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단 사항의 吉凶을 알려면 何日 何局 임을 決定하여야한다

2009. 7. 15. 19:28주역·육임·육효



먼저 정단 사항의 吉凶을 알려면 何日 何局 임을 決定하여야한다.
정단하는 그월의 월장 地支를 월장표에 依하여 확인하고 또 占時 時刻을 확인 한 후 다음 사항을 이해 한다.



卽 月將을 卯로 가정하고 점시 地支를 午로 假定하여 月將을 時支上에 옮겨 놓으면
다음 표와같이 月將 位置가 이동하여 변경 된다. 점시 地支는 不動한다



解說 위의 예시 같이 월장 지지가 점시 地支에 따라 多動된다.
十二時 地支中어느時 라도 이에 준한다 何日 何局임을 아는데 위의 例[]] 月將 地支 중 子를 착안하여 그하에 잇는 支神 卯字임을 알게 된다.
그 다음은 또 占時地支의 첫째자인 자에서 卯字가 몇 번째에 해당하는가를 살펴 보면 子丑寅卯로 네 번째에 해당하므로 四局이된다 모두 이에 준한다.
그리고 그날이 병자 일이면 丙子日 四局 庚戊日 이면 庚戊 四局이다.

독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육임 이미지 회전반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회전반을 이용하면 즉각 何日 何局임 을 알게된다. 이것을 알게되면 七百二十課식을 알게 된다.
하국이 결정되면 四課 三傳을 작성하고 十二天將을 晝夜 貴人으로 區分하고 또 順行 逆行으로 나누어 기입한다. 그러나 이과정이 복잡하고 어렵다.
독자 분들은 직접 설명을 들을수 있는 기회가 있으면 더할나이 없이 좋으련만 회전반 돌리는 것이 가장 난제이기 때문에 최소 四時간만 설명을 들으면 그 외 에는 독학으로 얼마든지 가능합니다.
[ 십이천장의 유신 ]

貴人(귀인) : 불각, 서원, 귀인, 고관, 존장, 녹봉, 문장, 수신, 귀중품, 미곡, 생사, 마, 각물.

蛇(등사) : 문자, 문화, 화열, 소인(젊은 사람), 두류, 괴이, 사류, 금화정, 수목토신, 무록 (실업자)

朱雀(주작) : 소인, 소간사, 문화, 서류, 비마류, 잉모, 과물, 잡곡류, 말, 화기

六合(육합) : 자손, 붕우, 매물인(소개인), 중개자, 공원, 교역, 기사, 죽목류, 율(밤), 감.

句陳(구진) : 전답, 토류, 군인, 형사, 옥사(간수), 추부(추한부인), 하급인, 과물, 농산물, 와석 (기와), 간사(수위)

靑龍(청룡) : 장관, 귀인, 부자, 재물, 지주, 부(남편, 용호, 표범, 고양이, 우산(비)

天空(천공) : 노비(사용인), 추부, 사의(사기), 금철, 오곡, 공동(빈동네), 이리, 청신(맑다), 공허물(가치없는 물건)

白虎(백호) : 병인(환자), 도로, 와관, 마류(삼베, 모시), 금속, 철기, 호랑이, 소인, 곡상 (상한 곡식), 유혈.

太常(태상) : 무관, 부모, 의류, 주식(술과 음식), 마류, 양, 전원, 사(실), 오미.

玄武(현무) : 도적, 간사인, 망실, 두류, 고양이, 수신(물), 변소, 폐가, 차마(교통수단)

太陰(태음) : 형제, 자매, 식모, 소첩, 금속류, 은폐물

天后(천후) : 여성, 음사사(음란), 귀부인, 처, 두(콩), 이, 여자물, 수택물(연못에 고인물)

[ 십이천신의 유신 ]

자 : 구름, 비, 천하(하늘의 물), 처, 여식, 어사(생선일 하는자), 유모, 주원(배를 다루는 사람), 괴의

축 : 우신, 신불, 종교가, 여객, 승려, 현인(어진사람), 전택(밭과집), 전원, 재(돈, 재물)

인 : 간사, 우편국원, 가장, 목기, 혼인, 문장, 재, 부서(처가살이)

묘 : 역, 우편국, 주차(배나차), 목기류, 장자, 도신(도둑), 뇌(벼락), 전기

진 : 옥신(김옥신), 군인, 흉도(흉악범), 이부(감춰진 남편), 구령(고개를 넘다), 사당, 전원, 정천(우물이나 생의 고인물)

사 : 장녀, 주부, 붕우, 화가, 술사, 요리사, 투쟁신, 구설괴의.

오 : 문서, 간사, 청신(맑음), 부녀, 창부(창녀), 여관, 군병, 여무(여자무당), 철공인

미 : 주식(술과 음식), 제사, 혼인, 부모, 자매, 평론가, 주조가, 풍신(바람)

신 : 도로, 병, 공무원, 병졸, 우편국원, 금석공원, 무의(무당이 병고치는)

유 : 음사, 해산신(흩어버리는), 금결공원, 칠공, 박도(노름꾼), 애첩, 소녀, 여사용인

술 : 사기, 남자사용인, 인수(어머니), 파재신(재물을 파하는), 군인, 승도

해 : 음사, 오장(오염도니장기), 송쟁(민사소송), 양사(두가지하는 사람), 선원

[ 천강소용구전 ]

1. 계획법 - 점시에 월장을 가하여, 천반의 "辰"밑에있는 지신(지반)으로 안다.

子 : 중도에 좌절, 정신적으로 불안 발생

丑 : 매사 추진함이 길하나, 목전사(눈앞의 일)나, 가까운 곳의 사건은 길, 원대사는 원지의 건은 좋지 않다.

寅 : 매사 추진함은 길, 특히, 승부사는 유리하고 이익.

卯 : 내외 모두, 개한(추운)하는 상. 수구하는 것이 좋다(옛것을 지키고, 가만히 있는)

辰 : 내외 모두, 개한(추운)하는 상. 중지하는 것이 좋다.

巳 : 천지가 개통함으로, 하사라도(언제라도)대길.

午 : 신불에 기도하라. 가무, 여흥등으로 난을 피하는 것이 좋다.

未 : 매사에 진행하면 소리, 여행, 매매, 승부사에 소리(작은 이득)

申 : 경쟁의 가능성, 타인의 압박, 중지함에 좋다.

酉 : 출행하면 재가 발생, 중지함이 좋다.

戌 : 계획은 후일 변경함이 이하고, 하부인(부하직원) 때문에 부상, 고심등의 사건이 생긴다.

亥 : 문이 좁아 불통한다. 매사에 놀라운일이 일어나고, 물사, 소모사(돈만 날린다)

2. 방문부재

四孟(사맹) - 寅, 巳, 申, 亥
四仲(사중) - 子, 午, 卯, 酉
四季(사계) - 辰, 戌, 丑, 未

"辰" 밑에 사맹이 있으면 있다.
"辰" 밑에 사중이 있으면 조금 기다리면 만난다.
"辰" 밑에 사계가 있으면 상대가 부재, 있어도 만날 수 없다.

3. 내방자 행동 정단

만나기로 약속했는데, 올까? 안올까?
사맹 - 출발도 안하고 집에 있다.
사중 - 약속인은 집에서 막 출발했다.
사계 - 약속인은 오고 있는 중.

4. 객인의 내부 정단 사맹 - 객인은 지장이 있다.(안온다)

사중 - 오고 있는 중
사계 - 곧 도착
복음과가 나오면 절대 안온다.

5. 여행 사맹 - 길하고, 좋은 일이 있다.

사중 - 화환(나쁜일)이 일어나며, 중지함이 좋다.
사계 - 별다른 길이나 흉이 없다.

6. 미로정단 사맹 - 좌측으로 가면 길을 찾는다.

사중 - 가운데로 가면 길을 찾는다.
사계 - 우측으로 가면 길을 찾는다.
만약, 길이 없는 곳에서 길을 잃으면, 진 밑의 글자 방향으로 가면 길을 찾는다.

7. 구물 구재 정단 돈이나 재물을 구할 때, 가능성 판단(방향은 해당방향으로)

사맹 - 구득이 안된다.
사중 - 목표한것의 반은 구한다.
사계 - 구할만큼 득한다.

8. 매매정단 물건, 매매 여부판단

사맹 - 매매성립 안된다.
사중 - 매매성립 된다.
사계 - 목적달성한다.

9. 분실판단 본인의 실수로 잃어버린 물건

사맹 - 분실한 것이 아니고, 어디 높이 놓아두고, 잃어버린 경우이고, 곧 찾을 수있다. 방위는 남.
사중 - 분실한 것이고 예상보다 늦게 찾는다.
사계 - 분실한 것이 아니고, 도적 맞은 것으로 찾을 수가 없다. 방위는 서북쪽.

10. 태아 남녀 정단

사맹 - 남아
사중 - 여아
사계 - 남녀불문하고 산액이 있고 , 신불에 기도함이 필요하다.

11. 질병정단 사맹 - 중병으로 치유가 어렵다.

사중 - 병이 경함으로, 치유가 가능.
사계 - 운명학상 길운이면, 치유가 가능하다. 흉운이면 치유가 어렵다.

12. 백젼백승 용병법 시에 월장을 가하여, 천반"子"밑의 지신을 목표로 한다.

예) 午(남쪽)을 등지고 한다.
[ 심이운성에 의한 명칭 ]

초전에 성한지지

1. 일간에서 보아, 초전이 장생이 되고, 청룡이 승하면-회사가 있고, 희망사는.년이 겹쳐서 발한다

2. 일간에서 보아, 초전이 목욕이 되고, 현무가 승하면-우려, 부진을 주사하고, 또 신을 청하게 하고 후를 제거하는 상이다.

3. 일간에서 보아, 초전이 관대가 되고, 백호가 승하면-우경사가 있고, 상복에 봉한다.

4. 일간에서 보아, 초전이 건록이 되고, 태상이 승하면-재물보화의 즐거움이 있고, 봉록출임(나가서 돈을 업음)에 응한다.

5. 일간에서 보아, 초전이 제왕이 있고, 귀인이 승하면-매사, 존귀(윗사람)의 , 또는 귀현조당 등에 응한다.

6. 일간에서 보아, 초전이 쇠에 봉하고, 천우가 승하면-매사가 파하고, 색정의사가 있다.

7. 일간에서 보아, 초전이 병에 봉하고, 구진이 승하면-만사가 좌절하고, 질병이사라지지 않는다.

8. 일간에서 보아, 초전이 사에 봉하고, 태음이 승하면-매사가 흔미불명한다. 또한 사상사(상을 당함)가 있다.

9. 일간에서 보아, 초전이 묘에 봉하고, 천공이 승하면-위법사, 또는 자작반성역이결한다(부족하다)

10. 일간에서 보아, 초전이 절에 봉하고, 주작이 승하면-하시라도, 폐재 또는 매사 단절한다.

11. 일간에서 보아, 초전이 태에 봉하고, 육합이 승하면-생기를 주사하고, 또는 양태사(쌍둥이를 가진다)에 성한다.

12. 일간에서 보아, 초전이 양에 봉하고, 등사가 승하면-만사완미(아름답게 끝맺음)를 주사하고 혹은 진보사가 있다.

[ 형,충,파,해에 의한 명칭 ]

1. 호전이 일간귀궁의 지지를 형하고, 간지는 상형하고, 일간귀궁과 일간상신이 지 지를 형하고, 일지상신은 귀궁지지를 형하고, 초전이 중전을 형하고, 중전은 말 전을 형하는 등을 말하다. - 물사는 이(이별)하고, 이사(괴상한일)가 일어난다.

2. 초전이 일간귀궁을 충하고, 이하 전항과 같으면-반드시 물(사물, 물건0의 변동,변천사가 있다.

3. 초전이 일간귀궁을 파하고, 이하 전항에 준한 상호관계이면-매사 상파된다.

4. 초전이 일간귀궁을 해 또는 극하고 이하 전항에 준한 상호관계이면-만사 구해와 물사가 기울어진다.

5. 초전이 일간귀궁과 합이 되고, 이하 전항에 준한 상호관계이면-만사는 희(기쁠)하고, 매사 원만, 융합사가 있다.

6. 일지가 일간상신이 되고, 일간을 생할때-많은 사람은 나를 생하고, 만사는 아심에 동의한다.

7. 귀궁의 지가 제 3과천반에 가하여(위치하여) 생함을 말한다-아가 상대를 구하나, 여의치 못하다.

8. 일지가 일간상신에 가하고, 생함을 말한다.-사람이 와서, 아이 것을 도(훔칠) 려는 의이다.(이를 경계방지 하면 경하다)

9. 일지가, 일간상신에 가하고, 일간을 극하면, 소인부하에서 방해를 받고, 배역을 당한다.

10. 일간귀궁이 일지상에 가하여, 일지에서 극함을 말하고-도를 그르쳐 스스로 허물을 초래하는 상이다.

11. 일지가 일간상에 가하고, 일간에서 극하는 것을 말한다.- 노력은 소하고, 재리 를 득하는 것이다.

12. 일간귀궁의 지지가, 일지상신이 되고, 일지를 극함을 말하고-타인에서 이익을 받는다.

13. 일지가 일간상신이 되고, 일간과 오행이 같은 것을 말한다.-하시라도, 도를 득하고, 도움을 받는다.

14. 일간귀궁지지가, 일지상신이 되고, 상하오행이 같은 것을 말하고- 낙은 초하고,인은 미하다.(즐거움이 오고, 사람은 아름답다)

15. 일지가 일간상에 가하고, 일간귀궁과 지합하는 것을 말하고,-하사라도 노력하지 않고, 물은 좋게 득한다.

16. 일간귀궁이 일간상신이되고, 일지와 상하합이 될 때-자기의지를 굽히고, 인에 종한다.

17. 초전에 역마가 있을 때-활동 건이 성하고, 외출 또는 여행사가 있다.

18. 그연의 지가 초전이 되고 귀인, 육합, 청룡, 태상, 주작, 천후가 성합을 말한다 - 최고 좋다.

19. 그연의 지가 초전이 되고, 등사 백호, 구진, 태음, 현무, 천공 등 어느 것이 성하고, 일간과 형, 충, 파, 해되면 최고 흉하다.

1. 春月목, 月화, 夏月금,冬月수. 季月토를 초전으로 하고, 간지에 성하던가, 삼전 에 합국이 되는 것을 말한다. 즉, 시령을 득함으로 세력이 있다고 하고, 하사라 도 노력적 발복을 본다.

2. 춘월금, 하월금, 목화동월, 화토계월, 수, 목이 초전이 되고, 간지상에 성하고, 삼전이 합국 등이 되는 것인데, 공(공정성)은 이루고, 신(몸)은 퇴하는 상이다.

3. 춘수, 화목, 추토, 동금, 계월화, 어느것이든 초전이되고, 간지상에 성하고, 삼전 이 합국하는 것을 칭한다. 기신 은 퇴신이되고, 오행은 사가된다. 물사는 지나치고, 또는 정이 이별하는 상이다.

4. 춘월화, 하월토, 동월목, 계월금이 초전이 되고, 간지상에 성하고, 혹은 삼합 또는 희국이 됨을 말하고, 즉 진신이 되고, 상생이 되면 장차 내하여 흥하려 는 조이다.

5. 장월 또는 월장이나 월건이 지지가 초전이 되고, 등사, 백호, 구진, 현무, 태음, 천공 중에 어느것이 성하고, 일간과 형, 충, 파, 해가 됨을 말한다. 시에 봉치 않고, 운에 배하여 만사 위배된다.

[ 통변성에 의한 명칭 ]

1. 초전이 인수가 되고, 간지삼전이 합국이 되고, 인수가 되고, 그리하여 인수가 공망이 되는 것을 말한다.-하사를 하여도 후원이 없고, 부모의 신변에 손상이 기한다.

2. 초전이 식신상관이 되고, 간지삼전이 합국되어, 식상이 되고 공망이 봉함을 말 한다.-타인이 속이거나, 자녀에 손상이 기한다.

3. 초전이 재성이 되고, 간지삼전이 합국이되어 재성이되고, 공망이 봉함을 말한다 -이권을 상실하고, 처첩을 손상한다.

4. 초전이 관살이 되고, 혹은 간지삼전이 합국되어, 관살이되고 공망이 봉함을 말하고-관송쟁은 모두 동쟁이 된다. 여명은 부를 망하게 하고, 남명은 직위가 변경된다.

5. 초전이 비견, 겁재에 속하고, 혹은 간지삼전이 합국이 되어 비견, 겁재가 됨을 말한다. 재는 허모가 되고 하사도 허경이 있거나, 혹은 형제의 손상을 초래한다.
1. 원수과 - 원형이정의 상. 비과는 천의상을 본따서 모든 물사가 순화의 상이다. 구종을 元으로하고, 64과의 首(수)이다.
       고로 원수과라 한다. 비과를 득하면, 군자는 진충의 인을 득하고, 범인은 정단하여 비과를 득하면, 인격자에 속한다.
       상하모두 만사 순조롭다.

2. 중심과 - 유순이정의 상, 비과는 지상을 본따서 하에서 상을 범하고, 상하상쟁과이다. 고로 모든 사건은 역주를 표시한다.
        화는 내에서 발생한다. 매사 희망사는 선곤, 후에 성한다. 초전이 묘, 절이고, 말전이 생왕하면, 재화는 점점 해소된다.
        말전에서 초전을 극하면, 길로 변하고, 초전에서 말전을 극하면 임신은 정단 여아이다.

3. 지일과 - 기하고 현에 임하는 상황. 모든 동류에 의하여 기한다. 사는 길흉에 종하여도, 이 사건은 성립 안 된다.
        화합사는 모두 외래에 따라 기한다. 하사도 의심의 조이다. 쟁은 화해를 주로하는 방침이 좋고, 도망, 분실,
       모두 원행을 하지 않으므로, 근처에서 찾는 것이 좋다. 하사라도 연을 사하고 친에 취한다. 언중에 해가 생하는 과이다.

4. 섭해과 - 고진감래상. 비과는 견기, 찰미, 과합, 비용사결이 있다. 하사도 곤란, 험악의 . 조가 있다.
       모사, 명리, 혼인, 질병, 기타. 초는 늦어지고, 일시경과 후 소성 한다

5. 앙성과 - 사호(뱀과 호랑이)가 교쟁전. 비과는 하사라도 경노(놀라고 노할)의 상이다. 정함이 좋고, 망동은 흉하다.

6. 별채과 - 비과는 염음격이다.(음란사) 하사라도 불안전하고 모두 지대색연의 의가 기한다.

7. 팔정과 - 협력, 동심생. 비과는 중을 득하기도 하고, 경을 득하기도 한다. 외에서 활동하여 도 이익이 안 된다.
        두사람이 같이 하는 일은 불성립. 양일은 진함이 좋고, 남자한테 이하고, 음일은 여인, 또는 처에 배한다.
       분실물은 내에서 찾는 것이 좋고, 혼인은 고정, 분리의 쾌이다.

8. 복음과 - 수구, 대신의 상. 비과는 자임, 자신, 두전의 삼격이 있다.. 비과는 정중동의 조이다. 급속히 동함은 불량하다. 신중하면
       재해는 생기지 않는다. 시험, 명예를 구하는 일은 좋고, 병, 쟁사는 동, 추는 경하고, 추, 하는 재화가 중하다. 동작은 경거치
       않으면 우는 생기지 않는다.

9. 요극과 - 비과에는 호실격과 탄사격이 있다. 비과를 득하면, 처음에는 천뇌에 놀라는 상이다.
        점차 세가 쇠해진다. 싸움은 주가 성하고, 타인에 의뢰사는 안 된다. 대인, 행인을 정단하면, 반드시 이익이 있다.

[ 여자의 미츄(美醜)를 아는법 ]

              제3과천반에 의하여 안다.(丑)

                                   辰      申      귀

                                   申      子      구

                                   子      辰      상


        현     청     구     귀

        巳     丑     子     申     (상신)

        丑     酉     申     乙     (일간)


제 3과천반에 천을 귀인이 타면 미인이고 숙녀이다.
제 3과천반에 등사귀인이 타면 보통이고 안색은 홍색이다.
제 3과천반에 주작귀인이 타면 눈이 좋지 않다(시력이)
제 3과천반에 巳. 年이 오고 주작이 타면 문장에 능하고,
寅. 卯. 申에 주작이 타면 머리숱이 적다.
亥. 子. 辰. 戌. 丑. 未에 주작이 타면 주근깨, 여드름이 있다.
육합이 승하면 허영심이 많다. 구진이 타면 얼굴도 못생기고, 키도 작다.
청룡이 타면 미인이고, 날씬하다.
백호가 타면 추부이고, 미운상이다.
태상이 타면 음식을 잘 먹고, 좋아한다.
현무는 안색이 검고, 못생기고, 가벼운 형.
천후, 태음은 대체적으로 미인이다.

[ 일간과 일간상식을 보고 쾌를 예측하고 ]

삼전(결과)에 공망이 타면, 전체쾌상이 아무리 좋아도 허사.
일간상신을 보고, 쾌의 목적, 기준을 예측.
연명, 연명상신, 행년, 행년상신.
삼전이나 사과에 辰이 타면 즉시 (즉발), 바로 효험이 나타난다.
        묘자리(丑)     집자리(酉)     1. 지상신 상생작용
        巳현(癸亥)     丑청(甲寅)     2. 일간과 지상신
        丑                 酉                3. 지상신과 일상신
                                               4. 12천장이 길장이면 더욱 좋다.
                                                   일간상신과 지상신이 충하면, 이사해야. 등사, 구진은 조상을
                                                   뜻함(정성기도), 현무, 천우는 용왕신.

[ 올해(신사년)운을 보는 법 ]

연명(개띠, 술)위에 해년지지 사를 붙이고, 그 위에 타는 12천장을 본다. 정월은

[ 내 정 법 ]

   내정은 점시에 작용한다.

1. 점시가 일지에서 보아, 역마는 이동 건이다.(직장, 집이사)

2. 점시에서 일간 귀궁을 충하고, 일지를 충하면, 배신당한다.

3. 점시와 일간과 일지가 동일하면 , 물사(의심)하고, 대건사 중지할 것.

4. 시지에서 일간을 상생하면, 혜택의 이가 있다.

5. 시지에서 일간을 상극하면, 구혜(서로 헐뜯는다)

6. 일간에서 시지를 극하면, 재가되고, 재사(돈문제)이다.

7. 점시에서 일간을 극하고, 계살이되면 , 피점자에 고장 (손해, 관재구설, 좋지 않다)

8. 시와 일이 자, 오, 충하면, 왕래의 귀복이 있다.

9. 점시가 일어서 보아 묘가 타면, 호예사(친척부고, 입원)다.

10. 일에서 시지를 파하면, 도주의건(스스로 피해야됨), 잃어버린다.

11. 지지에서, 점시를 행하면 관제구설 건이다.

12. 일간과, 점시, 천간과 간합하면 내외화합의 건이다.

13. 일지와 점시, 지가 합하면 혼인화합의 건이다.

14. 간지와 시지가 삼합하면, 내외일당과 화협한다.

15. 점시와 월장과 형, 충, 되면 예상 밖의 일
[ 질병의 감정 ]

   일간-병인, 병자 제 3과천반 - 병증, 병명.

1. 일지상신에, 자가타면 신장에 관한 증, 천우가 성하면 남자는 정기가 절하고, 여자는 혈부족.

2. 일지상신에, 해가타면 체내에 열이 있고, 기분을 해하고, 현무가 성하면, 눈에 눈물이 유출한다.

3. 일지상신에, 술이타면 복통이거나, 비위를 행한다. 천공이 성하면 보행이 안된다.

4. 일지상신에, 유가타면 천식, 폐담 등이고, 이에 태음이 성하면, 폐병이고, 비(코)를 상한다.

5. 일지상신에, 신이타면 남자는 입, 여자는 잉아에 위험상태, 이에 백호가 성하면, 종물(암, 종양)

6. 일지상신에, 미가타면 위장을 해하고, 태상이 성하면 빈혈증으로 마른다.

7. 일지상신에, 오이타면 심장, 안병. 주작이 성하면, 발열이 심하고 설사한다.

8. 일지상신에, 사이타면 치통, 혈을 토하고, 등사가 성하면, 머리와 얼굴에 동종(종기)

9. 일지상신에, 진이타면 유정(골수병)이나, 중풍, 구진이 성하면 인후병(갑상선), 종환이 있다.

10. 일지상신에, 묘가타면 가슴과 겨드랑이 병이고, 열이 상승하고, 육합이 성하면, 골육에 통증.

11. 일지상신에, 인이타면 안병, 복막염이고, 청룡이 타면, 간장에 위병이 생긴다.

12. 일지상신에, 축이타면 신체에 잔상이 있고, 귀인이 성하면, 요태(디스크)한다.

지에 속하는 병명 : 해, 자 - 신장에 속하는 병

                          사, 오 - 심장에 속하는 병

                          인, 묘 - 간장에 속하는 병

                          신, 유 - 폐장에 속하는 병

                          진, 술, 축, 미 - 비장에 속하는 병

병원(원인)을 알려면, 제 1천반에 성하는 12기신에 의하여야 한다.
[ 丁신의 활동 ]

도망을 정단하여, 정신을 득하면 원국에 간 것이다.

도적을 정단하여, 정신을 득하면 깊이 숨어있어 잡을 수 없다.

혼인을 정단하여, 정신을 득하면 집신관음을 성한다.

쟁송을 정단하여, 정신을 득하면 매사 관란하다.

정신이 역마를 대하면 도망사가 있다.

정신이 백호를 대하면 우환이 있다.

정신이 등사나 주작을 대하면, 괴이건이 동한다.

정신이 태음 또는 천후를 대하면, 여자의 실수(도망)가 있다.

정신이 천공을 대하면, 사용인의 실수가 있다.

정신이 현무를 대하면, 도적의 실수가 있다.

정신이 주작을 대하면 음신(전화, 편지)이 있다.

정신이 구진을 대하면 병사가 원래(먼곳)에 있다.

정신이 천공을 대하면 비요사(날아감)가 있다.

정신이 육합을 대하면 원행의 조이다.

정신이 삼광, 삼양, 육위, 삼귀, 용득격 중에 있으면, 직위 향상하고, 또는 구재(돈이 들어옴)의 기가 있다.

정신이 삼웅, 백화, 상골격중에 있으면, 병에 걸린다.

정신이 편망, 천록, 구록격에 있으면 계속사가 있다.

정신이 절말, 무록격에 있으면 계속사가 있다.

정신이 난수, 용전격에 대하면, 비상의 변사가 기한다.

정신이 원수과에 대하면, 길흉은 존장인에 의해 움직인다.

정신이 중심과 중에 있으면, 길흉은 하자에 있다.

정신이 비용과에 있으면, 신에 대한(마음을 등지는)일이 있다.

정신이 섭해과에 있으면, 흉쇠 강하다.

정신이 반음과에 있으면, 원동한다.(멀리 움직인다.)

정신이 복음과에 있으면, 성인의 우혜한다.

경신일의 정신은 휴동이다.

임계일은 재에 의하여 동하고, 흉을 가져오고, 길과는 대계(큰돈)를 득하던가, 고아에 관한 재의 요건이 있다.
[ 화재의 상황 ]

초전 및 일간상신이 집안에서 火극 金일 때, 정신에 백호가성하면 흉이 빨리온다.

계축일에 일상에 未는 정신이되고, 초전이 되면 도리어 재를 받으면 안된다. 만약 삼전이 일계가 되면 만사가 흉동이다.

정신은 변동의 신이므로, 도망을 접하면, 멀리 도망간다.

혼인점은 치산한 다음 성한다.

삼광, 삼양, 육위, 삼귀, 용덕, 이상격은 정신이 성하면, 명리를 얻는다.

흉격에 정신이 성하면, 병재에 걸린다.

양일 복음과가 정신을 보면, 배인은 숙녀(기다리는 사람 빨리 오고)하고, 동의가 성한다.

일지상에 정신이 성하면, 주택을 개조하는 조이다.

사신이 같이 있으면, 죽는 사람이 있다.

귀인이 승하면, 정신피로 즉 심이 피로하다.

등사가 승하면, 공포사가 병원이다.

주작이 승하면, 분쟁사로 기한다.

육합이 승하면, 희사(기쁜 일)가 원인.

구진이 승하면, 남녀간 정재가 원인.

청룡이 승하면, 영업상 재물이 원인.

천공이 승하면, 기망상(치매)

백호가 승하면, 전염병 또는 타인의 병에 감염된다.

태상이 승하면, 술중독, 과음, 과식이 원인.

현무가 승하면, 제사나 도난이 원인.

태음이 승하면, 간사, 음미사가 된다.

천후가 승하면, 과방 또는 주색이 원인.

[ 傀嵩(괴숭) ]

      12천장의 길신 : 청룡, 귀인, 천후, 육합, 태상, 주작
                            흉신 : 구진, 등사, 현무, 천공, 태음, 백호


일괴(일간을 극사)에 속하는 천장에 귀인이타면 조당(선조를 모신 사당)에 문제.

                                                    등사가타면 음사부정

                                                    주작이타면 부뚜막을 고친 경우나, 저주의 원한.

                                                    육합이타면 가신이 힘을 잃고, 쉴 때 (잠자리를 바꾸면 된다.)

                                                    구진이타면 조상이 쓰던 물건을 함부로 버리거나, 바꾼 경우.

                                                    백호가타면 횡사흉신(도로신에의해)

                                                    태상이타면 새로 화한 선국의 영(조상탈)

                                                    현무가타면 북두칠성의 고(칠성고)

                                                    태음이타면 부엌이나 식탁의 탈

                                                    천후가타면 수망노부(물에 빠져죽은 귀신) 부엌이나 화장실 문제가 많다.

[ 解 夢 ]

1. 연명(戌)과 천장이 상생되는지 본다.

2. 局을 보고, 12천장의 길, 흉신을 보고 판단. 일간을 생하는(청룡-돈, 육합-임신)

3. 연명상신에 辰, 戌이 타고, 등사, 백호(도로신, 피, 혈강살)가 타면 흉몽-
    신변에 위험. (백호의 신이 일간을 극하면, 절대 운전 금지)

[ 次 客 法 ]

1.양시일때 - 첫 번째는 정시로 본다.
                    두 번째는 순행해서 네 번째 지.(예. 辰시이면 네 번째 未시).
                    세 번째는 역행으로 여섯 번째 지(예. 未시에서 여섯 번째 寅시).
                    네 번째는 다시 순행해서 네 번째 지(寅시에서 네 번째 巳시) .
.
2.음시일때 - 첫 번째는 정시로 본다..
                    두 번째는 역행해서 여섯 번째 지(예, 巳시이면 여섯 번째 子시).
                    세 번째는 다시 순행해서 네 번째 지(예, 子시에서 네 번째 卯시).
                    네 번째는 다시 卯시에서 역행해서 여섯 번째 戌시..

[ 人 身의 유신 ]

甲 - 담, 乙-간, 丙-소장, 丁-심, 戊-위, 己-비, 庚-대장, 辛-각, 癸-신장, 壬-방광

子 - 신장, 방광, 귀, 허리, 정액, 음부

丑 - 비장부위, 양족

寅 - 담기, 풍, 관절, 발모, 손가락

卯 - 간, 혈행, 눈, 손등

辰 - 피부, 어깨, 배

巳 - 삼초, 소장, 얼굴

午 - 심장, 눈, 신기부족

未 - 위장, 복부, 입, 이빨

申 - 대장, 절골, 음모

酉 - 폐, 입, 코, 음성, 혈행

戊 - 등뒤, 국부

亥 - 방광, 호흡기, 음소
[ 부정을 타는 병점 ]

삼전에 괴살이 있음.(12천장으로 판별)

귀인이 타면- 神의 부정
등사가 타면- 뱀 또는 도로에 의한 부정
주작이 타면- 변사에 의한 부정
육합이 타면- 자살자
구진이 타면- 전사자(전쟁에서 죽은)
청룡이 타면- 가택신에 의한 부정
천후가 타면- 여인에 의한 부정
태음이 타면- 음귀악물(고양이, 뱀, 노루 등)
현무가 타면- 水에 의한 부정(용왕신)
태상이 타면- 神佛에 의한 부정
백호가 타면- 전사자, 흉사자
천공이 타면- 원한에 의한 부정(특히 여자)

[ 發現法(언제 죽느냐) ]

    초전 천반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다.
未, 申, 酉 ----- 戌        초전전반이 申일 때, 천반에서 戌을 찾고,
戌, 亥, 子 ----- 丑        그 戌밑에 있는 지지가 발현일이 된다.
丑, 寅, 卯 ----- 辰
辰, 巳, 午 ----- 未

[P154 乙未 8국 ]
[ 行年表(행년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