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7. 15. 16:22ㆍ주역·육임·육효
五行 |
節氣 |
月將 |
別名 |
音 |
數 |
色 |
味 |
二十八宿 |
方位 |
형체 |
비고 | |
亥 |
水神 |
立冬 小雪 |
正 寅 |
登明 |
角 |
四 |
褐갈 淡靑 |
鹹함 짠맛 |
室 壁 |
雙魚宮 乾方 (西北) |
|
壬水가 그 위에 寄하고 木은 그 下에 生한다. |
戌 |
土神 |
寒露 霜降 |
二 卯 |
河魁 하괴 |
商 |
五 |
黃 |
甘 단맛 |
奎 婁 |
白羊宮 乾方 (北) |
匈悍(흉한)하다. |
卯가 物에 응하는 것은 類聚의 뜻이다. |
酉 |
金神 |
白露 秋分 |
三 辰 |
從魁 종괴 |
羽聲 우성 |
六 |
白 |
辛 매운맛 |
胃 昻 畢 |
金牛宮 兌方 (正西) |
단정하다. |
辰은 草木이 좇아 나온다는 뜻 |
申 |
金神 |
立秋 處暑 |
四 巳 |
傳送 전송 |
徵 (징) |
七 |
栗 율색 |
辛 매운맛 |
紫 蔘 |
陰陽宮 坤方 (西南) |
목이 짧고 눈은 이상함. |
陰을 傳하고 陽을 送하는 의미이다. |
未 |
土神 |
小暑 大暑 |
五 午 |
小吉 |
徵 (징) |
八 |
黃色 |
甘 단맛 |
井 鬼 |
巨蟹宮 坤方 (南,西) |
광택이 있다. |
萬物小成의 뜻이 있기에 小吉이라 한다. |
午 |
火神 |
芒種 夏至 |
六 未 |
勝光 승광 |
角音 |
九 |
赤色 |
苦 |
柳 星 張 |
獅子宮 離宮方 (正南) |
눈은 비록 작으나 얼굴 은 큼 |
未月은 하절기의 焰火가 不息하는 象이므로 勝光이라 한다. |
巳 |
火神 |
立夏 小滿 |
七 申 |
太乙 |
角音 |
四 |
紫色 |
苦 |
翼 軫 |
雙魚宮 巽方 (東南) |
形體는 이마가 튀어 나오고 입은 크다. |
萬寶成熟의 뜻이기 때문에 太乙이라 이름한다. |
辰 |
土神 |
淸明 穀雨 |
八 酉 |
天罡 천강 |
商聲 상성 |
五 |
黃色 |
甘 단맛 |
角 亢 |
天秤宮 巽方 (東南) |
얼굴이 둥글고 수염이 많다. |
堅剛하고 肅殺의 뜻이 된다. |
卯 |
木神 |
驚蟄 春分 |
九 戌 |
太沖 |
羽聲 우성 |
六 |
靑色 |
酸산 심맛 |
房 心 |
天蝎宮 辰方 (正東) |
얼굴은 길다. |
太沖은 일월 五星이 出하는 門戶이며 만물을 離散剝毁한다. |
寅 |
木神 |
立春 雨水 |
十 亥 |
功曹 공조 |
徵音 징음 |
七 |
碧色 벽색 |
酸산 심맛 |
尾 箕 |
天馬宮 艮方 (東北) |
얼굴은 둥글고 청색, 수염(鬚수)이 있고 長身. |
功曹는 歲功會計의 뜻으로 |
丑 |
土神 |
小寒 大寒 |
11 子 |
大吉 |
徵聲 징성 |
八 |
黃色 |
甘 단맛 |
斗 牛 |
磨蝎宮 艮方 (東北) |
短身이고 醜하다. |
一陽이 始生 上帝復位하여 대길이라 한다. |
子 |
水神 |
大雪 冬至 |
12 丑 |
神后 |
宮聲 |
九 |
黑色 |
鹹함 짠맛 |
女虛 危 |
寶甁宮 坎宮 (正北) |
|
子는 12지의 우두머리로 正北方 上帝의 居所, 神后는 帝君이라 稱하는데 歲畢후 酒蘸蠟祭하여 百神에 報하는 이름. |
正(寅)月將 亥(登明) |
||
主事 |
楨祥(정상), 徵召(징소), 陰私(음사), 汚穢(오예)등을 主事(주사)하며 凶將(흉장)이 乘(승)하면 爭訟(쟁송), 拘繫(구계), 沉溺(침익) 등 사고가 있고 巳酉丑月 占課는 失物이다. |
|
類神 |
雨士(우사), 孫(손), 뱃사공, 食母(식모) 등 |
|
巳中(四仲)에 加(가)하여 六合이 乘(승)하면 幼子(유자)이고 |
||
子에 加하거나 酉에 加하면 醉人(취인)이며 |
||
玄武(현무)가 승하면 盜賊(도적)이다. |
||
身體 |
髮(발), 腎(신), 膀胱(방광), 頭風(두풍), 癎疾(간질), 학질 등을 나타냄. |
|
日干에 가하면 머리가 되고 |
||
巳에 가하면 頭面이 깨진 뜻이고 |
||
陽日에 加甲 陰日에 加未하면 足이며, |
||
年命에 가하게 되면 泄瀉(설사)로 보고 |
||
子에 加하면 痰熱(담열)이 있다. |
||
玄武가 승하면 눈에 눈물이 나고 |
||
天后(천후)가 乘하면 溺死(익사), |
||
螣蛇(등사)가 乘(승)하면 哀哭(애곡), |
||
貴人이 乘하면 徵召(징소)를 뜻한다. |
||
家宅 |
家宅으로는 園牆(원장)의 基礎 마구간 등인데 |
|
靑龍이 승하면 다락, |
||
六合이 승하면 樓閣, |
||
卯에 가하면 봉당, |
||
戌에 가하면 변소, |
||
勾辰이 乘하면 獄(옥), |
||
太常이 乘하면 쌀곡간이 된다. |
||
事物 |
圖畵(도화), 幞(복), 帳(장), 傘(산), 笠(립), 圓環(원환) 등도 되고, |
|
피리, 野豬(야저), 熊(웅), 鱉(별), 稻(도), 梅花(매화), 마늘종 등을 나타낸다. |
||
飮食 |
酢醬(초장)인데 |
|
太常 승하면 穀(곡)이 되고 |
||
子에 加하면 보리가 되며 |
||
朱雀(주작)이 승하면 소금이 된다. |
||
姓氏 |
陽(양), 朱(주), 魯(노), 魏(위), 于(우), 房(방), 任(임) 등이고 三水姓도 된다. |
|
|
||
二(卯)月將 戌(河魁) |
||
主事 |
詐欺(사기)와 奴婢(노비)의 逃亡(도망)之事이고 印綬之事도 되는데, |
|
만약 발용하면 舊事(구사)가 다시 새로이 되고 破材(파재)나 聚衆(취중) 등이다. |
||
類神 |
陰, 雲, 奴, 軍人, 사냥꾼, 僧徒(승도), 小童이고 |
|
子 午에 가하면 舅翁(구옹), |
||
申에 가하면 병졸, |
||
朱雀에 가하면 官吏, |
||
天后가 승하면 長者, |
||
白虎가 승하여 日을 剋하면 盜賊, |
||
玄武가 승하면 乞丐(걸개), |
||
勾辰(구진)이 승하면 聚衆(취중)이다. |
||
身體 |
命門, 膝, 脅, 胸, 足, 脾, 腹痛, 脾泄, 가위눌림 등이고, |
|
年命에 加하면 足疾, |
||
天空이 乘하면 行步艱難이다. |
||
家宅 |
城郭, 土岡(토강), 營業(영업), 사랑방, 마당, 봉당, 浴室(욕실), 牢獄(뇌옥) 이고, |
|
四季(사계)에 加하면 울타리, |
||
螣蛇가 巳午에 가하면 窯治, |
||
白虎(백호)가 승하면 墳墓(분묘), |
||
현무가 승하여 寅(인)에 가하면 坑廁(갱측), |
||
甲日에 寅에 가하면 울타리 등이 된다. |
||
事物 |
動物로는 개, 이리, 담비가 되고 五穀(오곡), 麻(마), 豆(두), 명주실, 禮服(예복), 印章(인장), 신발, 軍器(군기), 자물쇠, 도자기 등도 되는데, |
|
太常(태상)이 乘(승)하면 印綬(인수), |
||
현무가 승하면 도리깨, |
||
구진이 승하여 申이나 酉에 가하면 돌(石)로 본다. |
||
飮食 |
|
|
姓氏 |
王, 魯, 徐 |
|
|
||
三(辰)月將 酉(從魁) |
||
主事 |
陰私, 解散, 賞賜, 金錢, 奴婢, 消息 등이고, |
|
類神 |
婢, 妹, 少女, 外妾, 酒人, 賭徒, 銀行人, 漆工, 召使婦 등으로, |
|
子에 가하면 장마(霖雨), |
||
戌에 가하면 서리, |
||
巳午에 가하면 눈, |
||
巳에 가하면 바다, |
||
子에 가하면 江, |
||
玄武가 乘하면 水邊이 되고, |
||
子丑에 가하면 老婢, |
||
天空이 승하면 小婢, |
||
靑龍이 승하면 妾, |
||
太常이 승하여 卯에 가하면 樂器의 技術, |
||
六合이 乘하여 寅申에 가하면 比丘尼(비구니), |
||
백호가 승하여 四孟(사맹)에 臨(임)하면 邊兵(변병)이 된다. |
||
身體 |
肺, 口, 鼻, 聲, 血行, 耳, 目, 肝膽, 小腸, 皮毛, 精血, 咳嗽, 勞傷이고 |
|
蛇(사)雀(작)이 승하면 目疾(목질), |
||
丙丁(병정)일에 干(간)에 가하면 赤眼(적안), |
||
行年(행년)에 가하고 본명을 형하면 刀傷(도상), |
||
태음이 승하면 脾肺(비폐)를 손상한다. |
||
家宅 |
|
|
事物 |
塔, 山岡, 街道, 金庫, 門戶, 酒坊, 石穴, 碑銘, 연자방아, 金銀, 首飾, 珍珠, 銅鏡 등인데 |
|
龍虎(용호)가 승하고 왕상하면 金玉(금옥), |
||
囚死(수사)하면 小刀(소도), |
||
丙丁日에 태음이 승하면 錢(전), |
||
甲乙日에 백호가 승하면 孝服(효복)이다. |
||
飮食 |
또 小麥(소맥), 酒漿(주장) 菜蔬(채소) 마늘 생강 鳥(조) 鴨(압) 鵝(아, 거위) 雉(치, 꿩) 등이고 夫婦(부부)不和(불화), |
|
天后(천후)기 승하면 私通(사통), |
||
貴人이 승하면 賞賜(상사), |
||
勾辰(구진)이 승하면 解散(해산), |
||
朱雀(주작)이 승하면 口舌(구설)이다. |
||
姓氏 |
石, 金, 劉, 閔,鄭, 呂 |
|
|
||
四(巳)月將 申(傳送) |
||
主事 |
道路, 疾病, 音耗 등이다. |
|
類神 |
行人, 公人, 兵卒, 郵便, 交通部, 金石匠, 商賣, 屠尸, 巫醫, 사냥꾼이며, |
|
太常이 승하면 僧道이다. |
||
身體 |
大腸, 肺, 肝膽, 筋骨, 心胸, 脈絡, 音聲, 缺脣, 隨胎, 白虎, 瘡腫, 陰毛, 骨痛 등이다. |
|
家宅 |
|
|
事物 |
城, 神祠, 郵便物, 交通部, 車庫, 徒勞 私廊(사낭)이고, |
|
천후가 승하면 湖(호)나 池, 猿(원) 猩猩(성성) 大麥(대맥) 絹帛(견백) 羽毛(우모) 藥物(약물) 金銀 刀劍 |
||
백호가 승하면 兵器, |
||
천공이 승하면 방아 疾病, 陞遷, 驛遞, 死屍, 靈柩(영구), |
||
玄武(현무)가 승하여 亥에 가하면 失脫(실탈), |
||
勾辰(구진)이 승하면 攻劫(공겁), |
||
螣蛇(등사)가 승하면 喪孝(상효), |
||
亥에 가하여 日干을 극하면 水厄이 있다. |
||
飮食 |
|
|
姓氏 |
郭, 申, 晉, 韓, 金 |
|
|
||
五(午)月將 未(小吉) |
||
主事 |
風伯, 父母, 媒, 寡婦, 道師, 酒師, 帽匠, 知識人, 賓客 등이고 |
|
亥에 가하면 繼父(계부), |
||
酉에 가하면 繼母(계모), |
||
태음이 乘(승)하면 姨(이), |
||
또는 小姑, 天后가 乘하면 舅姑(구고), |
||
未에 가하면 醉人, |
||
寅에 가하면 婿(서), |
||
酉 丑에 가하면 老人 등이다. |
||
類神 |
|
|
身體 |
脾胃, 腹, 口, 脣, 齒, 肩背, 脊梁, 傷食, 翻胃嘔逆, 疲勞 등이다. |
|
家宅 |
|
|
事物 |
土塚, 牆垣, 井, 茶房, 酒坊이며, |
|
天空이 승하면 井泉, |
||
辰에 가하면 田園, |
||
卯에 가하면 林木, |
||
乙木에 白虎가 승하면 墳墓가 되고 桑葉, 木棉, 小麻, 冠裳, 印信, 醫藥, 酒食, |
||
子에 가하면 醬, 慶賀, 宴會 등이 된다. |
||
壬癸日에 雀, 勾가 승하면 爭訟, |
||
靑龍이 승하면 徵召, |
||
朱雀이 승하여 亥子에 가하면 蝗蟲, |
||
辛巳日에 白虎가 승하면 大風이 된다. |
||
飮食 |
|
|
姓氏 |
高, 張, 杜, 魏, 楊 |
|
|
||
六(未)月將 午(勝光) |
||
主事 |
|
|
類神 |
霞, 晴, 婦女, 蠶姑, 旅客, 軍官, 騎兵, 巫女, 鐵匠, 伴侶이며, |
|
天后가 승하면 善人, |
||
勾辰이 乘하면 亭長, |
||
太常이 乘하면 妾, 心, 口, 舌, 營衛, 神氣, |
||
玄武가 승하면 驚恐, |
||
子에 가하면 疝氣(산기), |
||
卯酉에 가하면 目疾, |
||
朱雀이 乘하면 傷風 下痢 등이다. |
||
身體 |
心, 目, 神氣, 舌 |
|
家宅 |
|
|
事物 |
太陽, 宮室, 城門, 堂, 窯治, 山林, 田宅이고 |
|
白虎가 승하면 道路, |
||
太常이 승하여 申酉에 가하면 廚房, 火燭, 旌旗(정기), 絲繡(사수), 衣裳(의상), 火爐(화로) 등이고, |
||
常, 合이 승하면 衣物이 되고, |
||
獐(장) 鹿(록) 絲(사) 綿(면) 紅豆가 되고, |
||
卯에 가하면 小豆가 되고 文書, 信息, 光彩(광채), 火怪, 詞訟 등이다. |
||
朱雀이 승하면 誠信, |
||
六合이 승하면 通語, |
||
申에 가하면 呪咀, |
||
白虎가 승하면 道路와 刀兵이다. |
||
飮食 |
|
|
姓氏 |
張, 李, 許, 周, 馬, 朱, 柳 |
|
|
||
七(申)月將 巳(太乙) |
||
主事 |
鬪爭, 口舌, 驚恐, 怪異事 등이고, |
|
類神 |
무지개, 冬至後로는 눈, 長女, 主婦, 朋友, 畵師, 術士, 料理師, 陶瓷器工, 騎兵, 手藝人이다. |
|
太陰이 승하면 娼婦, |
||
辛日에 螣蛇가 승하면 弔客, |
||
辰戌에 가하면 囚徒, 心臟, 三焦, 咽喉, 頭面, 齒股, 小腸, 胃, 雀斑, 齒痛, 吐血, |
||
태음이 승하면 頭面齒痛 또 부뚜막, 火爐, 磁器, 벽돌, 蓋瓦, 弓弩, 樂器, 車騎(차기), 布綿, 花果이고, |
||
申에 가하면 솟, |
||
酉에 가하면 큰 독, |
||
戌日에 勾辰이 승하면 피리, |
||
未에 가하면 부뚜막 옆에 있는 우물, |
||
未가 가하면 우물옆에 있는 부엌, 飛鳥, 蜥蜴(석척), 蚯蚓(구인), 飛蟲(비충), 紅頭(홍두), 사철나무 |
||
六合이 승하면 鳴蟬(명선)이 된다. |
||
또 文學, 取索, 孕胎도 되고 |
||
螣蛇가 승하여 辰에 가하면 雙胎, |
||
日辰을 剋하면 辱說(惡談), |
||
酉에 가하면 徒配, |
||
白虎가 승하여 日辰을 剋하면 外服이다. |
||
身體 |
心臟, 三焦, 咽喉, 頭面, 齒股, 小腸, 胃, 雀斑, 齒痛, 吐血 |
|
太陰이 乘하면 頭面疼痛 |
||
家宅 |
부뚜막, 火爐, 欌籠, 도磁器, 벽돌, 기와, 弓弩, 樂器, 車騎, 布帛, 花果 |
|
申에 加하면 솥 |
||
酉에 加하면 큰독 |
||
戌日에 句陳이 乘하면 피리 |
||
未에 加하면 부뚜막 옆에 있는 우물 |
||
未가 加하면 우물옆에 있는 부엌 |
||
事物 |
飛鳥, 역, 斯蚓, 飛蟲, 紅頭, 사철나무, |
|
六合이 乘하면 鳴蟬이 된다. |
||
飮食 |
|
|
姓氏 |
陳, 石, 趙, 田, 張, 朱 |
|
|
||
八(酉)月將 辰(天罡) |
||
主事 |
鬪爭, 詞訟, 死喪, 田宅 등 |
|
類神 |
類神으로는 안개, 獄神, 軍人, 兇徒, 奴隸, 漁夫다. |
|
玄武가 승하여 子에 가하면 强盜, |
||
白虎가 승하면 屠殺人(도살인), |
||
巳午에 가하면 老人이다. |
||
身體 |
脾, 肝, 皮膚, 肩背, 項, 肛門, 中風, 擁腫, |
|
咎徵이 승하면 咽喉腫塞, 岡嶺, 荒塚, 寺觀, 廊虛, 池沼, 祠堂, 갯도랑, 石欄, 田園, 墻垣, 井泉 |
||
天后가 亥에 가하면 海水, |
||
玄武가 승하여 巳에 加하면 井泉, |
||
天空이 乘하면 山坡(산파), 甲冑(갑주), 항아리, 벽돌, 개와, 破衣, 死屍(사시), 魚, 五穀, 麻, |
||
螣蛇가 乘하면 그물, |
||
亥에 가하여 靑龍이 승하면 蛟龍, 頑惡, 堅硬(견경), |
||
天空(천공)이 승하면 詐欺, |
||
勾陳이 승하면 戰鬪, |
||
玄武가 승하면 妖邪(요사), |
||
六合이 승하면 姙娠(임신), |
||
蛇虎가 승하여 剋日하면 自縊(자액)이다. |
||
家宅 |
|
|
事物 |
|
|
飮食 |
|
|
姓氏 |
郭, 鄭, 龍, 陳, 田, 周 |
|
|
||
九(戌)月將 卯(太沖) |
||
主事 |
郵便, 舟, 車, 林木 등이다. |
|
類神 |
뇌진(雷震), |
|
巳日에 靑龍이 승하면 雨, 長子, 經紀人, 盜賊, |
||
貴人이 승하면 術士, |
||
勾空이 승하면 沙門, |
||
未에 加하면 兄弟, |
||
巳午에 加하면 匠人이다. |
||
身體 |
肝, 大腸, 手, 背, 筋, 膏肓病, 胸脇多風, |
|
六合이 승하면 骨肉산통, |
||
卯에 가하든지 卯가 가하면 目疾, |
||
春日에 天后가 승하여 子에 가하면 疫病이다. |
||
家宅 |
|
|
事物 |
池澤, 大林, 竹叢, 舟車, |
|
辰에 가하면 橋梁, |
||
螣蛇가 승하면 水, |
||
白虎가 승하면 陸, 門前, 梯, 衣, 園架, 水徑, 門戶, 楷, 牀, 香盒, 생황(笙簧), 鼓笛, 箱子, 輪 |
||
申酉에 가하면 木器, |
||
丑未에 가하면 竹器, |
||
天后가 승하여 子에 가하면 水車, |
||
靑龍이 승하면 竹棒이다. |
||
動物로는 호(狐), 학(貉), 저양(羝羊), 려(驢), |
||
등사(螣蛇)가 승하여 巳午에 가하면 노새(螺나)이고, 참외, 수박도 된다. |
||
飮食 |
|
|
姓氏 |
楊, 盧, 高, 劉, 宋, 柳, 李 |
|
|
||
十(亥)月將 寅(功曹) |
||
主事 |
木器, 文書, 婚姻, 財帛, 관리 등이다. |
|
類神 |
風伯, 白虎가 승하여 申에 가하면 大風이다. |
|
犢牛(독우), 賓客(빈객), 家長(가장), 夫壻(부서)이며 |
||
龍合이 승하면 秀才, |
||
申에 가하면 道士, |
||
天后가 승하며 未에 가하면 醫師이다. |
||
身體 |
肝, 膽(담), 水, 筋(근), 脈(맥), 髮(발), 口, 眼, 三焦, 目痛, 肝胃痛이다. |
|
家宅 |
|
|
事物 |
道路, 公衙(공아), 四廟(사묘), 叢林(총림), 書室(서실), 棺槨(관곽), 木器, 文書이며, |
|
天空이 승하면 棒杖(봉장), |
||
午에 가하거나 午가 가하면 棟柱, |
||
朱雀이 승하면 햇불(火炬), |
||
玄武가 승하면 雜色班文, |
||
六合이 승하고 壬癸日에는 叢木, |
||
丙丁日에는 땔나무. |
||
動物로는 豹(표), 猫(묘), |
||
植物로는 旱木, 瓜木, 陞遷, 謁見, |
||
朱雀이 승하면 誠信, |
||
貴人이 승하면 徵召, |
||
太常이 승하면 書籍, |
||
卯에 승하면 文章, |
||
螣蛇가 승하여 午에 가하면 五色, |
||
巳亥에 가하면 迷路이다. |
||
飮食 |
|
|
姓氏 |
韓, 蘇, 林, 朱 |
|
|
||
十一(子)月將 丑(大吉) |
||
主事 |
田園, 園圃, 鬪爭 등이며 또 財帛, 宴會 등을 주로 한다. |
|
類神 |
雨師, 神佛, 僧, 尼, 賢者, 旅客, 軍官, 巫女, 農夫, |
|
白虎가 승하면 風伯, |
||
卯에 가하면 先雨, 後雷이며 |
||
卯가 가하면 先雷後雨이다. |
||
太歲가 가하면 宰執, |
||
勾辰이 승하면 將軍, 兵卒도 되고 |
||
貴人이 승하면 長者, |
||
天空이 승하면 난쟁이이다. |
||
身體 |
脾, 腎, 小腸, 腹, 足, 肩背, 耳, 독발(禿髮), 病目, 腹病, 脾病, 기천(氣喘)이고, |
|
貴人이 승하면 요퇴(腰腿), 위비(痿痹), |
||
亥에 가하거나 亥가 가하면 복설(腹洩)이다. |
||
家宅 |
|
|
事物 |
墓, 田, 社壇, 倉庫桑園, 廚房, 咀呪이고, |
|
辛酉일에 靑龍이 승하면 橋梁, |
||
申에 가하면 僧舍, |
||
巳에 가하거나 巳가 가하면 토갱(土坑), |
||
六合이 승하면 道院, |
||
貴人이 승하고 寅에 가하면 宮殿, |
||
太常이 승하면 田宅, |
||
巳日에 戌에 가하면 土地, |
||
貴人이 승하여 왕상하면 珍珠, |
||
未에 가하면 不完物, |
||
天空이 승하면 관(罐), |
||
卯酉에 가하면 항(缸), |
||
태상(太常)이 승하면 첨물(甛物), |
||
묘일(卯日)은 車橋이다. |
||
動物로는 龜, 오공(蜈蚣), |
||
子에 가하면 자라(鼈)이고 |
||
植物로는 大麻, 黃豆, 野菜이다. |
||
朱雀이 승하며 寅에 가하면 文書, |
||
丙日에 朱雀이 승하면 擧薦이다 |
||
飮食 |
|
|
姓氏 |
田, 孫, 吳, 趙,,楊, 黃 |
|
|
||
十二(丑)月將 子(神后) |
||
主事 |
陰私, 唵昧, 婦女之事이다. |
|
類神 |
雲, 雨, 天河, |
|
子日에 龍玄이 승하면 大雨, |
||
酉에 가하면 陰天, |
||
동지후 巳, 午에 가하면 雪, 后妃면 淫女, 乳媼, |
||
六合이 가하면 매작(媒妁), |
||
천후(天后)가 승하면 유녀(幼女), |
||
해(亥)에 가하면 해동(孩童), |
||
丑未에 가하면 老婦日辰에 가하면 구고(舅姑), |
||
太陰이 승하면 婢妾 동서(妯), |
||
酉에 가하면 상부(孀婦), |
||
白虎가 승하여 辰에 가하면 軍婦, |
||
玄武가 승하면 盜賊, |
||
太常이 승하면 娼婦, 梁匠, 溺死, 胎産, 淫佚, 私禱 聰明 등이다. |
||
身體 |
腎, 膀胱, 月經, 腰, 傷風, 腎渴, 痢, |
|
天后가 승하면 血崩, |
||
白虎가 되어 剋日하면 血이다. |
||
身上으로는 胎産, 淫亂, |
||
六合이 승하면 奸邪, |
||
靑龍이 승하면 亡遺, |
||
天空이 승하면 哀聲이고, |
||
家宅 |
|
|
事物 |
江湖, 溝渠, 水泊, 臥室, 氷物, 石灰, 籠匣이고 |
|
玄武가 승하여 亥에 가하면 雪糖, |
||
辰戌에 가하면 개, |
||
天后가 승하여 寅卯에 가하면 布帛, |
||
螣蛇가 승하면 浴盆, 박쥐, 제비집, 黑豆이다. |
||
飮食 |
|
|
姓氏 |
壬, 姜, 孔, 陳 |
※ 用語解說 : 加와 乘, 臨
天將에 逢하는 곳이 支神을 乘한다고 말하고 加하는 곳의 地盤을 臨이라 한다. 乘함은 天時의 衰旺을 보는 것으로 臨할 때 地理의 得失을 보는 것이다.
예를 들면 申이 巳에 가하여져서 天將이 申을 만나는 것은 申에 乘한다고 하고, 地盤巳의 地에 그 天將이라 말함은 이를 말한다. 그러니 申은 巳의 火地支에 坐해서 剋을 받고 타의 이를 얻지 못하는 것이다. 만약 天時가 가을이라면 天時에 旺해서 천시를 얻는 것이 된다.
'주역·육임·육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論 月將 (0) | 2009.07.15 |
---|---|
십이천장(十二天將) 도표 (0) | 2009.07.15 |
주역점과 육효점의 차이 (0) | 2009.07.15 |
육합괘(六合卦), 육충괘(六沖卦) (0) | 2009.07.15 |
점(占)의 종류 (0) | 2009.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