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육임·육효(306)
-
류신론(類神論)
류신론(類神論) 점사(占事)에서는 류신이 길흉을 판단하는데 중요하게 작용을 하므로 자세히 살펴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승진점(昇進占)에서 관성(官星), 부모, 수(綬 ; 戌土), 청룡, 태상, 귀인, 역마, 정마(丁馬), 천마(天馬), 황은(皇恩), 천소(天沼), 일록(日祿), 만어(漫語), 일덕(日德) 등의 류신을 살..
2009.07.15 -
육합론(六合論)
육합론(六合論) 육합에는 인해합(寅亥合), 묘술합(卯戌合), 진유합(辰酉合), 사신합(巳申合), 오미합(午未合)이 있는데 자세한 것은 아래와 같다. ① 육합과 일덕(日德)이 삼전에 있으면 모든 일이 다 순조롭다. ② 육합이 삼전에 있으면 그 진퇴를 보아야 하는데, 삼전이 앞으로 나가면 전진함이 이롭고,..
2009.07.15 -
삼합국론(三合局論)
삼합국론(三合局論) 인오술(寅午戌)이 합하면 화국(火局)이 되고, 사유축(巳酉丑)이 합하면 금국(金局)이 되며, 신자진(申子辰)이 합하면 수국(水局)이 되고, 해묘미(亥卯未)가 합하면 목국(木局)이 된다. ◆ 삼전이 삼합이 되면 일에 친척이나 친구가 관계되어 있고, 또한 일이 복잡하게 되는 것으로 그 ..
2009.07.15 -
귀론(鬼論)
귀론(鬼論) 귀라는 것은 일간을 극하는 것으로서 관귀(官鬼)라고도 한다. 관귀는 불길한 신(神)으로 삼전에 관귀가 많으면 모든 일이 잘 되지 않고 흉재(凶災)를 입게 된다. ◆ 관귀가 사과나 삼전에 있을 때에 자손이 관귀를 극하면 관귀가 해로움을 주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공명점(功名占)에서 자손..
2009.07.15 -
묘론(墓論)
묘론(墓論) 묘(墓)라는 것은 천간의 오행이 암장(暗藏)되는 진술축미(辰戌丑未)의 지지를 말하는 것인데, 예를 들어 갑을(甲乙)의 묘는 미토(未土)가 되고, 병정무기(丙丁戊己)의 묘는 술토(戌土)가 되며, 경신(庚辛)의 묘는 축토(丑土)가 되고, 임계(壬癸)의 묘는 진토(辰土)가 된다. 그러므로 묘가 있을 ..
2009.07.15 -
12천장(天將)
12천장(天將) 1) 귀인(貴人) 귀인이라는 것은 천을귀인을 말하는데 이것은 자미궁(紫微宮)의 문 밖의 오른쪽에 있는 별로써 천제(天帝)의 신이라 한다. 또한 귀인은 창합(閶闔 : 전설상의 하늘의 문)문 밖에서 천황대제(天皇大帝)의 일로 12진을 돌아다니고, 그 집은 간축두오(艮丑斗午)의 위치에 있다고 ..
2009.07.15