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7. 15. 16:23ㆍ주역·육임·육효
天乙貴人(己丑 陰土) |
天乙貴人은 己丑土에 屬하는 吉將이다. 天乙貴人은 紫微宮(자미궁) 밖의 右星인 天帝之神이다. 十二天將의 主로서 吉祥을 내리고, 福祿을 주며, 災厄을 없애주고, 危險을 소실시키는 작용을 한다. 天下萬物은 天地相交로서 육성되는데, 그것은 地氣의 生門인 艮土(간토) 卽 己丑土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貴人은 己丑土가 되어 萬乘天子가 되므로 合하는 神后를 天后로 하고 後宮의 神으로 삼는다. |
貴人은 壬式中의 天子로 최고의 位이며 日月이 만물을 明鑑(명감)하는 형상으로, 前으로는 第一에 螣蛇, 第二에 朱雀, 第三에 六合, 第四에 勾陳, 第五에 靑龍 등의 木火神을 左列케 했고, 後로는 水火旣濟(수화기제)의 형상으로 第一에 天后, 第二에 太陰, 第三에 玄武, 第四에 太常, 第午에 白虎 등 金水神을 놓아 右列케 했다. 天空은 貴人의 對로 有名無實之象이며, 貴人을 冲하는 관계로 無物의 상태이다. |
貴人은 天盤에서 일으키는데 順布할 때는 天門을 등지고 地戶를 향해 나아가고, 逆布할때는 地戶를 등지고 天門을 향해 들어온다. 順布하게 되면 吉하고, 逆布하게 되면 凶하다. 乘한 바의 神과 相生比和하면 吉하고, 上剋하면 凶하다. 貴人이 順布하고 다시 日干과 相生하면 비록 課傳에서 螣蛇나 勾陳과 같은 凶將을 보더라도 크게 다치지 않고, 貴人이 逆布되고 다시 日干을 剋하면 비록 課傳中에 靑龍이나 六合과 같은 吉將이 있더라도 크게 吉하지 못하다. |
壬學의 吉凶은 天將 관계가 중요한데 天將의 五行은 天將自體의 오행을 따지지 말고 天盤에 승한 十二地支의 五行에 따라서 生剋을 따져야 한다. 예를 들면 貴人이 亥子에 乘하면 비록 귀인 自體의 오행은 丑土이지만 亥子水로서의 貴人으로따져야 한다. 거듭 말해서 귀인이 申酉에 승했으면 辛酉금으로, 巳午에 乘했으면 巳午火로 본다. |
이상의 이치를 잘 알고 壬癸日에는 貴人이 土神이므로 日干을 剋하여 凶하다는 妄斷(망단)을 피하기 바란다. 그러므로 貴人, 靑龍, 六合, 太常은 비록 吉神이지만 十二支에 乘한 地支에서 日干을 剋할 때는 幸中不幸(행중불행)이라고 하여 오히려 좋지 못하고, 白虎, 螣蛇, 玄武는 비록 凶將이라 할지라도 乘한 地支에서 月干을 生할 때는 不幸中幸이라 해서 오히려 吉한 작용을 한다. |
貴人은 得地하면 貴하고 失地하면 賤하다. 그러므로 君子는 福을 받고 小人은 오히려 災殃을 받는다. 貴人이 逢空(봉공)하거나 落空이 되면 喜悲事가 모두 허사다. |
太歲가 貴人이 될 때는 三傳에 있지 않더라도 역시 구조를 받으며, 매사 貴人이 도와주나 病占에는 구조를 못한다. 貴人이 발용하고 만약에 富貴課나 龍德課가 될 때는 구하는 일에 있어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없다. |
貴人이 日辰의 前에 있으면 動이라 하고, 日辰의 後에 있으면 靜이라 한다. 貴人에는 日貴와 夜貴가 있는데 해가 지기 전의 占斷은 日貴가 顯(현)하고 夜貴가 隱(은)하며, 夜占에는 夜貴가 顯하고 日貴가 隱하는데 이렇게 은장(隱藏)된 貴人을 가리켜 염막귀인(簾幙貴人)이라고 한다. 그것은 貴人이 簾幙(염막)중에서 隱재하여 있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簾幙貴人이 年命이나 干上에 臨하여 日干과 相生하면 어떠한 考試에도 合格한다. |
그리고 보통 모사에 兩貴人이 入傳하거나 一貴人은 干上에 臨하고 一貴人은 辰上에 臨하면 반드시 貴人이 둘이 있어 부에 넘치는 힘을 얻는다. 日夜二貴人이 卯酉上에 다 같이 있게 되면 關(관)이라 하고, 子午上에 다 같이 있으면 隔(격)이라고 하여 매사가 閉塞不通(폐색부통)하는데 이상은 甲戊庚日에만 한해서 있게 된다. |
貴人은 旺相한 地에 있으면 吉하고, 休囚死地에 있으면 凶하다. 貴人이 旺地에 있으면 官爵(관작)이나 賞賜(상사)가 있고 相地에 臨하면 貴人의 財物을 下賜(하사)한다. 休地에 있으면 貴人이 근심이 있고, 死地에 臨하면 貴人君子의 死喪事(사상사)가 있다. |
|
螣蛇(丁巳 陰火) |
螣蛇는 丁巳의 火神으로 凶將이다. 火光, 驚疑(경의), 憂恐(우공), 怪異事(괴이사)를 주로 하나 所乘한 神과 相生하거나 比和하면 吉하고, 不然이면 凶한데, 空亡이 되면 吉凶이 半減하고, 刑殺이 될 때는 災病이 일어난다. 螣蛇가 乘한 神이 旺相하고 다시 相生 될 때는 胎産(태산)이나 婚姻의 기쁨이 있는데, 그것은 血光을 맡은 申將이기 때문이다. 螣蛇는 太陰, 白虎, 玄武, 靑龍, 天后를 좋아하고 戌은 두려워 한다. |
怪異占(괴이점)에 螣蛇가 乘하여 旺相하면 반드시 生物이고, 死囚하면 반드시 死物이거나 有聲無形하게 된다. 夢占이나 怪異占에는 먼저 螣蛇나 그 陰神을 보고 日辰과 三傳은 다음으로 본다. |
螣蛇가 火神에 乘하여 火鄕(화향)에 臨하고 또 占時가 巳午時면 火災나 口舌, 官災이다. |
螣蛇가 乘한 神이 日干과 財가 되고, 또 神將이 旺相하고 相生이 될 때는 求財에 大吉한데, 반대일 때는 놀라는 일이 있다. 財物占에 螣蛇가 日辰에 臨하면 반드시 그 물건이 下賤(하천)한 것이다. 螣蛇는 火神으로 君子가 官에 있으면 職位를 잃고, 小人은 鬪爭, 病災가 있으나 旺相하거나 相生하면 災는 일어나지 않는다. 死囚刑剋되면 禍(화)는 連綿(연면)하다. |
|
朱雀(丙午 陽火) |
朱雀은 羽林將軍(우림장군) 招風神(초풍신)이라고 하며 貴人의 前 二位에 居한다. 丙午火에 속하며 夏旺春相하는 凶將이다. 白虎와 太陰을 사랑하고, 天后와 天空을 두려워하며, 亥,子,戌에는 不立한다. |
朱雀이 得地하면 吉하니 主事는 文章, 印信, 敕命(칙명), 服色(복색), 王庭事(왕정사)이며, 失地한 則 凶하니 主事는 火燭, 焚煌(분황), 口舌, 生病, 公訟, 文字財物損失, 馬畜(마축), 災傷 等이다. 만약 旺相한데 披刑(피형) 帶殺(대살)하면 그 害가 必히 深(심)하고 아니면 그 害는 淺(천)하다. |
무릇 公事占에서 朱雀이 逆理되면서 日干을 刑賊하면 윗사람(官)에게서 必히 嗔責(진책) 당하고, 順布되면 도리어 無害하다. 試驗占에서는 朱雀이 入傳치 않으면 자세히 찾아보아야 하는데 제일 좋은 것은 太歲, 月建, 月將이 되는 것이고, 不然이면 歲月日이 더불어 相合하고, 帶祿(대록), 附馬(부마)나 日德을 아울러 갖고 더하여 生旺之地에 臨하면 반드시 合格한다. 그러나 刑剋을 당하거나 空亡에 빠지면 無氣한데, 더하여 死絶에 臨하면 그 試驗은 필히 不合格한다. 그러나 卦體(괘체)나 三傳이 아울러 吉하면 이와 같이 正斷하지 않는다. |
朱雀이 火神에 乘하여 火鄕(화향)에 臨하고 또 占時가 巳午時면 반드시 火災<火燭(화촉)>가 있다. 그러나 返吟課라면 神殺이 伏而不動(복이부동)하므로 가히 면할 수 있다. |
|
六合(乙卯 陰木) |
六合은 光祿大夫 雨師로 乙卯木에 속하고, 春三月 六乙日에 旺한 吉將이다. 六合은 和合의 神으로 柔順(유순)하고 仔詳(자상)하여 人事에 和合한다. 東方에 居하며 靑五陰의 長女다. 得地하면 文儒(문유)나 九流의 벼슬을 하고, 失地한 則 暗昧(암매), 虛詐(허사)하니 僧, 道, 泥(니)類이다. |
靑龍과 太常을 좋아하고, 天后, 太陰, 白虎, 天空을 두려워하며, 四仲은 不利하다. |
六合은 婚姻, 喜慶, 信息, 求望, 交易, 胎産, 媒妁(매작), 牙保, 陰私, 財物, 交契(교계), 木植, 船車(선거)등을 主事하는데, 凶象이면 陰刑不明하고 先喜後憂 한다. 또 六合은 門戶를 主事하니 道路의 改變이다. 무릇 六合이 旺相氣에 乘하며 相生 順布하고 入傳한 者는 婚姻이나 或 胎産의 기쁨이 있고, 私的인 財物을 얻는다. 만약 死囚 刑剋되면 財物上의 口舌이나 陰人의 煩撓(번요)가 있다. 六合이 酉, 戌에 乘하면 使用人이 逃走(도주)한다. |
占에 六合을 得하고 戌에 乘하여 臨門하면 旬內에 사용인의 逃走(도주)가 있으니, 이는 六合이 天地의 私門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盜占(도점)에서는 六合이 入卦(입괘)하는 것을 아주 싫어하는데 이는 私門으로 逃亡하면 잡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六合이 天后와 더불어 같이 入傳하면 狡童(교동), 佚女卦(일여괘)라 奸邪不正(간사부정)하고 萬事 신중을 요한다. 六合이 金에 附(부)하면 內戰이니 주로 陰私, 婦人, 兄弟의 口舌이 있고, 土神에 附하면 外戰이니 일은 밖에서 일어나 불안하니 暗求(암구), 私禱(사도)가 마땅하다. 六合이 子午卯酉에 乘하면 不合되니 서로 陰私를 품는다. |
六合이 旺하면 賞賜遷職(상사천직)의 기쁨이 있고, 相이면 婚姻이나 財物의, 死가 되면 爭財나 死喪事(사상사)가, 囚에 逢(봉)하면 破緣(파연), 陰慝(음특), 陰謀事가, 休에 逢하면 疾病, 陰私事件이 있다. |
|
勾陳(戊辰 陽土) |
勾陳은 天의 大將軍으로 구름을 부르는 神이다. 戊辰土神으로 四季에 旺한 凶將이다. 得地하면 將軍이요, 失地하면 일개 兵卒이다. 爭訟을 아주 좋아하고, 二心을 가지고 있으며, 不孝之神이다. 玄武와 天空을 사랑하고 靑龍과 天后를 두려워하며 四孟에 不立한다. 在官者는 勾陳을 印綬로 하니 旺하면 吉하고, 衰하면 凶하다. |
勾陳은 主로 兵戈(병과), 官事, 公訟(공송), 印信, 虎符(호부), 留連(류연), 皮革, 財帛(재백), 出行, 牽罫(견괘), 財物損失, 病을 主事한다. 訟事에는 勾陳을 爲主로 보는데, 日辰을 剋하면 寃恨(원한)이 풀려지질 않고, 日辰이 勾陳을 剋하면 마침내 무사할 것이다. 勾陳에 螣蛇, 朱雀이 乘하고 殺의 帶(대)하여 日干을 剋하면 더욱 凶하다. 만약에 勾陳이 日辰을 剋하나 勾陳이 陰神에 貴人이 乘하여 生日하면 凶이 변하여 吉하게 되는데, 반드시 본인의 行年이 空亡되지 않아야 한다. |
捕盜占(포도점)에 勾陳이 剋日하면 붙잡을 수 있고, 勾陳의 所乘之神이 玄武를 剋하여도 역시 잡을 수 있다. 勾陳의 臨하는 地가 玄武의 臨하는 地를 剋하면 盜賊(도적)이 自敗(자패)하거니 자수한다. 예를 들어 勾陳이 巳午의 地에 臨하였는데 玄武가 申酉의 地에 있는 것을 말한다. 이와 반대일 경우는 捕盜(포도)치 못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禍를 당할 수가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
宅墓占에 勾陳이 旺相하여 宅墓(日干卽墓 日支卽宅)에 臨하면 平安한데, 만약 休囚가 되고 또 宅墓가 刑剋되면 不安하다. 勾陳이 辰戌丑未에 乘하면 더욱 凶하다. 勾陳이 刑殺을 帶하면 禍患(화환)은 즉시 닥친다. 氣象<晴雨(청우)>占에서는 勾陳이 入傳하면 제일 좋은데, 日辰에 臨하여 玄武를 制하면 반드시 晴天(청천)하다. 戰鬪占(전투점)에서도 역시 勾陳이 玄武를 制하면 위에 준하여 占斷한다. |
勾陳이 旺하면 貴人의 爭事가 있고 相하면 귀인의 爭訟事, 死면 死人의 財物件, 囚면 訟事 官事가, 休면 病 도는 田宅의 다툼이 있다. |
|
靑龍(甲寅 陽木) |
靑龍은 甘雨의 神으로 甲寅木에 속하며, 春三個에 旺한 吉將으로 水木神이다. 高貴 端雅(단아)하며 方正廉平(방정렴평)하다. 得地하면 富貴尊崇(부귀존숭)하고 失地하면 財寶(재보)가 外耗(외모)된다. 太陰과 白虎를 두려워하고 天后와 六合을 좋아하며 申, 酉와는 不立한다. |
靑龍은 文字, 財帛(재백), 舟車(주거), 林木, 衣服, 書類, 官府升遷(관부승천), 僧道, 婚姻 喜慶, 媒妁胎産(매작태산), 宴會(연회) 등을 主事하고, 凶하면 哭泣(곡읍), 病疾, 公訟, 失財, 走畜(주축), 陷溺舟車(함익주거) 등을 主司한다. 公事占에서는 靑龍이 喜神인데 만약 所乘之神이 刑殺을 띠고 入傳하며 또 剋日하면 반대로 凶하다. 婚姻에는 靑龍으로서 新郞(신랑)을 보고 天后로 新婦(신부)를 본다. |
新婦入門時에 天后가 靑龍所乘之神을 剋하면 반드시 男便을 剋한다. 求財에도 靑龍 위주로 하는데 旺相氣가 乘하고 旺相鄕에 臨하여 日辰과 相生하거나 日辰과 三合, 六合이 되면 吉하다. 단 반드시 入傳하거나 日辰上에 臨해야지 그렇지 않으면 龍居閑地(룡거한지)라 하여 힘을 입지 못한다. 婚姻, 胎産도 이상과 같이 보는데 所乘之神이 本命을 生하면 財産이 늘어나나 本命을 剋하면 財産이 준다. |
捕盜(포도)에는 靑龍이 入傳함을 제일로 꺼린다. 왜냐 하면 龍이란 머리는 보여도 꼬리는 볼 수 없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行人占에 靑龍이 入傳하면 역시 타방으로 돌아간다. 病占에 靑龍이 入傳하면 그 전에 반드시 酒食으로 인해 얻은 병이나 房事로 인해 得病한 것이다. |
官職占에서 文官은 靑龍로 보고, 武官은 太常으로 보는데, 日干과 生合하면 吉下考 아니면 凶하다. 龍常이 太歲에 乘하여 入傳하면 반드시 遷職(천직)하게 된다. 靑龍과 凶殺이 日辰에 같이 臨하면 喜慶 중에 鬪殺(투살)이 있다. 靑龍이 孟月에는 寅에 乘하고 仲月에는 酉에 乘하고 季月에는 戌에 乘하면 靑龍開眼(청룡개안)이라 하여 消災降福(소재강복)하고, 春月에는 丑에 乘하고 夏月에는 寅에 乘하고 冬月에는 巳에 乘하면 靑龍安臥(청룡안와)라 하여 災禍가 따라 일어난다. 靑龍이 旺相 相生하면 婚事에는 吉하고 死囚刑剋되면 私通이다. |
|
天空(戊戌 陽土) |
天空은 黃埃塵霧(황애진무)의 神으로 渴雨神(갈우신)이라고도 하며, 戊戌土에 속하는 四季에 旺한 凶將이다. 玄武와 天后를 좋아하고, 靑龍, 六合, 太陰, 朱雀을 두려워한다. 天地의 모든 잡기를 얻어 인간의 詐神(사신)을 만들어 動하여도 利濟의 마음이 없고, 靜하여도 妖毒(요독)한 마음만 있다. 天乙貴人의 對方에 거하여 有名無實한 象으로 空亡과 같은 作用을 하는 것으로 虛位(허위), 詐巧(사교) 등을 主事한다. |
詞訟(사송)에서는 發用이나, 或 末傳에 天空이 乘하면 반드시 解訟(해송)되나 求財에는 大忌한다. 婚姻占에 天空이 발용하거나 혹 日辰에 臨하면 그 家에 반드시 孤寡之人(고과지인)이 있다. 그렇지 않으면 祖業을 파한 집안이다. |
奴婢占(노비점)에는 天空을 위주로 보는데, 만약 所乘之神과 日干이 서로 相生 相合하면 吉하고 그렇지 않으면 나중에는 도망가기 쉽다. 乘한 神이 魁罡(괴강)일때는 그 奴婢(노비)는 반드시 善良(선량)치 못하다. |
考試에는 天空이 發用하면 좋지 못할 것 같으나 오히려 吉하다. 왜냐하면 天空은 奏書之神(주서지신)이기 때문이다. 託人(탁인)이나 謀事에 天空이 발용하거나 入傳하면 虛事이다. 天空이 辰戌丑未에 乘하면 天空閉(천공폐)라 하여 小事는 可成하나 大事는 不成한다. 만약에 貴人이 順布되고 乘한 神이 旺相하고 相生이 될 때는 奴婢(노비)가 同心한다. 그 乘한 神이 日柱의 財가 되고 다시 天喜를 만나면 求財事가 小人이나 僧道에 의해 얻은 財物이다. 天干이 遁干壬癸(둔간임계)에 해당하면 天空下淚(천공하루)라 하여 死亡之事가 있다. |
|
白虎(庚申(陽金) |
白虎는 霹靂(벽력)의 神으로 風伯이라고도 하며 庚申金에 속하는 凶將으로 秋三月에 旺하다. 또한 西方白帝로 骨肉을 損하고 色情, 陰私를 좋아하는 操行不良(조행불량)의 神이다. 得地하면 威猛(위맹)이 있으나 失地하면 狼狽(낭패)와 같다. 血光, 疾病, 死亡 등을 主事하며 刑殺을 帶하면 災禍가 立至한다. 白虎는 威權之將이기 때문에 大功 大事에는 百虎를 제일 좋아한다. |
發用하거나 入傳하면 그 공은 立成하고 그 일은 성취한다. 官爵占(관작점) 역시 白虎를 기뻐하며 刑殺을 帶(대)하면 더욱 좋고 오히려 刑殺을 帶하지 않으면 불발한다. 疾病에는 百虎를 最忌한다. 所乘之神이 日干을 剋하고 刑殺을 帶하거나 或 魁罡(괴강)에 白虎가 乘하여 日干을 剋하고 行年을 剋하거나 或 百虎의 陰神이 日辰 年命을 剋할 때는 必死한다. |
白虎가 空亡되거나 혹 月德을 겸하면 化凶爲吉이 되는데 凶殺이 태중하면 역시 구할 수가 없다. 公事占에는 白虎나 螣蛇가 剋 함을 제일 꺼린다. 百虎나 螣蛇는 血光之神이기 때문이다. 墓宅占에는 白虎가 何方에 臨했는가를 보아 그 방향에 암석이나 神廟(신묘)가 있음을 알 수가 있다. 행인점도 百虎로서 정하는데 初傳에 乘하면 바로 오고 中傳에 乘하면 오는 도중이고, 末傳에 臨하면 家中에 喪服(상복)이 있거나 外服이 入宅한다. 天占時에 百虎가 발용하면 大風이 있다. |
寅午戌月 申, 卯未亥月 寅, 辰申子月 巳, 巳酉丑月 亥가 白虎가 되면 白虎仰視(백호앙시)라 하여 殃咎(앙구)가 크게 일어나고, 巳午에 乘하면 白虎遭擒(백호조금)이라하여 災禍가 潛消(잠소)한다. |
|
太常(己未 陰土) |
太常은 己未土로 四季 18日에 旺한 吉將이다. 四時의 喜神으로 禮樂穀帛(례악곡백)을 主事한다. 得地하면 衣物, 財帛(재백), 田園, 寶貨이고, 失地한 則 退藏物(퇴장물). 貴人, 六合, 天后를 사랑하고, 螣蛇, 天空을 두려워한다. |
太常은 文章, 印綬, 服飾(복식), 信息, 酒食, 宴樂(연락), 絹帛(견백), 田地, 五穀之屬(오곡지속)을 主事하는데, 官占에서는 제일 기뻐하는 吉將이다. 初末傳에 太常을 보고 天驛二馬면 印綬之卦로 求하는 바가 뜻대로 이루어지고, 傳中에 河魁(하괴), 太常을 보면 兩重印綬가 되니 이는 河魁는 印이 되고 太常은 綬가 되기 때문이다. |
占에서 太常이 發用되고 다시 日辰에 臨하면 印綬星이 動한다하여 君子는 印綬, 文字에 관한 喜慶이 있고, 旺相相生하면 遷官轉職(천관전직)하며, 小人은 仲媒結婚件(중매결혼건)이 있고, 休囚刑剋하면 財帛(재백)이 不安하고 貨物의 부족함이 있다. 太常이 被剝(피박)되면 百事가 消爍(소삭)되는데 春辰, 夏酉, 秋卯, 冬巳에 乘하면 百事不成한다. |
|
玄武(癸亥 陰水) |
玄武는 癸亥 水에 속하는 凶將으로 冬 三個月에 旺하다. 玄武는 純陰之水로 倚乾輔坎(의건보감)한다. 陰의 極이며 北方의 陰之邪氣(음지사기)로 盜賊(도적), 陰私, 走亡(주망), 遺失(유실) 等을 主事하는데, 靑龍, 螣蛇, 朱雀을 愛하고 天空, 勾陳을 두려워한다. 또 玄武는 聰明多智(총명다지)하고 文章技巧(문장기교)에 능하며 財物을 求望하는데, 凶의 作用을 하면 紛失(분실), 盜難(도난), 奸詐(간사), 女子陰私, 失走(실주), 疾病, 鬼魅(귀매), 夢想, 離別 等事가 있다. 玄武가 江湖에 있으면 風雲, 道路에 있으면 雨水, 財星과 같이 있으면 財는 聚散(취산)하여 혹은 亡失, 稽滯(계체)하거나 小成多敗(소성다패)한다. 旺相 相生하면 財物을 交易하거나 或 牙儈(아쾌)로 占斷한다. 玄武가 亥子의 二神에 있으면 반드시 盜難(도난)이 있다. |
盜賊占(도적점)은 玄武로서 爲主하는데 玄武의 陰神을 盜神이라 한다. 陰神과 상하비화가 되면 그 방위에 盜賊이 隱匿(은익)해 있다고 단정하고, 상하가 上剋하면 다시 盜賊의 陰神을 보아서 그 방위가 隱匿處(은익처)라는 것을 알수 있고 盜神이 生하는 神의 地支處에 臟物(장물)이 있다. |
玄武의 陰陽神과 盜賊의 陰神이 遞互相生(체호상생)하고 혹 盜神의 吉將이 乘하면 捕獲(포획)하기 어렵고 만약 時이상의 三神이 上剋하고 凶將이 乘할때는 所獲(소획)할 수 있다. 玄武가 日辰에 臨하면 반드시 盜賊失脫(도적실탈)을 조심해야 하며 또 小人의 暗算(암산)이 있다. 현무가 日德을 附隨(부수)하고 日辰에 臨하면 走失(주실)한 인물을 찾고자 할 때 찾을 수 있거나 스스로 돌아온다. 昴星課에 玄武가 寅卯에 臨하면 반드시 실물하고, 矯導所(교도소) 같으면 반드시 罪囚의 탈옥이 있다. 玄武가 辰戌丑未에 乘하면 橫截(횡절)이라하여 盜賊의 侵陵(침릉)이 있다. |
|
太陰(辛酉 陰金) |
太陰은 辛酉金에 속하는 金神으로 秋三月에 旺한 吉將이다. 天乙妃嬪(천을비빈) 彩女(채녀)라고도 하며 霜雪氷凍之神(상설빙동지신)으로 人臣의 位에 있으며 肅殺之權(숙살지권)이 있어 威貌(위모)가 嚴重하다. 得地하면 正直無私하고 失地하면 婢(비), 妾(첩)이 된다. 靑龍, 太常, 天后를 좋아하고, 螣蛇, 天空을 두려워하며 卯午子와는 不立한다. 太陰은 婦女, 財帛(재백), 金銀, 錢物, 陰私, 喜慶, 婚姻을 主事하나 凶하면<戾(려)> 陰私, 損失하고 謀事는 遲滯(지체), 未成하며, 遠信은 未至하고 疾病은 낫지<未痊(미전)>않는다. |
旺相相生하면 여자 財物의 기쁨이 있고 혹 胎産이 되며, 死囚刑剋되면 陰人 小人의 疾病이나 陰私口舌이 있고 婢(비)의 不正之事가 있다. 訴訟占에서 太陰이 入卦하고 日과 相生者는 首罪(수죄)가 된다. 罪占에서 太陰이 入卦하여 刑剋者는 神佛에 祈願(기원)하면 좋다. 盜賊占은 太陰이 入傳하거나 혹 日辰에 臨하면 반드시 잡기 힘들다. 太陰은 天地의 私門이기 때문이다. |
宅墓占(택묘점)에 太陰이 入傳하면 그 臨하는 방향에 佛寺나 奇特(기특) 景美(경미)한 물건이 있다. 婚姻占에 太陰이 日辰에 臨하고 酉亥未에 乘하여 發用하면 그 여자는 반드시 不正하다. 太陰이 日本(日干의 長生)에 臨하며 日干을 剋하면 淫亂(음란)하니 丙午日에 財가 있음을 보는 것이다. 刑事占에 太陰이 入傳하고 日干과 相生할 때는 自首한다. 太陰이 申酉에 居하면 拔劍(발검)이니 陰害가 있다. |
|
天后(壬子 陽水) |
天后는 壬子水에 屬하며 冬三月에 旺한 吉將이다. 天后는 六陰의 至極으로 北方黑帝의 五女로 財物을 任用하고 貴人의 配가 된다. 得地하면 淸廉(청렴), 高貴尊崇(고귀존숭)하고 失地하면 淫濫奸邪(음람간사)하고 人倫이 雜亂(잡란)하다. 靑龍, 太常, 貴人, 六合을 좋아하고, 勾陳, 天空土神을 두려워 한다. |
天后는 주로 宮庭, 陰私, 喜慶, 婦人, 財物, 婚姻, 胎産, 恩澤(은택) 등을 主事하고, 凶하면 陰私, 不明, 詐欺不實(사기불실), 口舌, 失走(실주)之事가 있다. |
天后가 太歲에 乘하고 加日하며 門戶에 臨하면 恩赦之事(은사지사)가 立至하는데, 다시 三陽 三光에 이르면 더욱 힘이 있어 公事占에는 제일 좋으나 門戶에 不臨하고 다만 課傳에만 入하면 遲慢(지만)하다. 天后에 乘한 神이 下賊上하는 것을 切忌(절기)하니 小人의 凌辱事(능욕사)가 있게 된다. 이는 皇后星(황후성)의 弱한 女性象이기 때문에 下賊이 不宜(부의)한 것이다. |
婚占에서 天后와 日干이 相生하거나 三合, 六合하면 成婚되나 그렇지 못하면 不成한다. 天后가 日干을 剋하면 女子는 貪(탐)하나 男子가 應하지 않고, 日干이 天后를 剋하면 男子는 뜻이 있으나 여자가 不應한다. 만약 課傳이 大吉이면 先阻後成(선조후성)한다. |
天后에 승한 神으로 女子의 性情이나 容貌를 정한다. 天后가 驛馬를 만나고 命에 解神을 보면 離別이 있고, 玄武가 乘하면 暗昧不明(암매부명)하며, 白虎와 만나면 妻의 病이 凶하고, 天后가 魁罡(괴강)이 되고 婦의 年命에 加하면 落胎한다. 天后가 陰申 陽酉가 되면 淫亂(음란)하다. |
※ 十二天支에 加, 乘, 臨 할 때 | |
天乙貴人(己丑 陰土) | |
子 |
上에 臨하면 解紛(해분)이라고 하는데 紛擾(분요)한 일이 모두 해산된다. |
丑 |
上에 있으면 升堂(승당)이라고 하고 投書(투서)나 策謀(책모)에 발전이 있고 貴人을 引接(인접)할 수 있다.(단 甲戊庚日은 反凶) |
寅 |
上에 있으면 빙궤(憑几)라 하고 私的 請謁(청알)에 마땅하다. |
卯 |
에 있으면 登車라 하는데, 식구중에 疾病의 근심이 있을 수 있다. |
辰 |
|
巳 |
에 있으면 受賞이라 하여 천발(薦拔) 천탁(遷擢)의 기쁨이 있다. |
午 |
에 있으면 受賞이라 하여 천발(薦拔) 천탁(遷擢)의 기쁨이 있다. |
未 |
에 乘하면 음식요리의 기쁨이나 安樂, 약간의 혜택을 받는 일이 있다. |
申 |
에 있으면 列席(열석)이라 하고 宴會之事(연회지사)가 있다. |
酉 |
에 乘하면 가정에 불안사의 징조가 있고 또 酉는 日月의 門이므로 陰和不明 關隔(관격)이 불통하고 口舌, 疾病 등이 있다. 酉에 있으면 入室이라 하는데, 식구중에 疾病의 근심이 있을 수 있다. |
戌 |
|
亥 |
에 있으면 還宮(환궁)이라 하거나 또는 貴登天門이라고 하여 諸煞(제살)이 制伏(제복) 당하고 매사에 이로움이 있다. |
|
|
螣蛇(丁巳 陰火) | |
子 |
에 乘하면 火絶地라서 墜水(추수)라 하여 놀람이나 怪夢(괴몽)이 있을 뿐 절대로 사람을 傷하지 못한다. |
丑 |
에 있으면 盤龜(반구)라 하고 禍淫(화음)이 소멸되고 福이 다다른다. 禍福(화복)이 자신의 행동에 달려 있고 靜하면 근심사는 자연 소멸한다. |
寅 |
에 있으면 生角(생각)이라 하며, 旺하고 得時하면 咬龍(교룡)이 되니 매사 進取(진취)하면 이로움이 있고 衰(쇠)하여 失時하면 석척(蜥蜴)이 되어 退藏(퇴장)함에 이롭다. 寅은 火의 長生地이니 뱀에 뿔이 생겨 龍으로 化하고 天時를 얻으면 나아감에 利가 있고 때를 잃으면 도마뱀이 되어 큰 것을 바라나 적은 것도 이지 못한다. |
卯 |
에 있으면 當門이라 하여 다 不測의 災가 있다. 家庭에는 傷處가 있고 不和하며 災害가 크면 피를 보는 災가 생긴다. |
辰 |
에 있으면 乘龍이라 하여 다 같이 재난이 全消<並云釋難(병운석난)>한다. |
巳 |
에 있으면 小兒의 夜啼(야제)가 있고 日支를 剋하면 難産(난산)한다. 飛空이니 休祥(휴상)이 不辨(부변)하며 進望을 主事한다. |
午 |
에 있으면 乘霧怪夢(승무괴몽)이 있고 訟事에는 大忌한다. 雲霧(운무)를 타고 비행한다 하여 吉凶 不成한다. |
未 |
에 있으면 入林(입림)이라 하고 주로 停柩未葬之象(정구미장지상)이며 家鬼作崇(가귀작숭)이 있다. 구설 官事도 일어난다. |
申 |
에 있으면 衡劍(형검)이라 하여 다 不測의 災가 있다. 家庭에는 傷處가 있고 不和하며 災害가 크면 피를 보는 災가 생긴다. |
酉 |
에 있으면 露齒(노치)라하여 주로 陰人의 災疾(재질)이 있고 口舌, 怪異(괴이)가 있다. |
戌 |
에 있으면 入冢(입총)이라 하여 다 같이 재난이 全消<並云釋難(병운석난)>한다. |
亥 |
에 있으면 掩目(엄목)이라 하여 어려움이 가고 災禍는 消滅한다. 初傳에 乘하면 여인이나 사용인의 도망이나 失財事가 일어난다. |
|
|
朱雀(丙午 陽火) | |
子 |
에 있으면 損翼(손익)이라 하여 考試에는 불합격하고 詞訟(사송)에는 無妨(무방)하며 自傷災難(자상재난)한다. |
丑 |
에 있으면 掩目(엄목)이라 하고 動靜에 다 吉하며 口舌의 염려는 없는데 考試에는 불리하다. 토지 家屋件(가옥건)이 일어난다. |
寅 |
에 있으면 安巢(안소)라 遲滯沉溺(지체침익) |
卯 |
에 있으면 安巢(안소)라 遲滯沉溺(지체침익), 文書는 遲滯(지체)되나 口舌占에는 平息된다. |
辰 |
은 投網(투망)이라 문자상의 착오 또는 口舌不祥事가 발생하는 징조이다. |
巳 |
에 있으면 晝翔(주상)이라고 하여 口舌, 詞訟에는 凶하나 文書 音信(음신)에는 吉하다. |
午 |
에 있으면 銜符(함부)라 하고 申에 있으면 勵嘴(려취)라 하여 怪異(괴이), 官災, 訟事, 婚姻件등 이 있으나 考試에는 吉하다. |
未 |
에 있으면 臨墳(임분)이라 하고 佛事 또는 悲哀事(비애사)가 있고 飮食(음식)과 求財는 良好하다. |
申 |
에 있으면 音信이 중도에 있다. |
酉 |
에 있으면 夜噪(야조)라 官災, 疾病이 있다. |
戌 |
은 投網(투망)이라 문자상의 착오 또는 口舌不祥事가 발생하는 징조이다. 戌에 乘하면 사건은 違背(위배)되고 紛失. 失錯事(실착사)가 일어나고 書信, 文書件이 일어난다. |
亥 |
에 있으면 入水라 하여 投書, 獻策(헌책)에는 不宜(부의)하고, 靜하면 無害하고 動하면 失財가 있다. |
|
|
六合(乙卯 陰木) | |
子 |
에 乘하면 反目이라 하여 夫妻反目에 禮를 잃는다. |
丑 |
에 있으면 嚴妝(엄장)라고 하며 婚姻關聯事(혼인관련사) |
寅 |
에 있으면 乘軒(승헌)이라 하여 婚姻은 喜美가 있다. |
卯 |
에 있으면 入室이라 하여 主事는 이미 성취된 것이다. |
辰 |
에 있으면 違禮(위례)이라 冒瀆(모독)을 당하거나 得罪할 수 있고 婚姻, 訟事가 있다. |
巳 |
에 乘하면 不諧(부해)라 主事는 놀랍고 悖惡(패악)<驚悖(경패)>스런 일이 있다. |
午 |
에 있으면 升堂이라 하여 主事는 이미 성취된 것이다. |
未 |
에 있으면 納采(납채)라고 하며 婚姻關聯事(혼인관련사) |
申 |
에 있으면 結髮(결발)이라 하여 婚姻은 喜美가 있다. |
酉 |
에 乘하면 사찬(私竄)이라 남녀 음분(淫奔)한다. |
戌 |
에 있으면 亡着(망착)이라 冒瀆(모독)을 당하거나 得罪할 수 있고 婚姻, 訟事가 있다. |
亥 |
에 있으면 待命(대명)이라 主事는 平和롭다. |
|
|
勾陳(戊辰 陽土) | |
子 |
에 乘하면 沈戟(심극)이라 하여 暗(암)으로 凌辱(능욕), 陷害(함해)를 당한다. |
丑 |
에 있으면 受鉞(수월)이라 하여 暗(암)으로 凌辱(능욕), 陷害(함해)를 당한다. |
寅 |
에 乘하면 遭囚(조수)라 하고 上書, 獻策(헌책)에 마땅하다. |
卯 |
에 있으면 臨門이라 家庭이 必히 不寧(부영)하다. |
辰 |
에 있으면 升廳(승청)이라 獄吏(옥리)와 牽纏(견전)하다. |
巳 |
에 있으면 捧印(봉인)이라 居官者(거관자)는 升遷(승천)이나 常人은 반대로 凶하다. |
午 |
에 있으면 反目이라 他人으로 인하여 牽累(견누) 당한다. |
未 |
에 있으면 入驛(입역)이라하여 訴訟(소송)은 稽遲(계지)된다. |
申 |
에 있으면 趨戶(추호)라 勾陳改革이 反復된다. |
酉 |
에 있으면 被刃(피인)이라 몸에 刑責이 있고 罹病(이병)한다. |
戌 |
에 있으면 下獄(하옥)이라하여 訴訟(소송)은 稽遲(계지)된다. |
亥 |
에 있으면 褰衣(건의)라 勾陳改革이 反復된다. |
|
|
靑龍(甲寅 陽木) | |
子 |
에 있으면 入海라 하는데 動하면(因動) 非常한 慶事가 있다. |
丑 |
에 있으면 蟠泥(반니)라하는데 謀事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
寅 |
에 있으면 乘龍이라 하여 經營에 利롭다. |
卯 |
에 있으면 驅雷(구뢰)라 하여 經營에 利롭다. |
辰 |
에 있으면 掩目(엄목)이라 財緣(재연)은 있으나 不測의 근심이 있다. |
巳 |
에 있으면 飛天이라 하는데 君子는 움직이려 한다. |
午 |
에 있으면 焚身(분신)이라 財緣(재연)은 있으나 不測의 근심이 있다. |
未 |
에 있으면 無鱗(무린)이라 하는데 安靜함이 마땅하고 動하면 凶하다. |
申 |
에 있으면 摧角(최각)이라 하는데 安靜함이 마땅하고 動하면 凶하다. |
酉 |
에 있으면 伏陸(복육)이니 退守(퇴수)함이 마땅하다. |
戌 |
에 있으면 登魁(등괴)라 하여 小人이 爭財한다. |
亥 |
에 있으면 游江(유강)이라 하는데 動하면(因動) 非常한 慶事가 있다. |
|
|
天空(戊戌 陽土) | |
子 |
에 있으면 伏室(복실)이라 하여 근심은 부녀 때문에 일어난다<患生於婦女(환생어부녀)>. |
丑 |
에 있으면 侍側(시측)이라하여 尊長(존장)의 말(言)에 속는다. 仕官(사관)은 遷擢(천탁)되나 평민은 조롱당하기 쉽다. |
寅 |
에 있으면 被制(피제)라하여 공사간 구설이 있다. |
卯 |
에 있으면 乘侮(승모)라 하여 暴客이 있어 극상하거나 감언에 속는다. |
辰 |
에 있으면 凶惡이라 하여 暴客이 있어 극상하거나 감언에 속는다. |
巳 |
에 있으면 受辱(수욕)하여 복통, 下痢(하리)의 뜻이 있으나 謀望에는 吉하다. |
午 |
에 있으면 識字(식자)라 하여 옳은 것과 그른것<直僞(직위)>을 분별하기 難하다. |
未 |
에 있으면 趨進(추진)이라 物質에 利益이 있다. |
申 |
에 있으면 鼓舌(고설)이라 하여 옳은 것과 그른것<直僞(직위)>을 분별하기 難하다. |
酉 |
에 있으면 巧說(교설)이라 奸人(간인)의 謀計(모계)가 있다. |
戌 |
에 있으면 居家, 奴婢(노비)관련 事이다. |
亥 |
에 있으면 誣詞(무사)라 奸人(간인)의 謀計(모계)가 있다. |
|
|
白虎(庚申 陽金) | |
子 |
에 臨하면 溺水(익수)라 하여 音書(음서)가 阻隔(조격)된다. |
丑 |
에 있으면 在野(재야)라 하여 牛羊(우양)이 손상된다. |
寅 |
에 있으면 登山이라 하여 官吏는 大吉하고 평민은 大凶하다. |
卯 |
에 있으면 臨門이라하여 人口가 損傷된다. |
辰 |
에 있으면 蛭人(질인)이라하여 官災는 刑戮(형육)되고 凶象이 이른다. |
巳 |
에 있으면 焚身(분신)이라 하여 殃禍(앙화)가 消散(소산)된다. |
午 |
에 있으면 焚身(분신)이라 하여 殃禍(앙화)가 消散(소산)된다. |
未 |
에 있으면 在野(재야)라 하여 牛羊(우양)이 손상된다. |
申 |
|
酉 |
에 있으면 臨門이라 하여 人口가 損傷된다. |
戌 |
에 있으면 落井이라하여 災殃(재앙)의 桎梏(질곡)에서 벗어난다. |
亥 |
에 臨하면 溺水(익수)라 하여 音書(음서)가 阻隔(조격)된다. |
|
|
太常(己未 陰土) | |
子 |
에 있으면 遭枷(조가)라 하여 반드시 刑罰에 이른다. |
丑 |
에 있으면 銜杯(함배)라하여 必히 進職(진직), 遷官(천관)이 있다. |
寅 |
에 있으면 側目(측목)이라하여 妄讒(망참)을 만난다. |
卯 |
에 있으면 遺冠(유관)이라 財物상의 損失이 있다. |
辰 |
에 있으면 佩印(패인)이라 官人에는 이로우나<再遷之命(재천지명)> 평민에는 불리하다. |
巳 |
에 있으면 鑄印(주인)이라 하여 征召(정소)와 喜慶이 있다. |
午 |
에 있으면 乘軒(승헌) 원조나 恩惠(은혜)를 입는다. |
未 |
에 있으면 棒觴(봉상)이라 하여 征召(정소)와 喜慶이 있다. |
申 |
에 있으면 銜杯(함배)라하여 必히 進職(진직), 遷官(천관)이 있다. |
酉 |
에 있으면 作券書(작권서)이니 시작은 비록 순조로우나 後에 爭奪(쟁탈)이 있다. |
戌 |
에 있으면 逆命이니 尊卑間(존비간)에 爭訟(쟁송)이 일어난다. |
亥 |
에 있으면 聘詔(빙조)라하여 윗사람에는 좋으나 아랫사람에는 근심과 미움<憎(증)>이 있다. |
|
|
玄武(癸亥 陰水) | |
子 |
에 있으면 散發(산발)이라하며 도적건이 있고 재물상의 失脫이 있다. |
丑 |
에 있으면 升堂이라하여 干求之意가 있다. 재물을 詐欺(사기) 당하기 쉽다. |
寅 |
愛寅兮(애인혜) 入林而難尋(입림이난심), 惡辰兮(악진혜) 失路而自制(실로이자제). |
卯 |
에 있으면 竊戶(절호)라 家內에 도적이 있다. |
辰 |
|
巳 |
에 있으면 反顧(반고)라 虛(허)를 보고 두려워 놀랜다. |
午 |
에 있으면 截路(절로)이라하여 적에게 惡意가 있으니 攻擊(공격)함이 不宜(부의)<懷惡反傷(회오반상)>하다. |
未 |
에 있으면 不戒(부계)가 되니 酒食之地에서 敗한다. |
申 |
에 있으면 折足(절족)이라하여 도적은 勢力을 傷失하니 반드시 잡을 수(失勢可得) 있다. |
酉 |
에 있으면 拔劍(발검)이라하여 적에게 惡意가 있으니 攻擊(공격)함이 不宜(부의)<懷惡反傷(회오반상)>하다. |
戌 |
에 있으면 遭囚(조수)라하여 도적은 勢力을 傷失하니 반드시 잡을 수(失勢可得) 있다. |
亥 |
에 있으면 伏藏(복장)이니 멀리 故鄕 깊숙이 숨는다. |
|
|
太陰(辛酉 陰金) | |
子 |
에 있으면 垂簾(수렴)이라하여 妾婦(첩부)가 相侮(상모)한다. |
丑 |
에 있으면 守局(수국)이니 尊卑(존비)간에 相蒙(상몽)한다. |
寅 |
에 있으면 跌足(질족)이라하여 財物文書의 暗動(암동)이 있다. |
卯 |
에 있으면 微行(미행)이라하며 君子에게는 宜(의)나 下級人(하급인)은 不好하다. |
辰 |
에 있으면 遭淫(조음)이라하여 拘束, 爭訟이 있다. |
巳 |
에 있으면 伏枕(복침)이라하여 口舌 盜賊(도적)에 놀람과 근심이 있다. |
午 |
에 있으면 脫巾(탈건)이라하여 財物文書의 暗動(암동)이 있다. |
未 |
에 있으면 看書(간서)이니 家宅은 안녕하다. |
申 |
에 있으면 執正(집정)이라하며 君子에게는 宜(의)나 下級人(하급인)은 不好하다. |
酉 |
에 있으면 閉戶(폐호)이니 家宅은 안녕하다. |
戌 |
에 있으면 被察(피찰)이라하여 怪異(괴이)한 근심이 있고 소인의 誣譖(무참)이 있다. |
亥 |
에 있으면 裸形(나형), 巳에 있으면 伏枕(복침)이라하여 口舌, 盜賊(도적)에 놀람과 근심이 있다. |
|
|
天后(壬子 陽水) | |
子 |
에 있으면 守閨(수규)라 하는데 動靜이 咸宜하다. |
丑 |
에 있으면 偸窺(투규)라하여 悚懼(송구), 驚惶(경황)스런 일이 있다. |
寅 |
에 있으면 理發이라하여 優游閑暇(우유한가)하다. |
卯 |
에 있으면 臨門이라하여 奸淫無度(간음무도)하다. |
辰 |
에 있으면 毁妝(훼장)이라 슬픈 근심이 아니면 羞辱(수욕)스런 일이다. |
巳 |
에 있으면 裸體(나체)라 슬픈 근심이 아니면 羞辱(수욕)스런 일이다. |
午 |
에 있으면 伏枕(복침)이라하여 嘆息(탄식)아니면 呻吟(신음)이다. |
未 |
에 있으면 沐浴(목욕)이라하여 悚懼(송구), 驚惶(경황)스런 일이 있다. |
申 |
에 있으면 修容이라하여 優游閑暇(우유한가)하다. |
酉 |
에 있으면 倚戶(의호)라하여 奸淫無度(간음무도)하다. |
戌 |
에 있으면 褰帷(건유)라하여 嘆息(탄식)아니면 呻吟(신음)이다. |
亥 |
에 있으면 治事라 하는데 動靜이 咸宜하다. |
|
事 |
人 |
身體 |
崇拜神 (숭배신) |
疾病 |
五穀 |
獸類 (수류,짐승) |
味 |
色 |
數 |
天乙 貴人 己丑陰土 |
九官 俸祿(봉록) 文章 首飾(수식) 珍寶 (진보) |
尊長 |
|
|
寒熱 (한열)
頭暈(훈, 현기증) |
麻(마) |
牛우
鼈별 (자라) |
|
黃 |
八 |
螣蛇 丁巳陰火 |
文華(문화)
火光
血光 |
驚狂婦人 (경광부인)
小人
不葬客鬼 (부장객귀) |
頭
目
四肢 (사지) |
|
擁腫 (옹종) |
豆
桼칠 (옷나무) |
蛇사 (뱀)
蛟교 (龍의 일종) |
단 음식 |
紅 赤 |
四 |
朱雀 丙午陽火 |
文章
羽毛 (우모) |
|
螣蛇와 동일
心腹 (심복) |
咒주 (저주할) 咀저 (씹을)
竈神 (부엌 조) |
上竅 (규, 구멍)
見血
嘔吐(구토) 陰腫(음종) |
果實類 |
飛禽 (금,새類)
獐장 (노루)
馬之類 |
|
赤 |
九 |
六合 乙卯陰木 |
竹
木
金石
食鹽 (염,소금)
羽毛 (우모) |
子孫 朋友
媒妁매작 (중매)
工巧(공교)
術士
仕宦(사환) 逸之士 (일지사) |
|
土神
丈人 (장인) |
陰陽不調
心腹虛 (심복허) |
鹽염 (소금)
栗 (밤나무) |
兎類토 (토끼류) |
可食物 |
光彩 |
六 |
勾陳 (戊辰 陽土) |
田 |
醜婦 (추부)
軍卒
貧薄小人 |
|
寃死之鬼 (寃: 원통할 원) 門戶 土垣鬼 (垣:원,담) |
心腹寒熱 癰腫 (옹종) |
木 實 |
魚 龍 水蟲之類 瓦石(와석) 金鐵(금철) |
|
責黑 |
五 |
靑龍 甲寅陽木 |
文章 羽毛(우모) 錢物(전물) 脯(포) 璽之類 (새,옥새) 棺槨(관곽) 枷棒之類 (가봉) |
貴官
富人族
僧道高人 ☞(枷칼,棒 몽둥이) |
|
|
頭目心痛
四肢寒熱
癰腫 (옹종) |
草木之精
可食之物 |
龍,
虎,
豹(표)
貍리 (너구리)
猫묘 (고양이) |
|
黃赤 |
七 |
天空 戊戌陽土 |
道路 金 銅 鐵之器 銃器(총기) 劍傷 (검상) |
病人
孝子 |
|
兵死客鬼 |
擁腫 (옹종)
嘔구 (토하다)
血 |
麥 (보리) 麻 (삼) |
猿猴원후 (원숭이)
虎 |
|
白 |
七 |
太常 己未陰土 |
金石
文華 (문화) |
貴人 貧婦 司命 |
耳目
毛髮之類 (모발) |
|
四肢(사지) 頭腹(두복) 不寧(부녕) |
麻(마) |
雁안 (기러기)
羊 |
可食物 |
圓 원 |
八 |
玄武 癸亥陰水 |
|
盜賊 (도적)
奸邪小人(간사) |
|
河伯水神
廁鬼 (측귀) |
心腹腸滿 (장만) 患腰 (요, 허리) |
豆 |
貐유 (시라소니) 猪屬 (저,돼지) 蟲類(충류) |
|
黑 |
四 |
太陰 辛酉陰金 |
金
鐵(철)
刀
針 |
賤妾 (천첩) |
|
|
心腹(심복) 腰脚(요각)損傷 (허리,다리) |
小麥 (소맥) |
雞雉 (계:닭, 치:꿩)
飛鳥類 |
|
黃 |
六 |
天后 壬子陽水 |
女人用物 金屬 |
貴婦人 |
|
水神
溺鬼 (익, 빠질) |
陰陽不調 大小便不利
臟腑之疾 (장부) 오장육부 |
稻도 (벼)
豆
草木之類 |
鼠서 (쥐)
蝠복 (박쥐) |
|
白 |
九 |
'주역·육임·육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시,지리,인화의 이해 | 六 壬 (0) | 2009.07.15 |
---|---|
論 月將 (0) | 2009.07.15 |
십이지신(十二支神)의 도표 1 (월장) (0) | 2009.07.15 |
주역점과 육효점의 차이 (0) | 2009.07.15 |
육합괘(六合卦), 육충괘(六沖卦) (0) | 2009.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