 만나야 하고, 형제인 일록(日祿)이 역마라면 12천장을 보고 판단을 해야 한다.
예를 들어 역마에 귀인, 태상, 청룡이 임하였다면 먼 길을 떠나야 관직을 얻거나 귀인을 만나고, 역마에 천공이나 주작이 임하였다면 먼 길을 떠나 시험을 보거나 혹은 구설(口舌)로 인하여 외출을 하게 되고, 역마에 천후나 육합이 임하였다면 먼 길을 떠나 구혼(求婚)을 하게 되고, 역마에 태음이 임하였다면 애인을 만나러 외출을 하게 되고, 역마에 현무가 임하였다면 물건을 훔쳐 도망을 가는 것이다. 그러나 모든 일은 상황에 따라 판단해야 한다.
예) 癸巳일, 午시, 寅將占, 午未空亡.
貴人 癸巳 妻財
句陳 己丑 官鬼
太常 乙酉 父母
太 貴 勾 太
常 人 陳 常
酉 巳 丑 酉
癸 酉 巳 丑
勾 六 朱 騰
陳 合 雀 蛇
丑 寅 卯 辰
靑龍 子 巳 貴人
天空 亥 午 天后
戌 酉 申 未
白 太 玄 太
虎 常 武 陰
귀인이 임한 사화 재성이 초전으로 되었고, 삼전은 사유축 금국이 되었는데 귀인, 구진, 태상은 토장으로 금국을 생하고 금국은 다시 일간을 생하고 있다. 따라서 재물과 관직을 얻게 되는데 이것은 초전이 용신으로 되었기 때문이다.
예) 甲午일, 寅시, 巳將占, 辰巳空亡.
靑龍 丙申 官鬼
朱雀 己亥 父母
天后 壬寅 兄弟
太 靑 勾 白
常 龍 陳 虎
巳 申 酉 子
甲 巳 午 酉
靑 勾 六 朱
龍 陳 合 雀
申 酉 戌 亥
天空 未 子 螣蛇
白虎 午 丑 貴人
巳 辰 卯 寅
太 玄 太 天
常 武 陰 后
이 과 초전의 신금 관귀는 역마인데 길장인 청룡이 임하였고 중전은 일간의 장생이며 말전은 일록이 된다. 그러므로 공명점에서는 청룡이 문장을 상징하고 관성인 신금은 무관을 상징하여 문무를 겸직하는 관직에 종사하게 되는데 이것 역시 초전이 용신으로 되었기 때문이다.
◆ 용신이 진술축미(辰戌丑未)에 임하였다면 주로 거두어들이거나 저장하는 곳이 있게 되고, 용신이 인신사해(寅申巳亥)에 임하였다면 일이 발생되는 것을 말하는데 구체적인 것은 상황에 따라 분별해서 판단해야 하는데 아래와 같다.
① 봄에 예측할 때에 인목(寅木), 여름에 예측할 때에 사화(巳火), 가을에 예측할 때에 신금(申金), 겨울에 예측할 때에 해수(亥水)를 얻게 되면 모두 자신의 계절을 만나는 것으로 강하니 사건이 그 당시에 발생해도 모든 것이 다 순조롭다. 봄에 예측할 때에 사화를 얻었다면 목생화로 상(相)이 되고, 여름에 예측할 때에 신금, 가을에 예측할 때에 해수, 겨울에 예측할 때에 인목을 얻었다면 모두 생을 얻어 상이 되니 미래에 유리하다.
② 봄에 예측할 때에 해수를 얻었다면 해수의 기를 목(木)이 설기하는 것이고, 여름에 예측할 때에 인목을 얻었다면 인목의 기를 화(火)가 설기하는 것이며, 가을에 예측할 때에 사화를 얻었다면 사화의 기를 금(金)이 설기하는 것이고, 겨울에 예측할 때에 신금을 얻었다면 신금의 기를 수(水)가 설기를 하는 것이다. 그러면 그 기가 설기되어 휴수(休囚)가 되니 성공한 자는 물러나는 격이니 반드시 자신의 기반을 힘써서 튼튼하게 하여야 한다.
③ 봄에 예측할 때에 신금(申金), 여름에 예측할 때에 해수(亥水), 가을에 예측할 때에 인목(寅木), 겨울에 예측할 때에 사화(巳火)를 얻었다면 절지(絶地)에 처하게 되는 것으로 이는 활을 반대로 쏘는 것과 같아서 모든 일에 장애가 발생되니 반드시 자신의 행적을 감추어야 한다.
예를 들어 사월(巳月), 병인일(丙寅日), 사시(巳時), 신장점(申將占)이라면 삼전의 신금이 사화, 해수는 신금, 그리고 인목이 해수에 임하였다면 이 모두는 생지(生地)가 되고, 4월에 신금이 초전이 되니 이는 일이 앞으로 진행되어 나가게 된다.
오월(午月), 무진일(戊辰日), 유시(酉時), 미장점(未將占)이라면 삼전의 인목이 사화, 해수는 인목, 그리고 신금이 해수에 임하였다면 초전에서 말전까지 모두 기가 설기되니 성공한 이후에는 물러나야 한다.
해월(亥月), 기사일(己巳日), 유시(酉時), 인장점(寅將占)에 사화가 자수에 임하여 초전으로 되면 월건의 충극을 받을 뿐만 아니라 절지에 처하는 것으로 이는 활을 반대로 하여 쏘는 것과 같은 것이다. 따라서 인신사해(寅申巳亥)의 반음과(反吟課)는 모두가 이런 유형에 속한다.
오월(午月), 신사일(辛巳日), 신시(申時), 미장점(未將占)에 사화가 오화에 임하여 초전으로 되면 오화는 화의 왕지로서 사화가 왕지에 임한 것으로 되니 그 기세가 무지개와 같아서 하고자 하는 일이 그 당시에 발생하게 된다.
'주역·육임·육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길흉신살(吉凶神殺) (0) | 2009.07.15 |
---|---|
육임과전론(六壬課傳論) (0) | 2009.07.15 |
일진론(日辰論) (0) | 2009.07.15 |
삼전론(三傳論) (0) | 2009.07.15 |
점시론(占時論) (0) | 2009.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