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육임·육효(306)
-
九宗十課式 (구종십과식)
▣ 九宗十課式 (구종십과식) 六壬學은 九法十課式을 길흉 정단의 근본으로한다 正斷을 解說하기 전에 이 九法十課式에 대한 설명을 하는 것이 편리하여 위에 造式法과 길흉을 설명하기로 한다 (1) 元首課 上에서 下를 극하는 것이 一位만 있는 것이 원수과가 된다 九宗의 根元으로 이과는 天象을 본받..
2009.07.15 -
정단 사항의 吉凶을 알려면 何日 何局 임을 決定하여야한다
▣ 먼저 정단 사항의 吉凶을 알려면 何日 何局 임을 決定하여야한다. 정단하는 그월의 월장 地支를 월장표에 依하여 확인하고 또 占時 時刻을 확인 한 후 다음 사항을 이해 한다. ▣ 卽 月將을 卯로 가정하고 점시 地支를 午로 假定하여 月將을 時支上에 옮겨 놓으면 다음 표와같이 月將 位置가 이동하..
2009.07.15 -
六壬[육임] 計劃[계획] 謀事[모사] 希望事[희망사] 鑑定
▣ 六壬[육임] 計劃[계획] 謀事[모사] 希望事[희망사] 鑑定 계흭 모사 희망사를 감정 하려면 : 1. 可否[가부]를 鑑定[감정]하고 2. 成敗[성패]를 보고 3. 遲速[지속]을 감정한다 먼저 類神[유신]을 주로하여본다. 예, 財를 득하려면 財神을 유신으로 하는 것이다. 類神이 四課 三傳中에 있으면 可[가]로 한다 ..
2009.07.15 -
육임의 예시
乙 丑 第 四 局 晝 夜 初 傳 丑 玄 亥 后 ㅇ 中 傳 亥 后 酉 玄 癸 末 傳 酉 蛇 未 白 辛 ㅡ課 二課 三課 四課 丙 甲 ㅇ 癸 空寅朱 常子貴 玄亥后 后酉玄 乙 寅 丑 亥 中 審 課 間 傳 時 豚 三 局 ▣ 鑑定, 비과는 四과중 三과 해와 축의 극이 있다 이것이 초전이되고 중심과이다 삼전은 逆間傳 말전 未는 墓이..
2009.07.15 -
양현(兩現)
양현(兩現) 양현이란 용신효가 괘중에 두개가 나타나는 것으로, 필히 두 개중에서 상하고 상하지 않은 것을 가려 취하거나 버려야 합니다. 용신을 한가지로 정하지 않으면 길흉을 정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양현된 용신을 취하는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 불파된 효를 버리고 월파된 효를 취합니다..
2009.07.15 -
육임학 개요
역학의 최고수 학문으로 전승 되어 온 "奇乙壬三數(기을림3수)" 라는 것이 있는 데, 古書(고서)에 『天文(천문)은 莫如太乙(막여태을)이요, 地理(지리)는 莫如奇門(막여기문)이요,人事(인사)는 莫如六壬(막여육임)』이라 했습니다. 다시 말해서, "천문을 아는 데는 태을 만한 것이 없고, 지리를 아는 데는..
2009.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